
복숭아과실파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9-02-12 11:10
조회 1,432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조회 1,432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관련링크
본문
구분 | 해충 |
분류 | 종 |
과(학명) | Tephritidae |
과(국명) | 과실파리과 |
속(학명) | Bactrocera |
속(국명) | |
종(학명) | Bactrocera zonata (Saunders) |
종(국명) | 복숭아과실파리 |
검역구분 | 금지병해충 |
일반명 | 복숭아과실파리, Peach fruit fly |
기주 | bitter gourd, 사포딜라,수세미오이속(Luffa sp), 슈가애플, Indian bael(Aegle marmelos), 파라다이스애플, 핵과류, White-flowered gourd 등. Abelmoschus esculentus (L.) Moench (오크라), Annona squamosa Linn (슈가애플), Carica papaya L. (파파야), Chaenomeles sinensis Koehne (모과나무,대이,화이목, 화류목, 목도, 철각이, 토목과, 산목과, 향목과, 자목, 목과나무), Citrullus vulgaris Schrad. (수박), Citrus sinensis Osbeck (오렌지 나무, 당귤나무), Cucumis melo L. (멜론), Ficus carica L. (무화과나무, 무화과), Luffa cylindrica Roem. (수세미오이), Lycopersicon esculentum Miller (토마토), Malus domestica Borkh. (사과나무), Mangifera indica L. (망고), Prunus persica (L.) Batsch (복숭아나무, 복사나무), Prunus amygdalus Batsch. (아몬드), Psidium guajava L. (구아바), Punica granatum L. (석류나무, 석류목, 석류수, 안석류, 해류), Solanum melongena L. (가지, 가, 조채자, 왜과, 까지), Zizyphus jujuba var. inermis (Bunge) Rehder (대추나무, 대추), Luffa (수세미오이속) |
생태 | 알은 기주과일의 표피 속에 낳는다. 이들 알은 1-3일 내에 부화하고 유충은 21℃에서 4-35일 섭식 한 후 용화는 기주식물의 아래 땅속에서 이루어지고, 1-2주후 우화 한다(찬 조건에서는 더 길어짐). 성충은 연중 발생한다.Bactrocera spp.는 EPPO지역에서는 아주 남쪽을 제외하고는 겨울 동안에 살아남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다. 대부분 종은 일반적으로 활동이 정지가 시작되는 7℃에서 생존할 수 있는 것은 성충이며, 겨울에는 2℃까지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B. zonata의 경우 유충과 용태로 월동한다(CABI/EPPO, 1992).파키스탄에서는 성충이 연중 채집되나 5월-8월까지 많이 채집되고 7월에 가장 많이 잡힌다(Mohyuddin 등, 1993). |
피해 | B. zonata는 다식성이나 아주 적은 기주범위를 가지고 있고 특히 복숭아에 집중되는 해충이다. B. zonata의 경우 유충과 용태로 월동한다파키스탄에서는 성충이 년중 채집되나 5월∼8월까지 많이 채집되고 7월에 가장 많이 잡힌다.파키스탄에서는 망고에서 귤과실파리와 함께 문제시되는 과실파리로서 유제놀 미끼로 수컷을 대량 포획하여 경제적 수준 이하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 과실파리는 파키스탄에서 귤, 구아바, 대추 야자, 파파야, 대추, 사과, 포메그란테, 퀸스, 복숭아, 자두, 배, loguat, 오크라, Bitter-gourd를 가해한다(Mohyuddin 등, 1993).파키스탄에서 1984년 5-8월까지 메칠유제놀 유인제로 ha당 2-6개의 트랩을 설치했을 때 트랩당 성충 포획 수는 32,000-11,000마리였고 대조구의 피해과율 18.0%(7월), 42.0%(8월)에 비해 망고의 피해과율은 3.7-1.3%(7월), 5.0-3.2%(8월)이었다(Mohyuddin 등, 1993). |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