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cochyta corticola McAlpin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9-02-21 17:06
조회 2,815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조회 2,815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관련링크
본문
구분 | 병균 |
분류 | 종 |
종(학명) | Ascochyta corticola McAlpine |
종(국명) | |
검역구분 | 관리병해충 |
일반명 | |
기주 | Citrus limon, Citrus sinensis |
분포(발생정보 포함) | *오스트레일리아 와 뉴질랜드에만 분포한다. *본 병원은 1899 년에 McAlpine 에 의하여오스트렐리아의 Victoria에서 처음으로 기록된이래 Cunningham (1921) 에 의하여 보고 되었고 그후에 New Sounth Wales 와 South Australia에서도 보고 되고 있다. 뉴질랜드, 호주 |
생태 | ○ 현재까지 야외포장에서의 생태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바 없으며 단지 분생자세대만이 알려지고 있다.(Atkinson , 1971.)○ 본 병원균은 손상된 나무껍질을 통해서 침입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일단 병반이 형성되면 건전세포사이에서 균사가 자라서 세포를 죽이고 도관을 막는다. 그 결과로 궤양병이 발생하며 궤양은 한 계절이상 지속된다.(Atkinson , 1971.)○ 수개월후에는 죽은 나무껍질 표면에 균사매트와 분생자좌가 형성된다. 각개의 자좌에서 수많은 분생자각 (pycnidia)이 발육한다. 분생자각은 작고 검은색으로 플라스코모양이다.분생자각에서는 아주작고 투명한 2개의 세포로 된 분생자가 형성된다. 분생자각에는 젤라틴질의 물질이 있어 습기를 먹으면 부풀어 올라서 습한날씨에는 수많은 포자가 밖으로 밀려나온다.(Atkinson , 1971.)○ 본 병원균에 의한 궤양병은 12개월 이상 지속되며 상당기간 분생자각은 생성하고, 또한 본 병원균은 완전세대를 거치지 않고도 월동 할 수 있다.(Atkinson , 1971.) |
피해 | 레몬이 흔히 발생하는 기주이며 스위트오렌지에서도 발생된다. 환경이 병원균에 적당하면 병발생이 심하여 나무전체를 죽일수도 있으나 잘 관리된 과원에서의 피해는 그리 높지 않다.---------------------------------○ 본병은 주로 나무의 주간(主幹)에 발생하나 가지를 침해하는 경우도 있으며 흔하지는 않으나 잎과 열매도 침해한다.(Atkinson , 1971.)○ 레몬나무의 주간에 감염되면 처음에 병징 발견이 쉽지 않은데 옅은 갈색의 표조가 껍질에 나타나고 궤양 가장자리가 약간 솟아 오른다. 감염나무 껍질은 물론 죽지만 심재에 꼭 붙어 남는다. 어린나무에 감염되면 수액이 나오는 수도 있다. 성목의 궤양부위는 서서히 확장되며 나무를 감싸기 보다는 길이도 신장된다. 그 결과 아주 불규칙한 큰 궤양부위가나타나며 경우에 따라서는 몇개의 주지(主枝) 에 까지 퍼져나간다.(Atkinson , 1971.)○ 오래된 궤양부위가 떨어져 나가 나무는 누더기모양이 된다. 어린가지에 감염되면, 감염나무껍질이 짙은 갈색으로 변하여 푸른 건전조직과 확연히 구별된다. 작은 가지의 병반은 한 계절만에 나뭇가지를 둘러 쌀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잎은 황화하여 떨어지고 궤양병 발생 윗가지는 죽게 된다. 병원이 침입한지 4~6개월 후면 죽은 나무 껍질위에 회백색의 얼룩이 형성되고 이부위에 수많은 짙은 색깔의 븐생자각이 나타난다.(Atkinson , 1971.)○ 레몬 잎과 열매에 병원균을 접종하면 12~15일 후 병반이 나타난다고 한다. 잎과 열매에 자연감염되는 경우는 주간과 가지에서보다는 아주 적으나 때로는 발생하는 수도 있다. 스위트오렌지 유모잎에 감염되면 크고 원형에 가까운 괴저병반이 형성되는데 병반 중앙부는 분생자각 덩어리로 뒤 덮힌다. 열매에서는 병원균이 대단히 빨리 자라서 아주 딱딱한 갈색썩음병을 유발한다.(Brien, 1931.)○ 레몬이 흔히 발생하는 기주이며 스위트 오렌지에서도 발생된다. 환경이 병원균에 적당하면 병발생이 심하여 나무전체를 죽일 수도 있으나 잘 관리된 과원에서의 피해는 그리 높지 않다.(Brien, 1931.) |
-작성자:최고관리자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