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자유무역협정 추진현항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물류사전

FTA 자유무역협정 추진현항

페이지 정보

본문

진행단계 상대국 추진현황
발효 칠레 1999.12월 협상 개시, 2003.2월 서명, 2004.4월 발효
발효 싱가포르 2004.1월 협상 개시, 2005.8월 서명, 2006.3월 발효
발효 EFTA(4개국) 2005.1월 협상 개시, 2005.12월 서명, 2006.9월 발효 (*EFTA 4개국: 스위스,노르웨이,아이슬란드,리히텐슈타인)
발효 ASEAN(10개국) 2005.2월 협상 개시, 2006.8월 상품무역협정 서명, 2007.6월 발효, 2007.11월 서비스협정 서명, 2009.5월 발효, 2009.6월 투자협정 서명, 2009.9월 발효 (*ASEAN 10개국: 말레이시아,싱가포르,베트남,미얀마,인도네시아,필리핀,브루나이,라오스,캄보디아,태국)
발효 인도 2006.3월 협상 개시, 2009.8월 서명, 2010.1월 발효
발효 EU(28개국) 2007.5월 협상 출범, 2009.7월 협상 실질 타결, 2009.10.15 가서명, 2010.10.6 서명, 2011.7.1 잠정 발효, 2015.12.13일 전체 발효 *2011.7.1 이래 만 4년 5개월 간 잠정적용 (*EU 28개국: 오스트리아,벨기에,영국,체코,키프로스,덴마크,에스토니아,핀란드,프랑스,독일,그리스,헝가리,아일랜드,이탈리아,라트비아,리투아니아,룩셈부르크,몰타,네덜란드,폴란드,포르투갈,슬로바키아,슬로베니아,스페인,스웨덴,불가리아,루마니아,크로아티아)
발효 페루 2009.3월 협상 개시, 2010.8월 협상 타결, 2010.11.15 가서명, 2011.3.21 서명, 2011.8.1 발효
발효 미국 2006.6월 협상 개시, 2007.6월 협정 서명, 2010.12월 추가협상 타결, 2011.10.22 “한·미 FTA 이행법” 미 의회 상·하원통과,.2011.11.22 비준동의안 및 14개 부수법안 국회 본회의 통과, 2012.3.15 발효
발효 터키(기본협정·상품무역협정) 2008.6월~2009.5월 공동연구, 총 4차례 공식협상 개최(2010.4월~2012.3월), 2012.8.1 기본협정 및 상품무역협정 서명, 2012.11.22 비준동의안 국회 통과, 2013.5.1 발효 *서비스 투자협정 미발효: 서명(2015.2월), 비준동의안 국회통과(2015.11월)
발효 호주 2009.5월 한-호주 FTA 협상개시 선언, 총 7차례 협상 개최(2009.5월, 8월, 11월 / 2010.3월, 5월 / 2013.11월, 12월), 2013.12.4 협상 타결 선언, 2014.2.10일 가서명, 2014.2.10 가서명, 2014.4.8일 공식서명, 2014.12.2 비준동의안 국회 본회의 통과, 2014.12.12 발효
발효 캐나다 2005.7월 협상개시 선언, 총 14차례 협상 개최(2005.7월, 9월, 11월 / 2006.2월, 4월, 6월, 9월, 11월 / 2007.1월, 4월, 10월, 11월 / 2008.3월 / 2013.11월), 2014.3.11 협상타결 선언, 2014.6.12 가서명, 2014.9.23 정식서명, 2014.12.2 비준동의안 국회 본회의 통과, 2015.1.1 발효
발효 중국 2007.3월~2010.5월 산관학 공동연구 이후 민감분야 처리를 위한 실무협의, 2012.5.2 협상개시 선언, 총 14차례 협상 개최(2012.5월, 7월, 8월, 10월 / 2013.4월, 7월, 9월, 11월 / 2014.1월, 3월, 5월, 7월, 9월, 11월), 2014.11.10 협상 타결 선언, 2015.2.25 가서명, 2015.6.1 정식서명, 2015.8.31 국회비준동의안 상정, 2015.11.30 비준동의안 국회 통과, 2015.12.20 발효
발효 뉴질랜드 2007.2월~2008.3월 민간공동연구, 총 4차례 공식협상 개최(2009.6월~2010.5월) 후 잠정중단, 2013.12.3 공식협상 개시 선언, 총 5차례 협상개최(2014.2월, 3월, 6월, 8월, 10월), 2014.11.15 협상 타결 선언, 2014.12.22 가서명, 2015.3.23 정식서명, 2015.11.30 비준동의안국회 통과, 2015. 12.20 발효
발효 베트남 2011.11월 공동연구보고서 완료, 2012.8.6 협상개시 선언, 총 9차례 협상 개최(2012.9월 / 2013.5월, 10월 / 2014.3월, 5월, 7~8월, 9~10월, 11월, 12월), 2014.12.10 협상 타결 선언, 2015.3.28 가서명, 2015.5.5 정식서명, 2015.11.30 비준동의안 국회 통과, 2015.12.20 발효
발효 콜롬비아 2009.3월~9월 민간공동연구, 총 6차례 공식협상 개최(2009.12월 / 2010.3월, 6월, 10월 / 2011.10월 / 2012.4월), 2012.6.25 협상 타결 선언, 2012.8.31 한-콜롬비아 FTA 가서명, 2013.2.21 한-콜롬비아 FTA 정식 서명, 2016.7.15 발효
타결 중미5개국 2010.10월 공동연구 개시, 2011.4월 공동연구 보고서 완료, 2015.6월 협상 개시 공식 선언, 7월 한중미 FTA 예비협의, 총 7차례 공식협상 개최(2015.9월, 11월 / 2016.2월, 5월, 8월, 9월, 10월), 2016.11월 실질타결, 2017.3월 가서명 (*중미 5개국: 파나마,코스타리카,과테말라,온두라스,엘살바도르, 카라과) 2018.2월 정식서명, 2018.11월 비준동의안 제출
협상진행 한중일 2003년~2009년 민간공동연구, 2010.5월~2011.12월 산관학공동연구, 2012.5월 3국정상 회의시 “연내협상개시목표” 합의, 2012.11.20 협상개시선언, 총5차례 협상개최(2013.3월, 7월~8월, 11월 / 2014.3월, 9월, 11월), 총5차례 실무협상개최(2014.11월 / 2015.4월, 7월, 12월 / 2016.4월), 총3차례 수석대표협상 개최(2015.1월, 5월, 9월). 총15차례 공식협상 개최(2013.3월, 7월~8월, 11월 / 2014.3월, 9월, 11월 / 2015.1월, 4월, 5월, 7월, 9월, 12월 / 2016.1월, 4월, 6월 / 2017.1월, 4월/2018.3월, 12월/2019.4월)
협상진행 RCEP 2011.11월 ASEAN이 RCEP 작업계획 제시, 2012.11.20일 동아시아 정상회의 계기 협상개시 선언, 총 24차례 협상 개최(2013.5월, 9월 / 2014.1월, 3~4월, 6월, 12월 / 2015.2월, 6월, 8월, 10월 / 2016.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 2017.3월,5월, 7월,10월/ 2018.2월, 5월,7월,10월/ 2019년.6월) (*RCEP: 한국,중국,일본,호주,뉴질랜드,ASEAN)
협상진행 에콰도르SECA 2012.4월 통상교섭본부장 에콰도르 통상차관 면담 계기 한-에콰도르 TA 타당성연구 진행 합의, 9월~2013.6월 민간공동연구 실시, 2015.2월 한-에콰도르 TA 추진가능성 검토 회의, 4월 한-에콰도르 TA 추진 관련 대국민 공청회, 8월25일 한-에콰도르 SECA 협상 개시 선언, 12월 예비협의 개최, 총 5차례 협상 개최(2016.1월, 3월, 8월, 10월, 11월)
협상진행 이스라엘 2009.8월 민간공동연구 개시, 2010.8월 공동연구 완료, 2016.5월 협상개시 합의, 총 6차례 공식협상 개최(2016.6월, 12월 / 2017.3월, 4월, 5월 / 2018.3월)
협상진행 한-아세안 추가 자유화 2019.2월 제17차 이행위원회 개최 
협상진행 한-인도 업그레이드 2018.12월 제7차 협상 개최
협상진행 한-칠레 업그레이드 2018.11월 제1차 개선협상
협상진행  MERCOSUR 2017.3월 예비협의 완료 및 협상 개시를 위한 공동선언문 서명, 2017.4월  공청회 개최 (*MERCOSUR:아르헨티나,브라질,파라과이,우루과이,베네수엘라), 2017.12월 신속한 협상개시 중요성에 합의, 2018.5월 협상 개시 공식선언/ 총 2차례 협상 개최(2018.9월/2019.4월)
협상진행 영국 협상원칙적타결(2019.6월)
협상진행 러시아 서비스 투자 제 1차협상 개최(2019.6월)
협상진행 말레이시아 국회보고(2019.5월)
협상진행  필리핀 제1차협상 개최(2019.6월)
재개,개시 여건조성 멕시코 2007.12월 기존의 SECA를 FTA로 격상하여 협상 재개, 2008.6월 제2차 협상 개최, 2016.11월 멕시코와 통상차관 회담 계기 예비협의 개최 합의
재개,개시 여건조성 GCC 2008.7월 협상 개시, 2009.7월 제3차 협상 개최 (*GCC: 사우디,쿠웨이트,UAE,카타르,오만,바레인)
재개,개시 여건조성 EAEU 2016.8월 민간공동연구완료, 3차례  한·EAEU 정부간 협의회 개최(2016.10월, 11월 / 2017.4월), 2017.9월  한러정상회담 계기 FTA협의를 위한 공동실무작업반 설치 합의 (*EAEU:  러시아,카자흐스탄,벨라루스,아르메니아,키르기즈스탄)



-작성자:최고관리자
  • URL 복사
  • Naver Blog로 보내기
  • Naver Band로 보내기
 
추천 0

물류사전 목록

Total 9,130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2025-07-04 02:12:20


사이트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제휴문의
광고문의 고객센터
상호명: 브랜뉴플래닛(주)  
사업자등록번호: 816-88-02513
직업정보제공신고번호: J1204-020-230007
통신판매번호: 제2023-서울강서-0354호
Copyright © 브랜뉴플래닛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