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elanconium fuligineum Scribner & Viala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02-22 11:16
조회 1,906회 /
신고
관련링크
본문
구분 | 병균 |
분류 | 종 |
종(학명) | Melanconium fuligineum Scribner & Viala |
종(국명) | |
검역구분 | 관리병해충 |
일반명 | Ripe rot of grape, Necrotic fleck of grapevine, Bunch rot |
기주 | Fragaria ananassa Duch (딸기, 양딸기, 대화초매, 재배종딸기), Malus domestica Borkh. (사과나무), Musa sapientum L. (바나나(생식용)), Prunus avium L. (양벚나무, 단버찌, 양앵두, 체리), Prunus persica (L.) Batsch (복숭아나무, 복사나무), Vitis vinifera L. (포도나무, 포도(유럽종), 초룡주, 비니페라종) |
분포(발생정보 포함) | ㅇ 온대, 열대 및 아열대에 분포한다.ㅇ BA(2011)에 의하면 이병의 분포지역은 북동 사우스 웨일즈의 와인용 포도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고 table grape 에서는 퀸스랜드주의 Mundubbera에서 보고되어 있음. 인디아, 일본, 그리스, 남아프리카공화국, 미국, 브라질, 뉴질랜드, 호주 |
생태 | ㅇ 부생균으로 노화잎, 낙엽 및 낙과 그리고 동해를 받은 신초끝에서 월동한다. 또한 줄기의 괴저부위에도 월동한다. 개화 직후에 과실에서 병환이 시작되며 포도송이 자루에 거칠은 렌즈모양의 혹이 형성된다. 혹의 죽은 세포로 병원균이 침입하여 포도가 익을 때까지 잠복한다. 사흘안에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이때쯤이면 전염원이 풍부하여 건전포도 에도 감염을 일으켜 병이 급속히 확산된다. 새가 쫀 과실, 충해를 받은 과실 그리고 비에 의해 갈라진 과실에 분생포자가 침입해 감염을 일으킨다. 감염은 12℃부터 시작되며 적온 28∼30℃이다. 균사생장은 36℃ 이상에서 억제된다. ㅇ 병원체의 생육온도는 8℃-36℃이며 생육적온은 28℃이며 분생포자의 발아는 12℃이상에서 이루어지고 38℃까지 발아가 가능. 주로 포자가 공기에 의해 전염되며 감염된 가지를 통해서도 전염 줄기와 포도과실에서 월동을 함 (Christopher, 2007; Longland, 2008)포도의 생육 기간 중에서도 발생을 하며 수확 후 저장병으로도 매우 중요하며, 분생포자가 포도과실의 표면에 존재하므로 감염된 과실에서 다른 과실로 전염이 이루어지므로 따라서, 육안상의 병징이 없는 상태의 포도도 병원체의 전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음 (Ullasa and Rawal, 1986; AQIS, 2010) |
피해 | 다익은 과실에 썩음병을 일으켜 피해를 준다. 이 병에 걸린 포도는 생식용이나 포도주용을 불문하고 이용성이 극히 떨어진다. 머스크딘 포도에서 특히 심하게 발병하며 전 생육기간을 통하여 피해를 준다. |
-작성자:최고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