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iaporthe helianthi Munt.-Cvetk., Mihaljc. & M. Petrov 1981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02-22 11:09
조회 2,447회 /
신고
관련링크
본문
구분 | 병균 |
분류 | 종 |
종(학명) | Diaporthe helianthi Munt.-Cvetk., Mihaljc. & M. Petrov 1981 |
종(국명) | |
검역구분 | 관리병해충 |
일반명 | stem canker of sunflower, stalk rot of sunflower |
기주 | ○ Arctium lappa(우엉), Fraxinus excelsior(구주물푸레), Helianthus annuus(해바라기), Helianthus sp., Vitis vinifera(포도), Xanthium italicum(가시도꼬마리, 귀화), Xanthium strumarium(도꼬마리), Xanthium sp. (CABI, 2016; USDA, 2016) ○ 오랜기간 해바라기를 널리 재배되고 있는 유럽, 북미 등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피해를 나타냄. 야생 해바라기종들은 동병에 저항성인 것으로 보고되었으며(Dozet et al., 1996) 저항성품종 육성에 이용됨. |
분포(발생정보 포함) | ○ 아시아(파키스탄), 아프리카(모로코), 아메리카(멕시코, 미국, 아르헨티나, 베네주엘라), 유럽(불가리아, 크로아티아, 프랑스, 헝가리, 이탈리아, 몰도바, 루마니아, 러시아,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스페인, 우크라이나, 유고)(CABI, 2016), 오세아니아(호주) * 1979년 유고에서 최초 보고(Acimovic and Straser, 1982)되었으며 1983년 미국에서 보고되었으나(Herr et al., 1983). 그 기원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음. 해바라기를 재배하는 대부분의 유럽국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짐(CABI, 2016) 파키스탄, 루마니아, 불가리아,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헝가리, 러시아연방, 우크라이나, 몰도바, 슬로바키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멕시코, 미국, 베네주엘라, 아르헨티나, 호주 |
생태 | ○ 1970년대 후반 유럽에 발생 여러국가에 확산되었으며 감염된 종자에 의해 전파되는 것으로 여겨짐(CABI 2016) ○ 기주의 개화기, 결실기, 영양생장기에 발생하며, 가장 두드러진 병징은 잎자루가 붙는 부위에서 시작되는 갈색줄기반점으로 잎부위로 진전하여 주맥 붕괴로 경계를 이루며 잎맥에서 잎자루를 통해 줄기로 확산됨. 줄기의 반점이 커지고 회색 또는 검은색을 띄며 줄기를 둘러쌈(CABI 2016) ○ 감염된 잎은 쪼글쪼글 해지나 식물체에 남아있으며, 줄기의 상부는 마르고 속(pith)은 붕괴되고 움푹 꺼진 줄기는 도복현상을 나타내며 고사됨. 두상화의 발달이 감소되고 종자가 성숙되지 않으며 화서위에도 갈색 또는 흑색의 반점이 나타남(CABI 2016) ○ 토양위의 감염된 식물체 잔재물(자낭각) 또는 오염된 종자에서 월동함. 보통 개화기 이후 잔재물 등에서 월동한 자낭각의 자낭포자가 잎에 침입, 병환을 이어감. 감염된 조직에 다량의 분생포자가 포함된 병자각이 나타나나 뚜렷한 발아나 감염환에서의 역할은 보이지 않음(Mihaljevic et al., 1985) ○ 최적기온 25~27℃, 강우나 이슬, 높은 습도가 병의 감염에 적합한 조건으로 알려져 있음. 그러나 발생지역(이탈리아, 프랑스)에 따라 유사한 기후조건에도 불구하고 병의 발생정도, 피해 등에서 다른 양상을 보임(Battilani et al., 2003) ○ 포자에 의한 자연적인 확산은 근거리에 국한되나 해바라기 잔재물, 농기계 등에 의해 새로운 지역으로 옮겨지며 원거리의 확산은 감염된 종자에 의함. 심하게 감염된 두상화의 종자의 경우 감염될 수 있으나 활력 유지, 수확, 유통의 가능성은 크지 않음. 감염된 종자의 병원체는 10개월 보관 후에는 활성을 잃음이 보고된 바 있으며(Slyusar's et al., 1998) 종자전염은 이미 발생한 지역에서는 감염원으로서 중요도가 낮으나 새로운 지역으로의 유입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Battilani et al., 2003). 러시아내의 병의 확산 수단으로서 종자전염 가능성이 보고된 바 있음(Smetnik et al., 1998) ○ 꽃, 화기, 구과, 꽃받침, 열매, 잎, 줄기, 가지, 종자의 이동에 의해 전파 가능함. |
피해 | ○ 북미의 야생해바라기에 대한 영향은 보고된 바 없으며 유럽에 침입했다고 할 수 있으나 자연적인 요인보다 인간활동에 의해 확산된 것으로 여겨짐. 유럽에서 재배되는 해바라기는 단일종의 일년생 외래작물로 동병원균으로 인해 재배범위가 영향을 받지는 않으며 환경에 영향을 줄 가능성 또한 제한적임. 살곰팡이제를 이용한 방제, 재배 감소, 토지이용 등에 대한 환경적 영향은 아직까지 해바라기의 원산지인 북미에서도 밝혀진 바 없음(CABI 2016) ○ 조기노화에 따른 생산물의 크기, 무게 및 오일 함량 감소를 가져오며 주된 생산량 감소는 보통 결실기 및 생리적 성숙기에 일어나는 줄기의 약화 및 도복현상으로 인해 일어남(Duane 2007). 동병에 의해 46%이상의 생산량 감소가 일어날 수 있으며 몰도바와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북부 코카서스 지역에서 최대의 피해가 나타난 바 있음(AgroAtlas). NSA의 조사 결과 2007년 Minnesota의 해바라기 22%가 감염되어 수확량 감소를 나타냈으며, North Dakota의 경우 40%가 넘는 발생율을 나타냄이 보고된 바 있음(Wikipedia 2016) |
-작성자:최고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