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porthe helianthi Munt.-Cvetk., Mihaljc. & M. Petrov 1981

본문 바로가기
물류뉴스
사이트 내 전체검색


 
 

포워더케이알 로그인

포인트 무료 충전
LOGISTICS TOOL
추천 물류서비스
물류업체 광고보드
물류사전

Diaporthe helianthi Munt.-Cvetk., Mihaljc. & M. Petrov 1981

페이지 정보

신고

본문

구분 병균
분류
종(학명) Diaporthe helianthi Munt.-Cvetk., Mihaljc. & M. Petrov 1981
종(국명)  
검역구분 관리병해충
일반명 stem canker of sunflower, stalk rot of sunflower
기주 ○ Arctium lappa(우엉), Fraxinus excelsior(구주물푸레), Helianthus annuus(해바라기), Helianthus sp., Vitis vinifera(포도), Xanthium italicum(가시도꼬마리, 귀화), Xanthium strumarium(도꼬마리), Xanthium sp. (CABI, 2016; USDA, 2016) ○ 오랜기간 해바라기를 널리 재배되고 있는 유럽, 북미 등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피해를 나타냄. 야생 해바라기종들은 동병에 저항성인 것으로 보고되었으며(Dozet et al., 1996) 저항성품종 육성에 이용됨.
분포(발생정보 포함) ○ 아시아(파키스탄), 아프리카(모로코), 아메리카(멕시코, 미국, 아르헨티나, 베네주엘라), 유럽(불가리아, 크로아티아, 프랑스, 헝가리, 이탈리아, 몰도바, 루마니아, 러시아,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스페인, 우크라이나, 유고)(CABI, 2016), 오세아니아(호주) * 1979년 유고에서 최초 보고(Acimovic and Straser, 1982)되었으며 1983년 미국에서 보고되었으나(Herr et al., 1983). 그 기원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음. 해바라기를 재배하는 대부분의 유럽국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짐(CABI, 2016)

파키스탄, 루마니아, 불가리아,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헝가리, 러시아연방, 우크라이나, 몰도바, 슬로바키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멕시코, 미국, 베네주엘라, 아르헨티나, 호주
생태 ○ 1970년대 후반 유럽에 발생 여러국가에 확산되었으며 감염된 종자에 의해 전파되는 것으로 여겨짐(CABI 2016) ○ 기주의 개화기, 결실기, 영양생장기에 발생하며, 가장 두드러진 병징은 잎자루가 붙는 부위에서 시작되는 갈색줄기반점으로 잎부위로 진전하여 주맥 붕괴로 경계를 이루며 잎맥에서 잎자루를 통해 줄기로 확산됨. 줄기의 반점이 커지고 회색 또는 검은색을 띄며 줄기를 둘러쌈(CABI 2016) ○ 감염된 잎은 쪼글쪼글 해지나 식물체에 남아있으며, 줄기의 상부는 마르고 속(pith)은 붕괴되고 움푹 꺼진 줄기는 도복현상을 나타내며 고사됨. 두상화의 발달이 감소되고 종자가 성숙되지 않으며 화서위에도 갈색 또는 흑색의 반점이 나타남(CABI 2016) ○ 토양위의 감염된 식물체 잔재물(자낭각) 또는 오염된 종자에서 월동함. 보통 개화기 이후 잔재물 등에서 월동한 자낭각의 자낭포자가 잎에 침입, 병환을 이어감. 감염된 조직에 다량의 분생포자가 포함된 병자각이 나타나나 뚜렷한 발아나 감염환에서의 역할은 보이지 않음(Mihaljevic et al., 1985) ○ 최적기온 25~27℃, 강우나 이슬, 높은 습도가 병의 감염에 적합한 조건으로 알려져 있음. 그러나 발생지역(이탈리아, 프랑스)에 따라 유사한 기후조건에도 불구하고 병의 발생정도, 피해 등에서 다른 양상을 보임(Battilani et al., 2003) ○ 포자에 의한 자연적인 확산은 근거리에 국한되나 해바라기 잔재물, 농기계 등에 의해 새로운 지역으로 옮겨지며 원거리의 확산은 감염된 종자에 의함. 심하게 감염된 두상화의 종자의 경우 감염될 수 있으나 활력 유지, 수확, 유통의 가능성은 크지 않음. 감염된 종자의 병원체는 10개월 보관 후에는 활성을 잃음이 보고된 바 있으며(Slyusar's et al., 1998) 종자전염은 이미 발생한 지역에서는 감염원으로서 중요도가 낮으나 새로운 지역으로의 유입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Battilani et al., 2003). 러시아내의 병의 확산 수단으로서 종자전염 가능성이 보고된 바 있음(Smetnik et al., 1998) ○ 꽃, 화기, 구과, 꽃받침, 열매, 잎, 줄기, 가지, 종자의 이동에 의해 전파 가능함.
피해 ○ 북미의 야생해바라기에 대한 영향은 보고된 바 없으며 유럽에 침입했다고 할 수 있으나 자연적인 요인보다 인간활동에 의해 확산된 것으로 여겨짐. 유럽에서 재배되는 해바라기는 단일종의 일년생 외래작물로 동병원균으로 인해 재배범위가 영향을 받지는 않으며 환경에 영향을 줄 가능성 또한 제한적임. 살곰팡이제를 이용한 방제, 재배 감소, 토지이용 등에 대한 환경적 영향은 아직까지 해바라기의 원산지인 북미에서도 밝혀진 바 없음(CABI 2016) ○ 조기노화에 따른 생산물의 크기, 무게 및 오일 함량 감소를 가져오며 주된 생산량 감소는 보통 결실기 및 생리적 성숙기에 일어나는 줄기의 약화 및 도복현상으로 인해 일어남(Duane 2007). 동병에 의해 46%이상의 생산량 감소가 일어날 수 있으며 몰도바와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북부 코카서스 지역에서 최대의 피해가 나타난 바 있음(AgroAtlas). NSA의 조사 결과 2007년 Minnesota의 해바라기 22%가 감염되어 수확량 감소를 나타냈으며, North Dakota의 경우 40%가 넘는 발생율을 나타냄이 보고된 바 있음(Wikipedia 2016)



-작성자:최고관리자
  • URL 복사
  • Naver Blog로 보내기
  • Naver Band로 보내기
물류사전 목록
번호 글쓴이 제목 날짜 조회 추천
8410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Raffaelea quercivora Kubono & Shin. Ito 인기글 02-22 2811 0
8409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Phytophthora pinifolia Duran et al. 인기글 02-22 2995 0
8408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Leptosphaeria avenaria G.F. Weber 인기글 02-22 3364 0
8407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Rhodococcus fascians (Tilford) Good fellow 인기글 02-22 3102 0
열람중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Diaporthe helianthi Munt.-Cvetk., Mihaljc. & M. Petrov 1981 인기글 02-22 2448 0
8405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Guignardia musae Racib. 인기글 02-22 1810 0
8404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Phoma pinodella (L.K. Jones) Morgan-Jones & K.B. Burch 인기글 02-22 1874 0
8403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Pseudonectria buxi buxi (DC.) Seifert, Gr?fenhan & Schroers … 인기글 02-22 2483 0
8402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Pyrenopeziza brassicae B. Sutton & Rawl. 인기글 02-22 2122 0
8401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전력설비 법정검사로 인하여 사전 전체 정전 인기글 02-22 1947 0
8400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일본 북부 홋카이도 지진 발생 관련 안전유의 인기글 02-22 1399 0
8399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수입물품 유통이력고시개정에 따른 대상물품 및 표준품명변경 인기글 02-22 1598 0
8398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인터넷으로 의약품 사면 안돼요 인기글 02-22 1892 0
8397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Raffaelea lauricola T.C. Harr., Fraedrich & Aghayeva 인기글 02-21 2748 0
8396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Seiridium cardinale (W.W. Wagener) B. Sutton & I.A.S. Gibson 인기글 02-21 2349 0
게시물 검색
이용안내
사이트소개
회원안내
업체등록
배너광고
유료게시판
커뮤니티
모임
물류도구
기타안내
업체정보
포워더
해외파트너
콘솔사
관세사
운송사
해외특송
창고
부대서비스
프로모션
채용정보
채용공고
공고등록
가이드라인
 Q & A 
업무문의
업체문의
견적문의
기타문의
커뮤니티
공지/이벤트
긴급제보
모임
자유게시판
물류안테나
포케TV
물류블로그
선복공유
물류현장
물류자료실
기관협회
프로모션

Membership
개인회원
기업회원
등업안내
포인트안내
포인트충전소
Logistics Tools
CBM 자동계산기
수입통관 조회
화물안전운임 요율 조회
관세청 고시환율 조회
부대비용 계산
국가별 공휴일
화물추적 Cargo Tracing
항구위치
터미널 정보
HS코드
World Freight Forwarder Association
무역보험용어
사이트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제휴문의   |   광고문의 고객센터

상호명: 브랜뉴플래닛(주)  사업자등록번호: 816-88-02513
직업정보제공신고번호: J1204-020-230007 통신판매번호: 제2023-서울강서-0354호
Copyright © 브랜뉴플래닛 All rights reserved.
브랜뉴플래닛(주)는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통관진행 문의는 물류업체에 하시기 바랍니다.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