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자흰씨스트선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9-02-12 10:54
조회 2,236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조회 2,236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관련링크
본문
구분 | 해충 |
분류 | 종 |
과(학명) | Heteroderidae |
과(국명) | 씨스트선충과 |
속(학명) | Globodera |
속(국명) | |
종(학명) | Globodera pallida Behrens |
종(국명) | 감자흰씨스트선충 |
검역구분 | 금지병해충 |
일반명 | |
기주 | 감자가 가장 중요한 기주이다. 토마토와 가지도 침해받는다. 다른 Solanum spp.와 그 잡종도 기주역할을 할 수 있다.이 Globodera 2종은 몇 개의 다른 pathotype이 있다. pathotype은 육종용으로 이용되는 특정 클론과 잡종에서의 증식력에 의해서 구별된다. G. rostochiensis에서는 5개의 pathotype(국제적표기는 Ro 1 - Ro 5)이, G. pallida에서는 3개의 pathotype(Pa 1 - Pa 3)이 있다. 이 pathotype중 몇 개는 특정 재배감자품종(단인자저항성)에서 전혀 증식이 불가능한데, 예를 들면 널리 재배되는 저항성 감자품종들(S. ktuberosum subsp. andigena 클론에 유래한 H₁유전자를 기초로 육성한 품종)은 G. rostochiensis Ro 1에만 저항성이다. 기타 pathotype은 품종에 따라 각기 다른 증식력을 보여준다. Lycopersicon esculentum Miller (토마토), Solanum melongena L. (가지, 가, 조채자, 왜과, 까지), Solanum tuberosum L. (감자, 마령서, 양우, 토두, 산약단, 지단, 양산우), Solanum (가지속, 까마중속) |
생태 | 토양 중의 씨스트(cyst)에 쌓여있던 알이 기주 식물의 뿌리에서 분비되는 물질에 자극을 받아 제2기 유충으로 부화하여 기주식물의 뿌리속으로 침투한다. 각각의 선충은 중심부, 피층 또는 내피의 세포를 흡즙하며, 이 세포들을 일종의 신시튬(syncthium) 또는 전이세포(轉移細胞, transfer cell)로 전환시킨다. 선충은 이 곳에서 2단계의 유충기를 더 거치면서 수컷이나 암컷이 된다. 암컷은 팽창하여 뿌리표면을 뚫고 나오나 뿌리에서 떨어지지 않고 붙어 있는다. 암컷이 뿌리표면으로 튀어나올 때 G. pallida의 암컷은 흰색으로 그 색깔을 끝까지 유지하나 근연종인 G. rostochiensis는 처음에는 흰색이나 후에 4∼6주 동안의 황금색 단계를 거친다. 암컷은 알이 발육할 때까지 뿌리 위에 남는다. 암컷이 완전히 성숙하면 죽고, 껍질은 단단해져서 갈색으로 변하여 일종의 알 보호막(cyst)이 형성된다. 한 개의 씨스트에는 약 500개의 알이 들어있다. 이 때에는 씨스트가 뿌리표면을 떠나 흙속으로 자연적으로 떨어진다. 흙속에서 즉시 부화하여 작물을 침해하거나 휴면상태로 남아 다음작물의 전염원이 되기도 한다. 씨스트는 가지과 작물이 없을 경우 수년간 전염력을 지닌 채로 생존하기도 한다. |
피해 | 감자씨스트 선충은 한랭한 기후하에 재배되는 감자의 중요 선충의 하나이다. 특히 여러pathotype이 존재하므로 저항성품종이 없을 경우에는 더욱 문제가 심각해진다. 현제까지 G. pallida에 대해서는 이 선충의 저항성품종이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감자괴경 크기에 미치는 영향은 단위토양당 선충알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토양g당 20개의 알이있으면 ha당 2t의 감자수량 손실을 초래한다. 감자를 연작하여 선충밀도가 매우 높아지면 외고 80%의 수량감소를 초래한다. |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