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벼줄기선충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02-12 10:56
조회 3,700회 /
신고
관련링크
본문
구분 | 해충 |
분류 | 종 |
과(학명) | Anguinidae |
과(국명) | 씨알선충과 |
속(학명) | Ditylenchus |
속(국명) | |
종(학명) | Ditylenchus angustus Filipjev |
종(국명) | 벼줄기선충 |
검역구분 | 금지병해충 |
일반명 | |
기주 | 벼속(Oryza),겨풀속일종(Leersia hexandra), Echinochola colona, Sacciolepsis interrupta이 선충의 기주는 주로 Oryza spp.의 심수벼와 저지벼에 국한되며 여기에는 O. sativa var. fatua, O. glaberrima, O. minuta, O. cubensis, O. officinalis, O. meyiana, O. latifolia, O. eichingeri, O. alta가 있다. 그외에 기주로는 Leersia hexandra가 마다가스칼에서 기주로 기록되고 있다. 방글라데시에서 토마토(Lycopersicon seculentum)주위의 포장에서 검출된 바 있으나 토마토가 이 선충의 기주인 징후는 없다. 또한 접초인 Echinochola colona와 Sacciolepsis interrupta도 기주이다. Oryza stiva var. terrestris Makino (밭벼), Oryza stiva var. glutinosa (Lour.) Matsum. (찰벼), Oryza sativa L. (벼,쌀, 나락,도, 도자, 수도, 한도, 나, 갱, 도, 선, 도초간, 미강, 밭벼, 논벼), Leersia (겨풀속), Oryza (벼속) |
생태 | 이 선충은 외부기생성으로 어린잎을 가해한다. 겨울에는 한 시간 만에 벼에 침입할 수 있으며 오래된 벼에는 쉽게 침입하지 못한다. 선충은 꼬여있는 잎집 안에서 새로 형성되는 조직을 따라 올라가면서 가해한다. 수확기에는 주로 각 이삭의 하부 작은 이삭의 마른 포(glume)에 꼬여서 휴지기에 들어가나 낱알 속에는 들어가지 않는다.방글라데시의 심수벼(Deep water rice)에서는 이 선충이 5월, 6월 그리고 11월에 증식하여 적어도 3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27~30℃에서 침입이 가장 잘 된다. |
피해 | 본 종은 외부기생성 선충으로 주로 어린 잎을 가해한다. 벼의 영양생장 기간 중에는 어린 잎 기부에 흰얼룩 또는 흰점이 흙탕물 튀기듯이 나타나며, 잎과 잎집에 갈색의 얼룩이 나타나기도 한다. 후에 가서는 갈색이 더 진하게 되고 피해 받은 잎집 안의 잎은 주름이 잡힌다. 어린 잎의 기부는 꼬이며 잎집도 뒤틀리어 하부의 줄기마디는 비정상적인 가지치기를 하면서 부풀어 오르기도 한다. 출수후에는 감염이삭은 보통 오그라들며 속이 차지않고 포(glumes)는 특히 그 기부에 주름이 생기고 이삭 끝과 지엽은 뒤틀리어 꼬인다. 이삭은 부풀은 잎집에서 전혀 나오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만 출수한다. 이 선충의 피해를 받은 논에는 출수 후 여기저기 갈색의 피해 벼를 볼 수 있다.경제적 피해이 선충은 특이한 환경조건을 요구하기 때문에 그 분포가 매우 제한적이다. 종종 국지적으로 발생하며 매년 같은 포장에서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세계적으로 또는 국가적인 수량 감소는 그리 크지 않은 편이다. 방글라데시의 심수벼에서는 년 4% 수량 감소를 초래한 바 있어 이 선충이 발생하면 상당한 피해가 예상되기도 한다.베트남의 메콩 삼각주에서 크게 문제가 되는데는 심수벼, 저지벼, 관개벼에서 50~100%의 수량 감소를 본 바 있으며, 1974년에는 한 성(省)의 수백 ha가 모두 피해를 받아 폐농한 경우도 있다.태국의 저지벼의 500ha가 피해를 받아 20~90% 수량 감소를 초래한 바 있다. 이앙모가 이 선충의 침해를 받으면 초기선충이 침해율이 낮더라도 심하게 피해를 볼 수 있는데 유묘가 4~10% 피해를 받으면 ha당 1.26~3.94t의 수량이 감소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