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갈색둥근무늬병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02-20 15:59
조회 1,166회 /
신고
관련링크
본문
구분 | 병균 |
분류 | 종 |
종(학명) | Diplocarpon mespili (Sorauer) Sutton |
종(국명) | 갈색둥근무늬병 |
검역구분 | 관리병해충 |
일반명 | leaf spot, leaf scald, black spot, quince leaf spot |
기주 | Amelanchier, Cercis, Chaenomeles, Cleyera, Cotoneaster, Crataegus, Cydonia, Eriobotrya, Feijoa, Heteromeles, Malus, Mespilus, Photinia, Pyracantha, Pyrus, Rhaphiolepsis, Sorbus |
분포(발생정보 포함) | *유럽 또는 아시아 원사으로 추정되며 대부분의 배, 모과 재배지역에 분포한다. 아프카니스탄, 이스라엘, 인디아, 일본,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마다카스카르, 모로코, 모잠비크, 케냐, 멕시코, 미국, 캐나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 콜롬비아, 뉴질랜드, 호주 |
생태 | |
피해 | 배와 모과의 피해가 심하며 묘포장의 대목과 접수 모두에 피해를 준다. 여름에 고온 다습한 지역에 발생이 심하고 사과도 상당한 피해를 받는다. 갈색으로 변하고 가끔 괴사구멍으로 진전되거나 서로 유합된다. 심하게 걸린 잎에서는 괴사되며 황화하고 낙엽진다. 피해가 심할적에는 하엽(나무의 1/2이상)이 낙엽된다. 낙엽이 심한 나무는 나무가 위축된것처럼 보이고 수량이 감소한다. 과일에 나타난 병징은 잎병징과 비슷하나 약간 태양에 탄것처럼 된다. 심하게 이병된 과일은 쪼개지기도 한다. 어린줄기에 발생은 한여름에서 늦여름까지 발생되며 증상은 작고 빛깔이 옅은 자흑색 반점이 나타난다. 몇몇의 병징은 대형 궤양으로 진전된다. 대부분 병징은 후년에 껍질에서 떨어져 나가지만 궤양으로 된 병징은 2년간 나무에 존재한다. |
-작성자:최고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