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uignardia musae Racib.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02-22 11:08
조회 1,812회 /
신고
관련링크
본문
구분 | 병균 |
분류 | 종 |
종(학명) | Guignardia musae Racib. |
종(국명) | |
검역구분 | 관리병해충 |
일반명 | |
기주 | ○ Musa acuminata, M. acuminata×M. balbisiana, Musa sapientum, Musa spp.(바나나, banana), Musa×paradisiaca, Musa×sapientum, Musa cavendishii (CABI, 2012; Ars-grin, 2016) Musa acuminata Colla, Musa sapientum L. (바나나(생식용)) |
분포(발생정보 포함) | ○ 아시아(방글라데시, 부탄, 브루나이, 중국, 크리스마스섬,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네팔, 팔라우, 파키스탄, 필리핀, 스리랑카, 대만, 태국, 베트남), 아프리카(콩고, 탄자니아), 아메리카(하와이), 오세아니아(아메리칸사모아, 호주, 쿡아이슬랜드, 피지, 미크로네시아, 뉴기니, 뉴칼레도니아, 뉴질랜드, 니우에, 파푸아뉴기니아, 사모사, 솔로몬제도, 통가, 바누아투)(CABI, 2012: Ars-grin, 2016) * 아시아의 남부와 남동부, 태평양지역에 널리 퍼져 있으며 호주에도 분포함. 네팔, 말레이지아, 방글라데시, 미얀마, 베트남, 부탄,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인디아, 중국, 대만, 태국, 파키스탄, 필리핀, 브루나이, 팔라우, 콩고, 탄자니아, 뉴질랜드, 호주, 통가, 파푸아 뉴기니, 피지, 솔로몬 군도, 바누아투, 마이크로네시아, 그리스마스섬, 뉴칼레도니아섬 |
생태 | ○ 개화기, 결실기, 수확후, 영양생장기 모두에 걸쳐 발생함(CABI, 2012) ○ 바나나재배종인 Musa acuminata와 M. acuminata x M. balbisiana이 주기주임. 하와이와 태국에서 캐번디시 계통(AAA genome)은 감수성이고 조리용바나나인 Bluggoe 계통(ABB genome)은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호주, 파푸아뉴기니아, 남태평양군도에서는 정반대의 현상이 나타나고 남동아시아에서는 두가지 모두에서 피해가 나타남. 이는 병원체에 두가지 유형이 존재하며 이의 분포상황에 따라 계통간의 발병이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며 이 중 캐번디시 계통을 침해하는 유형이 대만과 필리핀에서 캐번디시품종 수출재배단지에서 확연한 피해를 유발함. 그 외에도 교배종 및 Musa속의 다른 종에 속하는 재배종 abacá(M. textilis)과 Musa acuminata subsp. banksii, M. acuminata subsp. banksii x M. schizocarpa, M. schizocarpa 등 야생바나나에도 감염됨(CABI, 2012) ○ 자낭각에서 분출되는 자낭포자, 병자각에서 유출되는 분생포자가 흰색덩어리로 습한 기후나 심한 이슬(결로) 조건에서 점액질의 덩굴모양으로 나오며 병의 유행에 있어 분생포자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자낭포자의 역할은 명확하지 않음(CABI, 2012). ○ 병원체의 장거리 이동은 음식포장과 장식을 위해 사용된 감염된 화기와 잎, 바나나박스의 잎잔재물과 같은 감염된 잎의 조각 그리고 감염된 과실의 이동에 따라 일어남(CABI, 2012). ○ 분생포자는 각각의 분생포자를 둘러싼 점액에 의해 덩어리를 이루나 물에 의해 쉽게 분리되고 잎과 과실표면을 따라 흐르는 물방울로 전파됨. 24℃에서 단 2~4시간만에 발아를 시작하며 12시간이 경과하면 불규칙한 유리질의 부착기(appressorium)를 생성되기 시작하여 18~30시간 후 두꺼운 벽과 격막을 가진 회색빛의 뚜렷한 형태를 이룸. 침입은 24~72시간후 표피세포가 적갈색을 띄면서 시작되어 96시간 후 부착기의 60%가 기주세포의 변색을 가져오고 부착기의 수가 많을 수록 소요시간은 단축됨. 균사의 침입은 부착기의 하부에서 일어나며 세포간극으로 들어가 침입균사가 주변세포로 들어감. 영양생장은 덥고 습한조건에서 20일, 건조하고 서늘한 조건에서 60일까지 일어남(CABI, 2012) ○ 병원균은 감염된 잎조직에서 자낭과와 분생포자과의 형태로 생존하며(Tsai 등 1993) 분생포자과는 과실에도 형성됨이 보고(Meredith, 1968)되었으나 자낭과에 대한 보고는 없으며 유출된 자낭포자와 분생포자의 수명 및 발아력 유지기간 또한 연구된 바 는 없으나 자낭과와 분생포자과는 탈락된 잎과 과실에서 적어도 수주동안 포자를 생산할 수 있는 것임(CABI, 2012) |
피해 | ○ 주로 오래된 잎의 윗면에 두가지 유형의 잎점무늬증상이 나타남. 첫번째 유형은 매우 작은 직경 1㎜정도의 암갈색~흑색 반점이 나타나며 잎이 거무스름하고 거칠게 되고 반점이 모여 중앙맥에서 잎의 가장자리까지 이어지는 비스듬한 줄무늬를 이루며 때로 엽맥을 따라 형성됨. 두번째 타입의 잎반점은 크고 독립적으로 형성된 암갈색~흑색 반점으로 직경은 4㎜정도이며 반점 중앙부는 회색 또는 옅은 황갈색으로 병의 진전에 따라 융합되어 크고 거친 어두운 대형병반이나 줄무늬를 형성함. 심하게 감염된 경우 미성숙된 상태로 죽게되며 반점은 엽병, 중앙맥, 포엽에도 형성됨. ○ 열매에서는 다발 출현 후 감염된 잎으로부터의 물의 흐름에 따라 옮겨지며 빠르면 2~4주에 몇개의 넓게 퍼진 반점들이 나타나고 경우에 따라 밀집되어 줄무늬나 원을 이룸. 과일의 성숙에 따라 병발생이 심해지며 초기의 적은 적갈색 반점이 암녹색의 halo와 수침상조직에 둘러싸이고 과실표면의 반점이 밀집되고 합해져 검게 변하여 과실의 품질을 떨어뜨리나 식감에 영향을 주지는 않음(CABI, 2012) ○ 호주, 남태평양, 아프리카와 서반구의 캐번디시품종의 재배에 있어 심각한 위험이 되고 있으며 병이 발생하지 않은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캐리비안지역으로의 유입 방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조리용바나나품종에 있어서도 피해를 가져올 수 있어 국가사이의 바나나 유전자원의 이동은 항상 조직배양체의 형태로 일루어져야 할 것임(CABI, 2012). ○ 대만에서는 Pei-Chiao(AAA Cavendish subgroup) 품종에 있어 black Sigatoka로 알려진 Black leaf streak disease(BLSD)보다 더 심각한 병으로 여겨지며(Tsae 등, 1993) 필리핀의 캐번디시 계통의 재배종생산에 있어 두 번째로 중요한 병해임. 과실의 표면손상으로 인한 상품성 저하는 캐번디시 바나나시장에 있어 매우 심각한 피해를 가져오며, 심하게 감염된 경우 몇몇 품종에서 오래된 잎의 조기낙엽으로 확연한 수확량 감소를 야기함이 보고된 바 있으며(Tsai 등, 1993) 감염된 잎의 수명은 정상잎의 절반정도로 조사됨(Chuang, 1984). ○ 대만에서 1ha의 바나나재배에 소요되는 비용은 년 평균 대략 4,830$로 이 중 3.4~6.1%(164~295$)가 동병해의 방제에 사용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병의 중요성이 높아져 현재는 black Sigatoka보다 더 심각한 병으로 여겨지고 있음(CABI, 2012) ○ 필리핀 Mindanao의 캐번디시 품종재배지에서 black Singatoka와 동일한 약제로 방제(연간 35~45회 약제살포)가 이루어지나 black Singatoka가 제어된 곳에서도 발생이 기록된 바 있음. 총 생산비용의 30%가 작물보호에 소요되고 연간 1ha당 770~990$의 방제비용(black Singatoka포함)이 소요됨(CABI, 2012) |
-작성자:최고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