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코로나19 글로벌 확산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발표 > 긴급제보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페덱스코리아 프로모션
긴급제보

한국은행 "코로나19 글로벌 확산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발표

페이지 정보

첨부파일

본문

* 보고서 요약:

-  과거 확산사례: 아시아 독감(1957), 홍콩 독감(1968)년 과거 판데믹 사례를 살펴보면 글로벌 감염사태가 발행부터 종료까지 산발적/국지적으로 1~2년간 지속됨.

 두 차례 보두 최초 발생 이후 6개월 간 글로벌 확산 진행, 2개월만에 확산된 최근 코로나19 사태와 비교하면 확산 속도는 느린 편 이었음.

 당시 주요 감염 확산국들은 시차를 두고 1~2분기 성장세 둔화되었음.

=> 코로나19의 경우 세계화에 따른 연계성 강화, 도시화 및 정보화 진전 등으로 세계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과거보다 매우 빠르고 크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

  아시아 독, 홍콩 독감 모두 2차 확산으로 이어진 점을 감안하면, 세계 경제 성장세 둔화가 장기화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움.

 

-  파급경로: 각국의 확산 억제조치와 외부활동 자제로 인한 수요/공급 충격은 실물경제 전반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고, 물적, 인적교류 위축과 글로벌 공급망 훼손 등 세계 경제에 미치는 간접적인 파급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

 주요국 경제의 동반 부진: 코로나19 확산이 세계 경제에서 비중이 큰 주요국(미국, 중국, EU 및 일본 등)에서 1~2개월의 짧은 시차를 두고 확산되면서 세계 경제에 미치는 충격이 과거보다 더욱 클 것으로 예상.

 상품교역 큰 폭 둔화: 주요국 경제의 위상을 감안할 때 이들 경제의 동반 부진으로 글로벌 교역이 위촉되면서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증폭.

* 특히 주요국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높은 중국, 일본, ASEAN 등이 교역 축소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더 크게 받을 것으로 보임.

 인적교류 위축: 각국의 코로나19 확산 억제조치(국경봉쇄, 입국제한 등) 및 불안심리 고조에 따라 인적교류 크게 위축

 공급망 훼손: 사태 장가화 시 중간재 수급차질에 따른 글로벌 제조업의 피해가 불가피

 금융부문을 통한 위기 증폭: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실물 부진 장기화 시 일부 취약국의 재정 및 외환위기, 기업부문의 신용경색으로 이어지는 등 충격이 더욱 증폭될 가능성

 

-  향후 전망: 코로나19 확산이 주요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세계 경제에 전례없는 충격 예상.

 향후 확산이 2/4분기 중 진정되더라도 금번 사태는 세계 경제에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와 버금가는 수준의 충격으로 작용할 가능성

 하반기 중 경제활동 점진적 개선 예상되나, 각국의 확산 억제조치 지속, 해고인력 재고용 지연, 경제주체의 불안심리 잔존 등으로 회복속도는 완만할 전망

 2차 확산이 나타날 경우 금년 중 경제활동 개선 기대하기 어려움





 
수출입 물류업계 긴급정보 가장 빨리 뜨는곳
바로 포워더케이알 오픈채팅방입니다!
  • URL 복사
  • Naver Blog로 보내기
  • Naver Band로 보내기
 

Victor.J 님의 최근 게시물입니다.

  • 게시물이 없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긴급제보 목록

Total 1,765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2025-08-18 00:12:26


사이트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제휴문의
광고문의 고객센터
상호명: 브랜뉴플래닛(주)  
사업자등록번호: 816-88-02513
직업정보제공신고번호: J1204-020-230007
통신판매번호: 제2023-서울강서-0354호
Copyright © 브랜뉴플래닛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