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주차 중국 해운 동향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수신처 제위
막바지
추위가 매섭습니다.
항상 따듯하게 보온하시고 건강 유념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전세계 공급망이 왜곡된지도 2년이 지나가고 있지만 아직도 운송 부분의 병목 현상과 이에 따른 공급망의 원활함은 부족한 상황입니다.
중국의 긴 연휴와 동계 올림픽으로 인한 공장 가동율이 조금씩 회복 되면서 수출 물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연휴
덕분(?)인지는 몰라도 미 서안의 대기 선박은 줄었다고 합니다.
물류의
흐름은 물과 같이 흘러야 한다고 하는데
최근의 문제는 흐름이 곳곳에서 막히고 몰리는 상황이 진행 되는 듯 합니다
일부 선사들이 중국발 화물량 감소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3월초부터는 다시 물량의 증가가 있어 운임이 다시 반등할 거라는 예상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컨테이너와 선박의 추가 공급이 지속되고 있어 고운임 상황은 금년 하반기부터 약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지만 그 시기에 대해서는 각 선사들과 연구소들이 견해를 다르게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무래도 고수익을 내고 있는 선사들은 "이대로 1년만 더" 을 주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를 보고 있는 화주들은 애가타는 상황이구요
일단은 2~3개월은 지켜 보면서 동향을 파악하는 혜안이 필요한 시기 입니다
유첨과 같이 6주차 중국 해운 동향을 송부 드립니다
주요 해운 동향은 아래와 같습니다
- 미주 항로
미 서안의 대기선박이 최대 53척까지 증가하다가 38척으로 감소했다는 좋은 소식 입니다.
그러나 여전한 서부 지역 컨테이너 터미널의 화물 정체와 이에 따른 납기 지연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또하나의 좋은 소식은 미서안 수입 물량의 일시적 감소를 이용하여 터미널 내의 공장비를 대량으로 선적하여 차후 유동성을 확보했다고 합니다
이후로는 안정화 되어 원활한 화물의 흐름이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다만 일부 선사들은 금번 중국 장기 연휴와 체선을 이유로 운항 선박 수량을 감소하여 운임 인하를 막으려는 시도가 있었습니다.
아직도 배가 고픈 모양입니다.
- 구주 항로
구주 지역 또한 수출 화물의 계절적 감소로 인하여 미미하게 나마 인하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이를 통하여 차후 운임이 하락 될 것이라는 예상을 하고 있으나 선사들은 차주부터 다시 반등 할 것이라고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구주 지역의 선박 체선과 장비의 불균형을 근거로 운임 인상을 진행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일부 화주들은 운임 인하를 희망하는 상황입니다.
- 근해 항로
근해 항로 역시 중국발화물의 약세를 근거로 일부 하락세가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른 화주들의 희망과 선사들의 운임 회복세가 맞서는 형국 입니다.
근해항로 전문 선사들은 3월초 전반적인 운인 회복을 단행할 것으로 발표하고 있으나 화물의 증가세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선사들의 진행은 어려울수 있으나 부분적으로는 운임 회복을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장기 계약 화물의 경우 운임 유효 기간 등을 명시하는 협의가 필요합니다.
- CASCADING
컨테이너 선박이 대형화 되면서 중형선 또는 소형선의 중거리 항로 또는 단거리 항로로의 CASCADING 이 이루어진 것은 대체로 10여년전부터 시작된 선사들의 전략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원양 항로의 초 고운임이 실현된 이후로 선형에 관계 없이 원양항로에 많이 배치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금년도 운송이 원활해지고 특히 하반기에 운임이 하락할 경우 이러한 CASCADING 이 다시 한번 진행 될 것을 예측하고 있습니다
20,000 TEU급 초대형선이 주로 운항되는 원양 기간항로에 5,000 TEU급 중형 선박이 운항되고 있는 상황에서 다시 이러한 중형선의 중단거리 항로의 이전은 원양항로 대비 급격한 운임 하락 및 과열 경쟁을 불러올 것으로 예견하고 있습니다.
특히 INTRA ASIA 항로를 전문으로 하는 선사는 이에 대한 대비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경고하고 있습니다.
운임이 과연 제방이 무너지는 듯한 급격한 하락을 가져 올지는 지켜 봐야 할 듯 합니다
- 우크라이나 사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이 시작되고 이에 따른 미국을 위시한 서방 세력의 러시아 경제 제재에 따른 화물량 및 수출입 대금의 송수금이 월활치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월 22일 러시아의 대미 달러 환율은 $1=80RBL(루블)까지 요동을 치고 있으며 2014년 크림 반도 점령 이전 $1=30RBL 에 비하여 루블의 가치는 50%이상 하락한 것입니다
미국의 경제 제재 조치가 유럽과 맞물려 돌아갈 경우 러시아 서쪽은 포탄 날리는 전쟁과 자원 전쟁의 두가지 폭격이 예상됩니다.
이상과 같이 금주 중국 경제 동향을 공유 드립니다
바로 포워더케이알 오픈채팅방입니다!
Dr.No™ 님의 최근 게시물입니다.
- 게시물이 없습니다.
댓글목록

서지파파님의
Lv.1 서지파파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감사합니다.

하늘땅바다님의
Lv.1 하늘땅바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