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수출 CFS 문의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안녕하세요, 베트남 발 3PL을 하는 화주입니다.
두개의 벤더사에서 물품을 소싱해서 1*40FCL로 제 3국에 보내려고 하는데, 베트남은 이 경우 무조건 CFS에서 콘솔작업을 해야하나요?
비용 절감을 위해 LCL처럼 밀크런 방식으로 각 Door에 들려서 싣는 방식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만 정보가 없네요.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지금 바로 물류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세요.
nid_12086613 님의 최근 게시물입니다.
- 게시물이 없습니다.
댓글목록

스마일맨님의
Lv.4 스마일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베트남의 벤더사가 EP(Export Processing Enterprise)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들 기업은 수입한 원자재를 전량 수출해야 하는 기업이라 각 공장의 관할 세관의 감독을 받습니다.
즉 원자재나 완제품의 이동을 할 때 각 관할세관마다 이동 신고를 해야 합니다.
그래서 현실적으로 밀크런 방식은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수출보세가공기업들이 각각 밀리런 방식으로 컨테이너 적입 작업하는 것을 보기는 힘듦니다.)
보통 현지 물류사를 위탁하여 콘솔해서 보낼 수 있습니다.

nid_12086613님의
Lv.1 nid_12086613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확인해보니 한 벤더는 수출만 취급하는 보세 공장이고 한 벤더는 아니라고 하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JONGSUGYEONG님의
Lv.1 JONGSUGYEONG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포트에 입고시키는 과정에서 수출면장을 통해 수출신고 완료된 화물들이 보세구역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LCL 화물은 CFS를 통해 들어가고 FCL은 컨테이너와 함께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자체 콘솔을 하게되더라도 CFS에서 콘솔을 한것처럼 2개 면장과 서류를 접수하여 포트입고를 시켜야 합니다.
즉 자체 콘솔은 가능하나 CFS의 수출면장 접수 및 포트입고과정은 별도로 진행해야 합니다.

nid_12086613님의
Lv.1 nid_12086613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네 답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