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이론] 컨테이너 운송 > 물류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인터지스
물류자료실 [물류자료]

[물류이론] 컨테이너 운송

페이지 정보

본문

컨테이너 운송 (Container Transport)

 

1. 컨테이너 정의

 

 - 팔레트와 함께 유닛로드시스템을 구현해주는 운송용기

 - 운송의 3대 원칙인 경제성, 신속성, 안전성을 충족시키는 운송도구

 - 일관복합운송을 가속화하는 표준 운송용기



2. 컨테이너 운송 장·단점


(1) 장점


 - 모든 화물의 동질화를 통해 표준화된 물류활동 구현 및 복합운송 실현

 - door to door 운송을 통한 시간 및 경비 절감

 - 선적 및 양륙의 기계화를 통한 경제성, 신속성, 안전성 제고

 - 그 자체가 창고의 역할을 하므로 보관비용 절감 - 화물의 손상 및 도난 감소


(2) 단점

 - 물류설비 설치 및 기기 구입에 따른 초기 투자비 과다

 - 하역설비가 구비되지 않은 항만 이용 불가

 - 컨테이너화할 수 없는 화물의 존재 - 컨테이너 제작 및 수리비용 추가

 - 갑판적 컨테이너 화물의 보험료 증가



3. 컨테이너화 할 수 있는 화물 종류별 구분

 

 - 최적화물(Prime Containerizable Cargo) : 주류, 전자제품, 의약품 등 고가의 운임부담력이 있는 화물

 - 적합화물(Suitable Containerizable Cargo) : 최적화물보다는 저가이면서 적정한 운임부담력이 있는 화물로 전선 와이어류, 백에 포장된 원두, 소맥 등

 - 한계화물(Marginal Containerizable Cargo) : 공컨테이너로 회수하는 것보다 경제적이며 물리적으로 컨테이너에 적입할 수 있는 화물로 선철, 원목, 면화 등

 - 부적합화물(Unsuitable Containerizable Cargo) : 운임부담력이 없거나 물리 적으로 컨테이너에 적입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화물로 모래, 석탄, 철광석 및 원유, 가스 등 위험화물.



4. 컨테이너 구분
 

(1) 용도별 구분

 - Dry Container : 최적화물 또는 적합화물 등 잡화를 적입용으로 가장 대중적

 - Dry Bulk Container : 곡물이나 분말형태의 화물 운송용

 - Reefer Container : 육류, 생선, 과일 등 신선제품과 의약품 운송용

 - Ventilated Container : 통풍이 가능한 과일, 채소의 단거리 운송용

 - Live Stock Container or Pen Container : 생동물 운반용

 - Open Top Container : 장척화물 또는 기계류를 개폐식 상부를 통해 적입

 - Flat Rack Container : 바닥면과 4개의 기둥이 있어 승용차, 기계류 적입

 - Platform Container : 바닥면만 있어 부피가 큰 화물 적입

 - Tank Container : 액체화물 운송용 - Car Container : 자동차 운반용

 - Hanger Container : 의류 운반용


(2) 크기별 구분

 - TEU(20ft) : 20’ x 8’ x 8’6“

 - FEU(40ft) : 40’ x 8’ x 8’6“

 - 40ft high cubic : 40’ x 8’ x 9’6“

 - 45ft : 45’ x 8’ x 9’6“



5. 컨테이너 운송 형태

 

 - CY/CY(FCL/FCL, Door to Door) : 운송인 책임은 수출업자의 창고에서부터 수입업자의 창고까지

 - CFS/CFS(LCL/LCL, Pier to Pier)(Forwarder’s Consolidation) : 운송인의 책임은 수출지의 CFS부터 수입지의 CFS까지

 - CFS/CY(LCL/FCL, Pier to Door)(Buyer’s Consolidation) : 운송인의 책임은 수출지의 CFS부터 수입업자 창고까지

 - CY/CFS(FCL/LCL, Door to Pier)(Shipper’s Consolidation) : 운송인의 책임은 수출업자의 창고부터 수입지의 CFS까지



6. 컨테이너 내륙운송 방식

 

 - 공로(도로)운송 방식 : 화주의 문전에서 철도역이나 항만까지 셔틀운송을 하거나 화주의 문전에서 컨테이너 터미널까지 운송. 통상 트랙터가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를 끄는 형태의 세미 트레일러(Semi-Trailer) 방식과 풀 트레 일러(Full-Trailer) 방식이 있음


 - 철도운송 : Piggyback 방식으로 운송하며 COFC(Container on Flat Car) 방식과 TOFC(Trailer on Flat Car) 방식으로 구분. TOFC 방식에서 트레일러 바퀴가 접하는 부분의 화차 높이를 낮게 만든 캥거루 방식도 있음. 최근에는 COFC가 주류



7. 컨테이너 터미널


(1) 의의 및 기능


 - 해상운송과 육상운송(도로운송 및 철도운송)을 연결하는 항만터미널, 항공운 송과 육상운송을 연결하는 공항터미널, 내륙 컨테이너 기지인 ICD(Inland Container Depot) 등으로 구분


 - 컨테이너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유통을 위한 업무 수행 장소


 - 컨테이너의 선적 및 양륙, 트럭 및 화차에 의한 컨테이너 반출입, 컨테이너 장치, 공컨테이너 인계인수 및 관련기기의 정비 및 수리 장소


※ ICD의 기능


 - 항만 주변의 혼잡을 피하기 위해 설립한 내륙통관기지

 - 내륙화물의 집하, 분류, 보관 장소 - 공컨테이너 및 장기화물 보관기지

 - CFS를 활용한 혼재 - 선사, 보험회사, 금융기관, 세관 등이 입주하여 B/L 및 보험증권 발급, 대금 결제 및 통관 등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내륙 터미널


(2) 항만터미널 구비 요건

 - 컨테이너선의 접안 및 계류가 가능하고 Gantry Train의 설치

 - 육상운송과 연계할 수 있는 장비와 시설 구비

 - 컨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는 CY와 CFS 설치

 -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정보시스템 기반 구축

 - 관리제도와 전문 인력


(3) 구조

 - Berth(선석)

 - Apron

 - Marshalling Yard(Stacking Area)

 - CY(ICD에서는 ODCY(Off Dock CY)라고 함)

 - CFS

 - Container Tower


※ 참고 자료(“박성철 저(2008), 국제운송물류론, 학문사”에서 발췌 인용)


00a08dcaab2a716d4cbde58e90ffa840_1571190893_1413.png
 

(4) 장비


 - Gantry Crane or Container Crane

 - Transfer Crane or Transtainer

 - Straddle Carrier

 - Reach Stacker

 - Yard Tractor and Trailer 등
 


-작성자:seaplanner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9-10-20 22:13:40 물류블로그에서 이동 됨]
  • URL 복사
  • Naver Blog로 보내기
  • Naver Band로 보내기
 

seaplanner 님의 최근 게시물입니다.

  • 게시물이 없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물류자료실 목록

Total 2,151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2025-07-16 00:27:55


사이트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제휴문의
광고문의 고객센터
상호명: 브랜뉴플래닛(주)  
사업자등록번호: 816-88-02513
직업정보제공신고번호: J1204-020-230007
통신판매번호: 제2023-서울강서-0354호
Copyright © 브랜뉴플래닛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