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이론] 보관 (Stock)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보관 (Stock)
1. 개념 및 필요성
- 물품을 물리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여 고객의 주문에 따라 피킹(picking), 분류 (sorting), 검품 및 출고하여 배송하기까지의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활동으로 생산과 소비의 시간적 거리를 조정하는 시간적 효용(time utility) 창출 활동
- 한국산업표준 : 물품을 일정한 장소에서 품질 및 수량 유지와 함께 적절한 관리 하에 일정기간 저장하는 것
- 보관은 물품의 생산과 소비 사이에 위치한 물류의 일부분으로 최근에는 단순한 stock 개념에서 flow의 개념으로 변화
- 고객서비스의 최전선에 위치해 있으며 단순한 저장이 아닌 비용과 서비스의 trade off를 전제로 수송과 배송 사이의 윤활유 역할
- 수배송 경로(link)의 접점이 이루어지는 물류거점(node) 역할
2. 기능
- 생산과 판매 사이의 완충기능(공급과 수요 조절 기능)과 수송과 배송 사이의 분기점으로서 중간기지 기능
- 적정수준의 재고보유를 통해 구매비, 운송비, 생산비 등을 상쇄하여 기업의 총 물류비를 최소화하는 기능
- 단순한 저장 뿐 아니라 분류, 유통가공, 재포장, 검품 등 부가가치 창출 기능
- 효율적인 재고관리를 통해 고객의 주문에 대응하여 제품의 품절을 방지하고 발주시 신속, 정확하게 고객에게 물품을 인도해주는 마케팅 기능
- 원자재의 사용이나 제품의 판매 전까지 세금의 부과를 늦추는 생산 및 판매 기능
3. 원칙
- 통로대면보관 원칙
- 높이쌓기 원칙
- 선입선출(FIFO : First In First Out) 원칙
- 회전대응보관 원칙
- 동일성 및 유사성 원칙
- 중량특성 원칙
- 형상특성 원칙
- 위치표시 원칙
- 명료성 원칙
- 네트워크 보관 원칙
-작성자:seaplanner 오토스토어 적용사례 보기
#창고자동화#자동화창고#물류자동화#물류시스템#창고#스토리지#물류#warehouse#풀필먼트#이커머스#대형창고#창고관리#창고물류#물류창고#로봇#큐브형#esg#창고설계#scm#물류관리#상하차#물류센터
seaplanner 님의 최근 게시물입니다.
- 게시물이 없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