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이론] 재고관리 ( Inventory Management)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재고관리 ( Inventory Management)
1. 재고(Inventory)의 정의와 필요성
- 경제적 가치를 지닌 유휴상태의 자원
- 미래에 사용하기 위해 기업이 준비하여 보관하고 있는 유휴의 원자재, 부품, 재공품, 완제품 및 비품
- 원자재 재고를 보유함으로써 생산활동의 독립적 운영 가능
- 완제품 수요가 불확실한 경우 재고를 통해 제품 수요의 변동폭에 대처
2. 종류
- 수송중 재고 : 원자재 공급자에서부터 생산자의 자재창고까지 이동 중이거나 생산자의 창고에서 물류거점이나 수요자로 이동 중인 재고
- 투기성 재고 : 물류관리보다 재무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비용절감이나 투기를 목적으로 가격이 낮을 때 매입하는 재고(금, 은, 동과 같은 원자재)
- 안전재고 : 평균수요와 평균조달기간을 충족시키기 위한 재고로서 조달기간 동안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재고
- 불용(침몰) 재고 : 재고기간동안 손상, 분실 및 진부화된 재고
3. 재고관리의 목적
- 재고투자나 재고비용의 절감
- 운전자금의 원활화 - 품절 방지를 통한 서비스율 향상
- 매출기회의 창출
- 조업의 안정화
4. 재고관리 비용
- 주문(발주)비용 : 필요한 물품을 외부에서 구입할 때 구매 및 조달에 수반 하여 발생하는 비용(주문발송비, 통신비, 물품수송비, 하역비, 검사비, 입고비, 통관료 등)
- 준비비용 : 필요한 물품을 외부에서 구입하지 않고 기업 자체에서 생산할 때 발생하는 비용(노무비, 설비 및 기기 교체비, 원료 준비비 등)
- 재고유지비용 : 재고보유시 발생하는 비용(창고사용료, 창고유지관리비, 보험 료, 세금, 이자(재고에 투하된 자금에 대한 기회비용), 진부화비용 등)
- 재고부족비용 : 재고부족으로 인한 생산중단, 판매기회 손실, 고객신용 하락
* 총재고비용 = 주문비용(준비비용) + 재고유지비용 + 재고부족비용
* 따라서 총비용을 최소화하면서 고객서비스 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
5. 재고관리 관련 지표
- 서비스율 : 주문량 대비 납품량으로 산출 서비스율 = 납기 내 납품량(액) / 수주량(액) X 100
- Back Order율 : 주문량 대비 결품량으로 산출 Back Order율 = 결품량(액) / 주문량(액) X 100
- 재고회전율 : 재고수량을 최소화하여 재고회전율을 높이는 것이 이상적
재고회전율 = 일정기간의 총매출액 또는 총소비량 / 평균재고액 또는 재고량
평균재고액(량) = 기초재고액(량) + 기말재고액(량) / 2
일평균재고액 = 재고합계액 / 수요(출고) 일수
- 재고일수 = 현재 재고량(액) / 월평균 출하량(액) X 30일
- 재고유지비 = 평균재고량 X 단위당 구매가격 X 단위당 재고유지비율(%)
* SKU(Stock Keeping Unit) : 재고유지단위란 재고관리의 상품단위로 형태, 모습, 기능 등이 동일한 품목으로 정의되고 있는 단위
- 안전재고량 = 안전계수 X 수요의 표준편차 X 루트(조달기간 즉 리드타임)
* 안전계수는 서비스율이 95%(결품율 5%)일 때 정규분포 통계값으로 t =1.65
- 재발주점(ROP : Re Order Point)
재발주점 = (조달기간 X 일일소요량) + (안전계수 X 표준편차 X 루트(조달기간))
일일소요량 = 연간판매량 / 연간영업일수 또는 연간생산량 / 연간작업일수
6. 재고관리시스템(재고관리기법)
(1) 정량발주법(발주점법 : Fixed Order Quantity)
- 대표적인 재고관리기법으로 재고량이 일정수준까지 내려가면 일정량을 주문
- 지속적으로 재고수준(보유재고 + 이미 주문한 양)을 조사하여 재발주점에 다다르면 고정된 주문량을 발주하므로 연속점검시스템(continuous review system)이라고 함
- 대형슈퍼나 백화점 계산대에서 판매한 양을 기준으로 자동적으로 재고수준 을 계산하여 주므로 POS의 한 부분으로 인식
- 매일 일정비율로 소비되는 가격이 싸고 조달기간이 짧은 물품에 적합
(2) 정기발주법(Fixed Order Period)
- 주문기간이 일정하고 주문량은 매번 변동
- 목표 재고수준에서 현재 재고수준을 뺀 양만큼 주문 <정량발주법과 정기발주법 비교>
<정량발주법과 정기발주법 비교>
(3) Two-Bin법
- 하나의 품목을 2개의 상자에 나누어 첫 번째 상자의 물품을 다 소진하면 두 번째 상자의 물품을 사용함과 동시에 주문
- 두 번째 상자의 물품을 소진하기 전에 발주한 물품이 도착해야 함
(4) ABC 분석에 의한 방법
- 물품을 A, B, C 세 그룹으로 나누어 A그룹의 물품은 세밀하고 철저히 관리 하고, B그룹 및 C그룹 물품은 상대적으로 간략하게 관리
- A그룹의 물품은 전체 재고가치 중에서 약 80%에 육박하지만 품목 수는 20%에 못미치고, 반면 C그룹은 재고가치의 약 10% 내외지만 품목 수는 60%에 가까움
- 효율적 재고관리를 위해서는 금액 기준보다 출하수량이나 회수를 기준으로 ABC를 구분하는 것이 합리적
7. 수요예측기법
(1) 정성적 방법
1) 델파이 기법
-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미래수요 예측
-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으나 과거 자료가 없는 경우 사용
2) 시장조사법
- 인터뷰 또는 전화에 의한 조사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원을 활용하여 예측
3) 유추법
- 유사한 제품의 과거 자료를 활용하여 예측
-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를 거치면서 수요의 변화량을 참고하여 예측
(2) 정량적 방법
1) 회귀분석
-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수요)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독립변수의 변화에 따라 수요를 예측
2) 시계열분석 -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나타난 과거 자료를 바탕으로 추세 분석을 통해 예측
3) 가중치 이동평균법
- 최근 추세에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하여 예측
4) 단순 이동평균법
- 일정 기간의 과거 자료에 동일한 가중치로 평균하여 예측
5) 지수 평활법
- 수요 예측량을 전기 실제 수요량과 전기 예측량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예측
수요 예측량 = (전기 실제 수요량 X 가중치) + (전기 예측량 X (1-가중치))
(3) 경제적 주문량(EOQ : Economic Order Quantity)
- 가장 경제적인 1회 주문량(총비용을 최소화하는 주문량)을 결정하는 모형
- 전제조건 단일품목으로 연간수요량이 알려져 있고 매 기간 수요가 일정해야 함
주문량이 동시에 도착해야 하며 할인은 인정되지 않음
조달기간이 일정하고 재고부족현상이 없어야 함
재고유지비용과 주문비용만 있어야 하며 재고유지비는 평균재고량에 비례함
- EOQ = 루트(2 X 1회 주문비용 X 연간수요량 / 연간 단위당 재고유지비용)
연간 단위당 재고유지비용 = 구매단위당 가격 X 연간 재고유지비율
* 연간 최적 주문회수 = 연간 수요량 / EOQ
주문주기 = 365일 / 주문회수
#창고자동화#자동화창고#물류자동화#물류시스템#창고#스토리지#물류#warehouse#풀필먼트#이커머스#대형창고#창고관리#창고물류#물류창고#로봇#큐브형#esg#창고설계#scm#물류관리#상하차#물류센터
seaplanner 님의 최근 게시물입니다.
- 게시물이 없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