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자 메일 계정 이용하는 해커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 사기유형: 이메일 해킹
□ 발생지역: 산티아고(칠레)
□ 발생시기: 2014년 8월
□ 피해금액: 없음
□ 내용
지사화 기업인 A사는 사기 집단이 수출 대금을 가로채 가는 피해를 볼 뻔했다. A사는 바이어 S사로부터 5만7376달러 규모의 주문서를 받았다. 사기집단은 A사 도메인으로 A사 대표를 사칭해 S사에 “기존 국내 계좌가 한국 정부의 회계감사 때문에 사용할 수 없으니 중국 계좌로 대금을 보내 달라”는 내용으로 메일을 보냈다.
무역관은 S사에 송금하지 말고 진상을 확인할 동안 기다려 달라고 요청했다. 곧 S사는 새로운 이메일을 무역관에 전달해 왔다. 지사화 직원으로 근무하다가 퇴사한 ‘Camila Suh’ 주임의 지사화 메일 계정에서 발송된 메일이었으며 계좌 변경 사실을 확인했으니 빨리 송금하라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무역관은 즉시 모든 직원의 업무용 메일의 비밀번호를 변경했고 무역관 주요 바이어에게 이와 비슷한 메일을 받으면 절대 송금하지 말고 무역관에 통보해 달라 요청했다.
확인해 보니 퇴사한 지사화 직원(Camila Suh)은 그런 메일을 보낸 적이 없고 A사 대표 또한 계좌가 변경되지 않았다고 알려 왔다. 무역관은 S사에 사기성 메일임을 통보했고 수출대금 사기 메일 사건은 아무런 피해 없이 마무리되었다.
송금 등 금전 관련 업무는 신속한 처리보다는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거래를 우선으로 해야 한다. 금전 관련 업무의 정보 교환은 창구를 일원화해서 담당자 외의 직원은 메일을 발송하지 않게끔 원칙을 만들어야 한다.
이메일 내용이 평소 사용하는 문구와 다르거나 보낸 사람이 담당자가 아니면 무역관에 이중, 삼중으로 확인을 요청해야 한다. 업무용 이메일 비밀번호는 주기적으로 변경해야 한다.
향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거래 중인 모든 바이어에게 안내하고 업무용 컴퓨터에는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보안 관련 직원교육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출처 : KOTRA 해외시장정보, 무단배포 및 상업적 이용 금지
#무역사기 #포워더케이알 #포워딩 #수출입 물류 #운송클레임 #무역클레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