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프리카지역 무역사기 시도 급증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 가나, 토고, 베냉 등 서아프리카발 사기 시도 기승 -
- 한 달 평균 접수 건수 20건 내외 -
- 프로젝트가 있다고 접근하거나 초동 물량이 크면서 수수료, 제품등록비 요구 시 사기 의심 -
□ 무역사기 현황
ㅇ 최근 가장 빈번한 사기 수법은 정부조달 프로젝트 등을 빙자해 정부나 공공기관을 사칭하거나, 프로젝트 관련 에이전트로 가장해 접근하는 것임.
- 위조한 낙찰서·계약서 같은 서류를 보낸 후 제품 등록비, 은행수수료, 커미션 등의 부대비용을 요구하는데 큰 금액은 아니고 2000달러 내외임. 큰 비용을 요구할 경우 우리 기업이 주지도 않을 뿐더러 주었다고 해도 사기를 당한 후 수사를 의뢰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임.
ㅇ 초동 물량이 크면서 수수료, 등록비용을 요구하는 경우 일단 의심해 볼 필요가 있으며, 주요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통해 발송되는 이메일은 거의 대부분 사기 시도일 확률이 매우 높음.
- 이메일을 통한 대규모 상품 수입, 낙찰 등은 전형적인 사기 수법이므로 의심되는 오퍼나 인콰이어리는 우선 KOTRA 현지 무역관에 요청해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함.
ㅇ 지난 3년간 무역 사기 유형에는 서류 위조가 가장 많았고, 이어 수수료 등 금품 사취, 결제 관련 사기, 이메일 해킹 등이 있었음. 지역별로는 아프리카가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유럽, 중국 등의 순이었음.
- 특히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에서는 서류 위조나 금품 사취의 사기 유형이 많았고, 나이지리아와 가나에서는 각각 100건 이상의 무역사기가 발생했음. 최근에는 토고나 베냉에서 비슷한 부류의 사기수법이 기승하고 있음.
- 현지에서 금이나 광물 거래를 할 때는 해당 국가 정부기관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그렇지 않으면 불법 또는 사기의 가능성이 매우 큼.
□ 무역사기 사례
1) 제품 등록 사기
ㅇ 자신을 입찰 참여 에이전트로 소개하고 가나 정부가 발주한 아이폰 리튬 배터리 5만 개 경쟁 입찰이 있다며, 제품 스펙을 상세히 제공해 우리 기업의 관심을 유도한 후 입찰 참여를 위한 필수요건으로 제품 등록비(2000달러)를 요구함.
2) 샘플 사기
ㅇ 전력 관련 프로젝트 발주처 유력인사와의 친분을 과시하며 계약을 시켜주겠다고 속인 후 고가의 태양광 전력 생산장비(약 3만 달러) 샘플을 무상으로 요구함.
3) 벤더 등록 사기
ㅇ 토고 정부가 발주한 미용 마스크팩 입찰이 있다며, 입찰참여를 위한 벤더등록을 위해 등록비 500달러를 요구함.
□ 사기 예방법 및 유의사항
ㅇ 사기업체로 의심이 된다면 먼저 구글 등 해외 포털 사이트를 통해서 바이어가 알려준 현지 기업명이나 주소를 검색해야 함. 해당 기업의 웹사이트가 있다면 모든 메뉴에 들어가 대표자, 주소 등이 정확한 정보인지 아닌지 필히 확인해야 함.
ㅇ 가나, 토고, 베냉 등 서아프리카 지역의 의심되는 업체가 있다면 KOTRA 아크라·아비장·라고스 무역관에 연락해 바이어 확인요청을 해야 함.
ㅇ 입금 직후 사기업체라고 판단된다면 은행에 즉시 전화해 온라인 송금 취소 요청을 해야 하며, 피해를 입은 경우 경찰관서에 즉시 신고해야 함.
ㅇ 바이코리아(buyKOREA)에서는 무역사기 예방을 위해 온라인 무역사기 유형 및 예방방법과 요주의 바이어 목록을 제공하고 있음.
- 관련사이트: http://www.buykorea.org/sp/BKSPMNG010M.html?TOP_MENU_CD=&LEFT_MENU_CD=&MENU_CD=F0381
□ 시사점
ㅇ 서아프리카에서 진위 여부가 의심되는 업체가 있다면, KOTRA 무역관에 확인 요청해 피해를 방지해야 함.
- 서아프리카 소재무역관 및 관할지는 KOTRA 아크라 무역관(가나, 토고, 베냉, 부르키나 파소), 라고스 무역관(나이지리아, 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차드, 니제르), 아비장 무역관(코트디부아르, 시에라리온, 세네갈, 라이베리아, 기니, 감비아, 기니비사우)임.
- KOTRA 무역관에 바이어 확인 요청 시 의심 업체의 이름, 연락처 등 관련정보를 상세히 제공해주어야 진위여부를 더 정확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음.
ㅇ 최근 무역사기의 유형이 과거에 비해 다양해지고 교묘해지고 있기 때문에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함. 또한 일단 무역사기가 발생하면 피해증명과 보상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미리 사례를 인지하고 계약 전 단계부터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
출처 : KOTRA 해외시장정보, 무단배포 및 상업적 이용 금지
#무역사기 #포워더케이알 #포워딩 #수출입 물류 #운송클레임 #무역클레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