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주제별 물류용어 정의 - #물류관리 > 물류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포워더케이알 로그인

포인트 무료 충전
추천 물류서비스
물류업체 광고보드
물류자료실

물류자료

주제별 물류용어 정의 - #물류관리

페이지 정보

신고

본문

[물류관리]

 

● 3자물류 ( Third Party Logistics : TPL )

 

  하주기업이 고객서비스의 향상, 물류관련 비용의 절감, 물류활동에 대한 운송효율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공급사슬의 전체 혹은 일부를 특정의 전문 물류업자에게 위탁하는 것을 말한다. , 포장, 운송, 보관, 하역, 물류가공, 물류정보처리 일련의 공급사슬에서 요구되는 활동을 외부의 전문 물류업자에게 위탁함으로서 자사물류를 효율화 하는 방식이다.

  3 물류(Third Party Logistics : TPL) 정의에는 크게 가지 관점이 포함되어 있다.  첫째는, 기업이 사내에서 직접 수행하던 물류업무를 외부의 전문물류업체에게 아웃소싱한다는 관점이며, 둘째는 전문물류업체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물류시스템 전체의 효율성을 제고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보는 관점이다.

  3 물류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기업의 물류활동을 수행하는 주체가 누구인가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을 따를 수도 있다.

  첫째는, 기업이 사내에 물류조직을 두고 물류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경우로 이를자사물류(first-party logistics : 1PL)’라고 하며, 둘째는 기업이 사내의 물류조직을 별도로 분리하여 자회사로 독립시키는 경우로 이를자회사물류(second-party logistics : 2PL)’라고 한다. 셋째는 외부의 전문물류업체에게 물류업무를 아웃소싱하는 경우로 이를3 물류(third-party logistics : 3PL)’라고 부를 있다.

  3 물류(third-party logistics : TPL, 3PL)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시기는 1980년대 후반부터라고 있다. 1988 미국의 물류관리협회(CLM) 화주를 대상으로 물류서비스 조사에서 3 제공자(third-party providers)라는 용어가 최초로 사용된 이후, 산업계의 급속히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다. CLM 정의에 따르면 3(third-party) 물류채널내의 다른 주체와의 일시적이거나 장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물류채널내의 대행자 또는 매개자를 의미하며, 화주와 단일 혹은 복수의 3자간에 일정 기간동안 일정 비용으로 일정서비스를 상호합의하에 수행하는 과정을 3 물류 또는 계약물류(contract logistics)라고 정의하고 있다(CLM, 1989). 이처럼 3 물류는 기업이 사내에서 수행하던 물류기능을 아웃소싱(outsourcing)한다는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고 있다. 물류아웃소싱이란 기업이 사내에서 수행하던 물류업무를 전문업체에 위탁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이 물류아웃소싱을 도입하는 이유는 이를 통해 물류관련 자산비용의 부담을 줄임으로써 비용절감을 기대할 있고, 전문물류서비스의 활용을 통해 고객서비스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사의 핵심사업분야에 더욱 집중할 있어서 전체적인 경쟁력을 제고할 있다는 기대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물류아웃소싱을 특수관계가 없는 물류서비스 제공업체에게 위탁할 이를 3 물류라고 부를 있다.

  물류아웃소싱(Oursourcing of Logistics)이라고도 하는 3 물류는 특정 제품에 대한 운송, 보관, 하역 등의 물류기능을 기업 내부에서 수행하는 물류인소싱(Insourcing of Logistics)과는 반대되는 개념이다.

 화주에 대해서 물류개혁을 제안하고 포괄해 물류업무를 수탁하는 업무를 말한다. 화주는 상품의 매상고 동향이나 생산계획 등의 기업전략 중핵에 맞는 분야를 포함하여 3자물류 사업자와 효율화로의 노력을 공유하는 것이다. 결국 3 물류는 단순히 비용절감을 위해 물류기능을 외부에 위탁해 실행하는 아웃소싱에 해당하는 낮은 수준에서부터 공급체인상의 물류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측면에 이르기까지 범위가 매우 다양하다고 볼수있다.

 

간판시스템 ( Kanban System )

 

  간판은 기능에 따라 운반지시간판(conveyance Kanban) 생산지시간판(production Kanban)으로 구분되는 , 원래는 한자어 간판을 일본식으로 발음한 것을 영어로 표기한 것이며 신호, 표시, 또는 카드를 의미한다.(운반간판은 인출간판이라고 부르기도 .) 운반간판은 어떤 공정 A에서 다음공정 B 자재를 공급하는 경우에, 공정 B 공정 A로부터 공급받은 자재를 모두 소모했을 운반간판 하나를 공정 A 보냄으로써 다음 자재로트를 보낼 것을 지시하는 기능을 한다. 반면에 생산간판은 공정 A에서 자재로트를 공정 B 보낼 공정 A 하여금 다음 로트생산을 개시하도록 지시하는 기능을 한다. 종류의 간판은 흔히 색깔로 쉽게 구별되도록 하며 간판위에는 품목명, 수량, 행선지 등의 정보를 기재한다.

 

경제적발주량 ( Economic Order Quantity : EOQ )

 

  발주비용과 재고비용의 합을 최소로 하는 1회당 발주량을 말한다. 재고 보충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1회당 발주량이 많아지면, 일정기간당의 발주횟수가 감소되므로 일정기간당 발주비용은 절감된다. 반면 일정기간내 발주횟수가 줄어들면 평균재고량은 증가하므로 재고비용과 보관비용은 증가한다. 다시 말해 발주비용과 재고비용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고 있는데, 발주비용과 재고비용 곡선이 만나는 , 이들 비용의 합을 최소로 하는 1회당 발주량이 존재하게 된다. 발주량을 경제적 발주량이라고 부르고 있다.

곤포 ( Package ) 

 

  넓은 의미로는 개수의 총칭으로 사용되고 좁은 의미로는 베일(bales) 의한 곤포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10 'cases' 5 'bales'와의 합계를 15 ‘packages' 표시한다.

 

공급사슬관리, 공급체인관리 ( Supply Chain Management : SCM )

 

  ‘SCM’이란 제조, 물류, 유통업체 유통공급망에 참여하는 모든 업체들이 협력을 바탕으로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활용, 재고를 최적화하고 리드타임을 대폭적으로 감축하여 결과적으로 양질의 상품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21세기 기업의 생존 발전전략이다. 세계적으로 선도적 위치에 있는 제조업체, 도매배송업체, 유통업체들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들의 거래선들과 협력함으로써 이익을 훨씬 극대화하였다

  , SCM 소비자의 수요를 효과적으로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 신제품 출시, 판촉, 머천다이징, 상품보충 등의 부문에서 원재료 공급업체, 제조업체, 도소매업체 등이 서로 협력하는 것이다.

  상품이나 서비스가 공급자에게서 최종소비자에게 유통되는 과정에서 상향적 또는 하향적 모든 조직이나 프로세서에 관여하는 것을 말하는데, 목적은 총비용을 절감시키면서 고객가치를 중대시키는 있다. , 단순히 개별기업의 범주를 벗어나서 공급사슬에 관련된 기업들의 통합이 필요하며 조달에서 판매 소비에 이르는 재화나 서비스 정보에 모든 프로세스의 효율성 증대가 요구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층의 지원, 정보기술의 활용과 정보공유, 조직성과의 평가시스템 구축, 물류엔지니어링, 정확한 원가 산출, 전략적 제휴 등이 필요하며, 의류나 식품 유통업에서는 QR이나 ECR 등과 같은 기법이 도입되고 있다. 

  원료공급자로부터 소비자에 이르는 전과정에 걸친 기업들의 공동전략으로  기업들이 외부의 다른 회사 사이에 일어나는 거래에서 서로 관련이 있는 업무처리 절차를 상호협력하여 정의하고 단순화하며 정책적 협약을 맺는 것이다.

 

  ‘SCM’이란 고객 투자자에게 부가가치를 창출할 있도록 최초의 공급업체로부터 최종 소비자에게 이르기까지의 상품, 서비스 정보의 흐름이 관련된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경영전략이다(The Global Supply Chain Forum, 1998).

 

  공급망(Supply Chain)’이란 공급업체로부터 고객으로 재화의 흐름이 양방향으로는 정보의 흐름이 이루어지는 공급업체, 제조업체, 도매업체, 소매업체, 고객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시스템이다.

 

공급자·유통업자 공동재고관리 (CMI: Co-Managed Inventory)

 

CR시스템이 제조업체와 유통업체에서 공동으로 운영될 경우 판매·제고정보는 CR시스템이 실행될 때마다 유통업체에서 제조업체로 전송된다. 유통업체로부터 전송된 판매·재고정보는 제조업체의 CR시스템에서 상품수량 예측을 위한 정보로 활용되며, 생산사이클의 생산량 조절에도 사용된다. CMI 거래선간에 추진할 때에는 주문제안서를 제조업체가 작성하고 이를 유통업체가 수정·확정하게 된다. CMI 상품보충에 대한 책임이 유통업체에게 있다는 것이다.

 

공급자주도형재고관리 ( Vender Managed Inventory : VMI )

 

  소매업의 점포관리를 소매업체를 대신해서 공급자인 제조업과 도매업이 하는 것을 말한다. 소매업측에서 자동보충발주를 치밀하게 하더라도 제조업과 도매업에서는 해당 상품이 없는 경우와 출하하기까지 필요이상의 시간이 걸려 납기를 지키지 못하는 경우에 시스템은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데,  VMI(Vendor Managed Inventory) 소매업에 의한 발주단위 자체를 없애고 재고관리를 제조업과 도매업의 손에 맡겨 버리려고 하는 것이다.

  VMI 구축하면 컴퓨터의 발주처리비용이 필요없게 되고 상품의 리드타임 단축과 대폭적인 재고 삭감이 실현될 있다. 제조업과 도매업이 소매업의 점포에서 품절을 감소시키고, 제품의 매상을 증가시킬 있다.  또한 소매업으로부터 제품 파이프라인을 거슬러 전송되는 단품별 매상정보를 제조업과 도매업측에서 시장분석, 상품기획, 단품별 매상예측 등에 이용함으로써 과잉생산과 과잉재고를 방지할 있다.

 

능력소요계획 (CRP: Capacity Requirement Planning)

 

기준생산계획(MPS)에서 수립된 생산수행을 위해 어느 정도의 인원과 기계가 필요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 보통 능력소요계획은 자재소요계획(MRP) 함께 사용된다.

협업적 기획, 예측, 상품 보충. 공급체인 참여업체간 공동의 사업 계획 수립과 정보 공유를 통해 공급체인 전체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ECR응용기술의 가지를 말한다. 비즈니스의 흐름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유통업체와 제조업체가 거래 상품에 대한 공동의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판매, 재고, 판촉행사 등과 관련한 정보를 공유하여 단일 수요 예측치를 도출, 이를 기반으로 생산계획, 상품 보충, 카테고리 관리 등을 수행한다.

 

다품종소량생산

 

  여러가지 품종의 제품이나 부품을 소량 생산하는 . 소품종 대량(다량)생산에 대칭되는 개념으로 종류와 양에 명확한 한계는 없다. 예전에는 대량생산에 속하지 않는 생산형태의 총칭이었으나 최근에는 중품종 중량, 다품종 대량, 다품종 소량 등으로 개념이 나뉘어져 사용되고 있다. 또한 대량생산을 업종에 있어서도 품종 증가에 따라 다품종 소량생산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단위적재 ( Unit Load ) 

 

  컨테이너, 팰리트 또는 이글루(igloo) 화물을 적재하는 행위. 단위물품으로서 저장, 운반, 선적, 하역될 있도록 , 비닐, 상자, 포대, 컨테이너에 담겨진 여러 물품들의 집합. 단위하물. 부하단위.

 

도요다생산방식 ( Toyota Production System )

 

  도요다생산방식은 일본의 도요다 자동차회사의 생산관리 시스템으로서 고객이 필요로 하는 상품을 필요한 만큼 골라서 대금을 지불하는 슈퍼마켓 방식에서 비롯되었다. 생산에 필요한 부품을 필요할 필요한 양을 생산공정이나 현장에 인도하여 ????적시에 생산하는 방식(Just In-Time production)????으로 이뤄지며 불필요한 생산요소를 철저히 배제하면서 부가가치를 높일 있다. 방식은 본질적으로 낭비(waste) 제거를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JIT생산, 소로트(lot) 생산, 자동화, TQC 현장개선 등의 4가지 수단을 이용한다.

 

디지털피킹 ( Digital Picking )

 

  컴퓨터 제어방식을 이용해 상품을 보관할 선반별로 수량표시기를 부착하고 선반에서 꺼내어야 상품의 위치와 수량을 디지털 표시기에 표시하여 피킹하는 것을 말한다. 디지털 피킹은 화물보관 자동화의 방식으로표시장치 부착 선박피킹이라고도 한다.

 

로트사이즈 ( Lot size )

 

  로트생산방식의 적용시 1 생산 로트의 크기로 1회에 가공하는 가공품의 갯수.

 

마킹 ( Marking ) 

 

  상품이나 포장물에 내용 물건에 관한 정보(상품명, 종류, 특징, 수량, 제조자명, 제조년월일 취급사용상의 설명사항, 유통상의 전달사항 ) 표시하는 기법을 가리킨다. 내용물에 따라 수송상의 표시 기재사항을 법규로 정한 것도 있으며, 심벌마크로 하여 시각적 효과를 올리는 것도 있다.

 

무점포판매방식

 

  소비자가 소매점에 직접 가지 않고도 상품을 구입할 있는 판매방식. 통신판매, 전화쇼핑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물류관리 ( Logistics Management )

 

  모든 경제재에 대한 공급과 수요의 공간적, 시간적 불일치를 극복하면서 공급자와 수요자를 이어주는 이동과 보관에 관련된 제반 활동. 물류의 목적은 최소의 비용으로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 최소의 비용을 들여 적절한 품질과 수량의 물품을 적절한 시기와 장소에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고객의 욕구에 경제적으로 부응하도록 수송과 보관뿐만 아니라 이에 수반되는 하역, 포장, 정보처리 등의 물류활동을 총괄적으로 계획하고 통제하는 것이 물류관리이다.

 

물류리엔지리어링 ( Logistics Reengineering )

 

  혁신적인 경영관리기법의 하나인 비즈니스·리엔지니어링(BPR :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기법을 물류분야에 적용한 것으로써, 물류업무의 프로세스, 재료의 발주처리로부터 주문품의 배송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 리엔지니어링의 기본 목표인 고객만족과 가치창출의 관점에서 물류활동의 핵심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제로베이스의 관점에서 근본적으로 재구축하여 경쟁우위의 확립를 꾀하는 것이라고 말할 있다.

  물류리엔지니어링은 부문내, 부문간 또는 기업내, 기업간으로 확대시켜 나갈 있으며, 물류VAN 구축하여 공급자와 소비자간의 물류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SCM이나 물류ABC/ABM 도입이 필요하다.

 

물류벤치마킹 ( Benchmarking for Logistics )

 

  물류분야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선도자적 위치에 있는 기업이나 조직의 물류비나 물류서비스, 물류업무 프로세스 등을 비교하여 자사의 물류성과 개선이나 물류경쟁력 강화에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과정을 말한다.

  물류벤치마팅의 목적은 물류활동과 관련된 현재의 비능률적인 업무 개선이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림으로써 물류목표인 물류비 절감이나 물류 생산성 향상을 달성하는데 있다.

 

물류제로베이스 예산제도 ( ZERO-Budgeting to logistics : 물류ZBB )

 

  ‘70년대에 감량경영하의 예산절감을 위한 예산편성방식으로 개발된 ZBB 도입하게 되면 예산배분에 있어서 기득권의 배제, 예산참가에 의한 동기부여, 현장중심의 물류관리비, 우선순위에 의한 예산배정 등과 같은 성과를 기대할 있다. 다만, 물류ZBB 도입할 경우물류패키지(Logistics Dicision Package)'라고 하는 물류업무 단위별 개별 계획표의 작성과 평가, 그리고 순위결정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 물류 ZBB 도입한 사례는 없으나, IMF상황하에서 제로베이스에 의한 물류자원의 배분이라는 혁신적 비용절감의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서는 물류ZBB 개념은 유용하다.

 

물류활동기준 원가계산/원가관리 ( Activity-Based Costing/Activity-Based Management to Logistics : 물류ABC/ABM )

 

  물류활동별로 원가동인 (물류비의 발생원인이 되는 요인) 식별하고, 동인을 기준으로 해서 물류비를 제품이나 고객 등에게 배부하여 물류활동의 세부적 특성을 고려한 물류비 계산방식 관리시스템을 말한다. 물류ABC/ABM에서는 원가동인을 통해 관리목적에 맞는 유용한 물류비를 측정하고 제공함으로써, 가치를 창조하지 못하는 낭비적이거나 비효율적인 물류관련 활동을 제거 또는 축소하여 물류활동을 대폭적으로 개선하거나 효율화를 꾀하도록 해준다.

선형계획법 ( Linear Programming : LP )

 

  1차식 또는 2 부등식의 제약으로 1차식의 목적 함수를 최소화 혹은 최대화하는 방법. 수리계획법의 한가지로 각종의 제약 밑에서 이익을 최대화하거나 비용을 최소화하는 경우에 자주 이용된다. 오퍼레이션 리서치(OR) 대표적인 수법의 하나로 생산재고계획, 혼합문제, 할당문제, 수송문제 등에 넓게 적용되고 있다.

 

소로트생산 ( Small Lot Production )

 

  재고 낭비의 배제 평준화 생산을 위한 생산준비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로트의 소형화를 도모한 도요다 개발의 생산방식. , 로트의 크기를 크게하면 생산준비 비용의 단위당 부담이 적어지는 반면 과잉생산과 재고의 낭비가 있을 있다는 개념이다. 따라서 소로트 생산에서는 수요변화에의 적응이 쉬운 반면 생산준비 회수가 증대되므로 준비시간의 단축이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된다.

 

소팅 ( Sorting )

 

  특정 난이나 소트키에 관하여 일정의 순서가 되도록 바꾸어 늘어 놓는것. 예를 들면, 수의 크기, 순서 분류작업혹은분류시스템 말한다.

 

스톡포인트 ( Stock Point ) 

 

  재고품의 보관거점을 말한다. 한편 상품의 배송거점이나 장래 수요에 대한 보관거점의 뜻도 포함하고 있다.

 

신속대응 ( Quick Response : QR )

 

  소비자 반응을 즉시 생산과정에 반영해 재고부담을 줄이고 신상품 개발에 도움을 주자는 유통전략의 하나이다. 상품의 기획 단계에서 상품화 단계까지 6개월 정도 걸리는 의류산업에서 도입되기 시작하여 리스크 축소와 재고부담의 축소를 통해 유통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수단으로서 인식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백화점을 비롯한 대형 유통업체와 고객에 대한 제품·상품의 라이프싸이클이 빠른 의류 식료업체 등에서 도입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종합정보시스템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최적의 상품을 최적의 타이밍으로 최적의 가격으로 최적의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상호 거래관계에 있는 기업들이 비즈니스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실시하는 리엔지니어링 기법의 일종.

 

아웃소싱 ( Outsourcing ) 

 

  핵심사업 부문만 모기업이 유지하고 나머지 부문은 외부의 전문업체(Third Party) 의존하는 것을 말한다. 기업은 아웃소싱을 통해 기업비용을 줄일 있고 전문업체에 자산투자 부담을 나누어줘 유연성을 확보함으로써 역동적인 환경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있다. 또한 핵심역량이 있고 부가가치가 높은 부문에 기업의 노력을 집중함으써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높은 수익성을 기대할 있다. 구체적으로 경제적 측면에서 자산투자 일부기능을 전문업체에 분산시킴으로써 재무적 위험을 피할 있으며, 전문기업의 고도 전문지식을 활용하는 한편 R&D 개발비용도 공유할 있어 품질/서비스차별화 원가우위를 달성할 있다. 관리적 관점에서는 핵심사업을 집중하여 경쟁력을 높일 있다. 한편 전문물류기업의 입장에서는 규모의 경제 이점을 누릴 있고 자산능력의 이용률 제고 부담에서 벗어나 원가우위를 확보할 있다. 대신 소수의 계약화주를 대상으로 전문지식과 노하우를 이용하여 수준 높은 고객서비스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공함으로써 이용 기업들에게 경쟁력을 향상시켜 있다.

 

안전재고 ( Safety Stock ) 

 

  생산이나 자재조달의 불확실성에 대처하기 위하여 보유하는 재고로완충재고(buffer stock)’라고도 한다. 재고부족으로 인한 손실이 안전재고의 유지비보다 경우와 안전재고의 유지비가 소액인 경우에 바람직하며, 수준은 수요와 조달기간의 변동에 의해 좌우된다.

 

유니트로드시스템 ( Unit Load System : ULS )

 

  유니트로드시스템이란 하역 방식의 혁신에 의해 수송합리화를 도모하는 것으로서 화물을 일정한 표준의 중량, 혹은 체적(體積)으로 단위화시켜 기계력으로 일관해서 하역, 수송하는 방식이다. 유니트로드시스템은 협동일관수송(intermodal transportation) 전형적인 수송시스템으로서 하역의 기계화 합리화, 화물 파손방지, 적재의 신속화, 차량 회전율의 향상 등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제도는 물류비 절감을 위한 최적의 수송방법으로서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도입하고 있다.

  유니트로드시스템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파렛트(pallet) 사용하는 방법과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방법 2가지로 대별된다.

  파렛트를 이용한 유니트로드시스템은 1940 미국에서 처음으로 개발된 세계 각국에 보급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공장 등의 사업소 구내에서 운반합리화의 수단으로 발전됐는데 forklift 개발되면서부터 기구를 이용하여 발송에서 도착까지 pallet load 상태로 일관하여 수송하는 일관 파렛트화가 도입된 것이다. 그후 화물을 일정수의 파렛트 위에 적재하는 것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문앞에서 문앞(door to door)으로 일관수송하는 일관 파렛트화의 방법이 전개됐다.

  컨테이너를 이용한 유니트로드시스템은 파렛트 사용보다 빠른 1920년경 부터 미국 철도회사들이 육상수송에 컨테이너를 활용하면서 시작되었으며,  해상 컨테이너 수송은 1956 미국의 시랜드에서 국내화물의 연안수송을 개시한 것이 효시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수송방식은 항공화물 운송영역에 까지 확대되어 최근에는 국제간의 화물수송의 주류를 이루게 됐다. 컨테이너를 공로에서 활용하는 경우에는 트레일러와 같은 대형트럭이 이용되며, 철도에서는 컨테이너 전용화차, 해상수송에서는 세미 컨테이너선과 컨테이너선이 이용되고, 항공수송에서는 보잉 747기와 같은 대형 화물전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송기관들은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해 특별한 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에 대해서는 특히 규격과 강도, 하역장치 등에 관해 엄격한 국제규격이 요구된다.

 

일관팰리타이제이션 ( Through Transit Palletization )

 

  파렛트에 적재한 상태로 발송해서 도착지 하역까지 일관해서 수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환적에 대한 생력화 효과가 크며, 수송차량의 회전율이 빨라짐은 물론 하역시 화물의 손상이 적다는 많은 이익이 있는 반면, 적재효율이 저하되고 파렛트의 회수가 어렵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화물이 화주공장에 도착했을 포크리프트가 사용되지 못한다는 등의 이유로 수작업(하역) 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자재소요계획 (MRP: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MRP 제품의 생산수량 일정(주일정계획) 토대로 제품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부분품·공정품·조립품 등의 소요량 소요시기를 역산해서 자재조달계획을 수립하여 필요로 하는 곳으로 일정관리를 겸하여 효율적인 재고관리를 모색하는 시스템이다.

 

MRP System 주요 기능

필요한 물자를 언제, 얼마를 발주할 것인지를 알려준다.

발주 내지 제조지시를 하기에 앞서 경영자가 계획들을 사전에 검토할

있다.

언제 발주를 독촉하고 늦출 것인지를 알려준다.

상황변화에 따라서 주문의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상황의 완급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조절하여 자재조달 생산작업을

적절히 진행시킨다.

능력계획에 도움을 준다.

 

MRP System 이점(종속수요의 재고관리 적용측면)

종속수요품 각각에 대해서 수요예측을 별도로 행할 필요가 없다.

공정품을 포함한 종속수요품의 평균재고 감소

부품 자재부족 현상의 최소화

상황변화에 따른 생산일정 자재계획의 변경 용이

적절한 납기이행

 

자재소요계획 (MRP: 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MRP 제조활동의 계획·관리뿐만 아니라 재무·마케팅에서의 계획과 관리를 포괄한 시스템으로 기업에서의 모든 자원을 관리하는 전사적 정보시스템으로 확장되었다.

 

자원배급계획 (DRP: Distribution Requirement Planning)

 

출현 배경

유통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재고관리기법은 풀시스템과 푸시시스템이 있다. 풀시스템은 유통 네트워크의 하위 센터가 상위센터에서 제품을 끌어당기는 방식으로, 각각의 유통센터는 독자적으로 수요 예측과 발주량, 안전재고의 양을 결정한다. 전통적인 재고 관리 방식은 대부분 풀시스템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풀시스템은 사전에 계획적으로 수요를 예측하고 준비하는 기능이 부족하므로, 결과 중앙 유통 센터에서는 안전재고의 양이 많이 책정되어야 한다. 풀시스템의 정보의 흐름은 상위에서 하위로의 일방통행 방식이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푸시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해 졌다. 푸시시스템은 중앙 유통센터에서 종합적으로 재고 계획을 세우고 결정한다.

상하위 유통센터간의 정보공유를 바탕으로 네트워크에 대한 공급을 결정하는데, 이러한 푸시시스템은 MRP 연장경로 상에 있다. MRP 생산 시스템의 종속수요를 다루기 위한 시스템이라면, 이러한 푸시 시스템은 유통네트워크 상의 종속수요를 다루기 위한 시스템이다. DRP 이러한 푸시시스템의 가장 널리 보급된 형태이다. DRP(Distribution Resource Planning) 여러 기업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개선의 여지 중에서, 특히 유통부분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체계적 접근 방법이라 있다. 대부분의 기업에 있어서의 가장 문제점은 바로 재고가 너무 많거나 또는 너무 적다는 것이다. 이것은 기업의 부분이 요구하는 재고의 수준이 서로 다르다는 것이 근본적인 원인이 된다.

구매, 판매, 생산부서에서는 좀더 많은 재고를 유지하기를 원하고, 이외의 재고관리부서나 경영자의 입장에서는 가능하면 재고를 줄이려 한다. 이러한 재고 수준을 만족시켜 주기 위해 어떤 체계적인 방법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이러한 배경에서 DRP 등장하게 되었다.

 

정의

DRP 시스템에서는MRP 마찬가지로TIME PHASING 의해 네트워크 상의 소요를 결정한다. 지역 센터에서 예측되어 결정된 정보들은 센터로 전부 집계되어 예측 분배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DRP 푸시시스템에 해당한다. 푸시시스템이란 유통네트워크에 있어서 중앙의 Control Center 있어서 상하위 Center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쌍방향으로 주고 받음으로써 해당 네트워크에 대한 공급량을 결정하게 된다. , 하위 센터가 재고부족을 채우기 위해서 상위센터의 재고를 끌어가는(DRP시스템은 기존의 MRP시스템이 제조에 관한 종속수요를 결정했던 것처럼, 유통에 있어서의 종속적인 수요를 결정하는 것이라 있다.) 방식이다. 제조업체에서의 제조자원이 기계나 인력인 것처럼 유통시스템에서의 유통자원은 창고, 인력, 운송장비 등이라고 있다. DRP전개를 결과는 구매계획이나 재고 계획등을 수립하는 이용된다. DRP 로직을 정리하면 기본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원요구량의 시계열적 모델을 생성하고 자원요구량에 대해 공급원의 가용량과 미래의 가용량을 파악, 비교후에 미래의 부족재고를 예상하고, 부족을 피할수 있는 action 제공한다.

 

구성요소

DRP 시스템의 구성은 DRP(Distribution Requirement Planning), IP(Inventory Planning), Deployment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DRP 재고관리 운송, 물류센터의 위치 선정들과 관련된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 DRP 글로벌적 측면에서 물류의 공급을 고려한 SCM(Supply Chain Management) 전개되고 있는 추세이다. 협의의DRP(Distribution Requirement Planning) 소매점이나 도매점의 수요데이터 또는 예측치를 제조업체나 구매 업체에게 체계적으로 가공해서 전달하는 활동이다. 이것은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MPS에서 MRP 전개를 하는 것과 유사하다. MRP 전개와 유사하게 DRP 에서도Bill of distribution, Item master, 수요예측치, inventory level 등의 input 있어야 한다.

 

MRP DRP 차이점MRP 제품의 생산과 관련된 원재료나 부품 등에 관한

생산관리시스템이라면 DRP 생산이 완료된 제품에 대한  판매관리

시스템이라고 있다. MRP 최종 완제품에 대한 수요로부터 하위

부품에 대한 발주정책을 설정하는 체계적인 절차를 갖고 있으며, 동일한

개념을 판매에도 적용할 있는데 이것이 DRP 계산절차의 기본이 된다.

예를 들어 물류창고의 경우, 물류창고의 수요는 지점이나 영업소 수요의 합이

될 것이다. 물류창고를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MRP개념을 이에 응용하면 보다

정확한 수요를 파악할 있으며 전체 분배망의 효율적인 관리도 가능하게

된다. 이것이 DRP 효용성이다

 

전사적자원관리 (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ERP )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계획 관리시스템이라고 하며,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자원에 대해서 효과적인 사용 계획과 관리를 통한 생산성 극대화로 기업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업목표에 접근할 있는 토대를 마련해 주고 있다. 또한 기업환경과 정보기술의 변화로 기업의 내부 체질강화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ERP 등장은 기업내부의 업무를 전체적으로 일원화시키고, 효율성 증대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기업 경영의 생산성을 증대시켜준다.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은 기업 업무의 근간인 회계, 재무, 인사, 급여, 영업, 생산, 조달, 물류 시스템을 포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런 기업의 인프라를 구축하게 되면 기업의 모든 정보를 손끝에서 관리, 조정할 있다. 기업 업무 혁신(BPR) 전사적 자원관리의 도입으로 시작된다. 전사적 자원관리는 세계적으로 검증된 업무처리과정(Business Process) 내장하며, 이를 도입하는 것은 기업의 낙후된 프로세스를 일거에 최상의 프로세스로 바꾸게 한다. ERP 도입의 장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새로운 업무 처리 방식으로 지속적인 선진 프로세스의 활용이 가능하고, 새로운 기술의 활용으로 신속한 업무 혁신이 가능하다.

- 시스템의 신속한 개발과 수정이 용이하며 통합 구현 방식으로 위험요소를 최소화하면서 성공적인 개발이 보장된다.

- 통합 멀티미디어와 작업흐름을 통하여 업무 효율성을 제고할 있다.

- 사실에 근거한 경영을 유도한다.

- 영업 부문의 자동화, 마케팅의 투자대비 효과 개선, 인터넷 등을 통한 시장 확대를 실현할 있다

 

그러나 기술적인 측면에서 ERP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 정형화된 질의 보고 기능만을 제공하며, Ad-hoc 기능이 없다.

- 현황 위주의 단순한 정보를 제공하며, 다차원적으로 통합된 정보 분석이 된다.

- 다양한 프로세스와 복잡한 스키마 구조로 커스터마이징이 어렵다.

- 외부 데이타와의 통합이 매우 어렵다.

 

 

정기주문시스템 ( Fixed-Order Period System : P system )

 

  일정한 간격으로 정기적으로 재고수준을 파악하여 부족량을 주문하는 방식으로 ‘P시스템이라고도 하며, 주문할 시점에 얼마를 주문할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한다. 따라서 시스템의 적용 대상이 되는 품목도 정기조사시스템에 준한다. 정량주문시스템은 조달기간 동안만 재고부족 방지의 필요성이 있는 반면, 정기주문시스템에서는 조달기간은 물론이고 다음 주문주기 동안의 재고부족을 방지하기 위하여 더욱 많은 안전재고를 유지해야 하는 결점이 있다.

 

정량주문시스템 ( Fixed-Order Quantity System : Q system )

 

  재고수준이 일정수준, 주문점에 다다를 일정 주문량을 주문하는 시스템. 일정량 Q 주문하는 방식이라 하여 ‘Q시스템이라고도 한다. 재고수준이 주문점에 언제 도달하는가를 알기 위하여 연속조사시스템을 이용하므로 시스템의 적용 대상이 되는 품목도 연속조사시스템에 준한다.

 

주문점 ( Order Point ) 

 

  제품 주문을 해야만 하는 재고수준. 주로 발주해서 입고되기까지의 조달기간 중에 소비되는 재고량과 기간 수요율의 변동에 대비한 안전재고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지속적인 제품보충 (CR: Continuous Replenishment)

공급업체(제조업체 또는 도매업체) 유통업체가 재고량, 유통채널 잔존 주문량, 예측 판매량, 재고수준 등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여 상품의 공급(주문, 배송 ) 통제·관리하는 ECR응용기술(Application) 하나를 말한다. 유통업체와 공급업체는 사전에 상품공급 정책에 합의한 , 교환된 정보(현재의 수요 재고·상품 등에 대한 정보) 기초하여 연속적으로 상품의 공급과 수령을 진행시킨다. 1차적 목표는 최소한의 재고만 보관, 취급하는 동시에 정확한 상품의 흐름을 달성하는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해 고객 서비스 만족수준을 높이는 것이다. CR 재고 관리의 책임이 공급업체와 유통업체 누구에게 있는가에 따라 CMI(Co-Managed Inventory, 공동재고관리) VMI(Vendor-Managed Inventory, 공급업체 주도의 재고관리) 구분된다.

 

지속적재고보충프로그램 ( Continuous Replenishment Programs : CRP )

 

  CRP(Continuous Replenishment Programs) 상품을 소비자수요에 기초하여 유통소매점에 공급하는 방법(이를 ‘Pull방식이라고 )으로 기존에 유통소매점에 재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품을 공급하는 (이를 ‘Push방식이라 )과는 차이가 있다.

  CRP 초기단계에서는 유통공급과정에서 상품을 공급받기 위해 유통업체의 물류센터 또는 도매배송업체의 출고데이터를 사용하며, 발전단계에서는 POS데이터를 사용하여 상품보충 프로세스를 보다 개선시킬 있다.

  CRP 유통공급망에 종사하는 거래업체들간에 서로 협력하는 업무관행으로서, 이는 주문수량에 근거하여 물류업체가 주문을 하는 전통적인 상품보충 프로세스로부터 실질적인 상품수요와 예측수요를 근거로 상품보충을 하게 된다. CRP 구현하게 되면 다빈도 배송이 가능하게 되어, 재고수준과 운영비를 낮출 있다.

  가장 보편적인 형태로 운영되는 공급자 재고관리(VMI: Vendor Managed Inventory) 물류업체에서 재고데이터와 점포별 주문데이터를 매일 공급업체에 전송하며, 공급업체는 물류업체가 소매점포와 상품수요를 충족시킬 있는 주문업무를 책임져야 한다.

  CRP 근간은 바로 전자문서교환시스템(EDI)이다. EDI 소매업체가 제조업체에게 상품의 출고요청을 전송할 있도록 한다. 비록 초기단계에서는 소매업체 창고의 출고데이터를 기초로 EDI 문서를 전송하게 되지만, POS데이터의 통합관리 능력이 증대됨에 따라 점포에서 실제 판매된 판매량에 근거한 EDI 문서전송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각각의 단품별 판매에 따른 제조업체의 단품별 보충이 가능하게 된다. 판촉활동이 없는 경우에는 POS데이터에 근거한 상품보충은 제조업체로부터 소매점포까지 원활하게 흘러갈 있게 되며 심지어 상품흐름에 대한 예측도 가능해질 있다.

  CRP 전반적인 유통공급과정에서의 상품에 대한 주문기능을 향상시킨다.  본능적인 예감에 의해 주문을 하기보다는 상품보충을 위한 주문수량은 실질적인 소비자수요와 판촉행사로 인해 예상되는 수요예측에 의해 결정된다.   정보는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므로 유통공급 과정상에서 발생되는 수많은 데이터 입력시점에서의 수작업이 제거되어 비용을 절감할 있다. 또한 정보의 흐름이 정보통신망을 통해 전자적으로 처리됨에 따라 상품의 보충주기가 단축되어, 결과적으로 소비자수요에 대한 반응도를 높일 있게 된다.

  CRP 또한 유통공급과정에서의 상품의 흐름을 향상시킬 있다.  한번에 많은 양의 상품을 배송하는 대신, 소매업체와 도매업체 창고의 재고수준을 낮출 있도록 소량단위의 배송빈도를 증대시킬 있게 된다. 다른 이점이라고 한다면 산업의 거래업체들과 보다 나은 업무적 협조관계를 구축할 있다는 점을 있다.

 

컨테이너화 ( Containerization ) 

 

  재래선의 퇴장과 더불어 화물을 컨테이너에 채워 넣어 이를 하역-운송상의 취급단위로 삼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컨테이너는 단위적재(unit load)방식의 대표적 형태로서, 이상적인 수송방식은 각종의 수송기관을 일관하여 연계수송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컨테이너의 규격화가 문제로 되어 국제표준규격이 정해지고 있다. 컨테이너화에 따라 항만의 형태, 작업방식, 운영내용, 항만운송업자의 형태 등에 커다란 변화가 야기되었다.

 

콜드체인시스템 ( Cold Chain System )

  신선식료품, 냉동식품 등의 품질유지를 위해 물품을 저온으로 유지하면서 생산에서 소비까지 유통시키는 구조를 말한다.

 

크로스도킹 ( Cross Docking )

 

  크로스도킹(Cross Docking) 창고나 물류센터로 입고되는 상품을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곧바로 소매점포에 배송하는 물류시스템이다. 보관 피킹작업 등을 제거함으로써 물류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있다. 크로스도킹은 입고 출고를 위한 모든 작업의 긴밀한 동기화를 필요로 한다.

 

(1) 파렛트 크로스도킹: 종류의 상품으로 적재된 파렛트별로 입고되고 소매점포로 직접 배송되는 형태로 가장 단순한 형태의 크로스도킹이며, 양이 아주 많은 상품에 적합하다.

(2) 케이스 크로스도킹: 보다 보편화된 크로스도킹의 형태로 종류의 상품으로 적재된 파렛트 단위로 소매업체의 물류센터로 입고된다. 파렛트 단위로 입고된 상품은 각각의 소매점포별로 주문수량에 따라 피킹되고, 남은 파렛트 상품은 익일 납품을 위해 잠시 보관하게 된다.

(3) 사전 분류된 파렛트 크로스도킹: 방법은 드물게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전에 제조업체가 상품을 피킹 분류하여 납품할 각각의 점포별로 파렛트에 적재하여 배송하게 된다. 경우에는 제조업체가 각각의 점포별 주문사항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알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에 의한 크로스도킹은 제조업체에게 종종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시킨다.

 

파렛트렌탈 ( Pallet Rental )

 

  일관 수송용 평파렛트 등을 임대하는 . 렌터카의 경우처럼 파렛트를 필요한 수량이나 기간만을 이용하고 요금을 지불하는 시스템이이다.

  파렛트렌탈의 이점은 () 파렛트의 관리비가 적게 들고, 적출(積出)에서 최종지까지 일관 팔레타이제이션(palletization)으로 하면 화물의 손상이 적어지는 등이다.

 

파렛트적하체계 ( Pallet Loading System )

 

  항공기가 대형화·고속화되면서 화물취급을 합리화하기 위해 우선적으로파렛트에 의한 unit load 하역형태가 진전되었다. 우선 화물을 이동무개화차 위에 실은 , 폴리에스텔 등의 덮개로 덮고 위에 나일론 그물을 덮어 unit load 만든다. 이를 트럭으로 화물비행기 옆까지 운반한 리프트(lift)로써 파렛트 채로 비행기 문의 높이까지 올리고, 리프트 평면에서 롤러를 이용하여 사람의 힘으로 기내로 옮기는 방법을 통틀어 ‘pallet loading system’이라고 한다. 경우 이글루(igloo) 사용하기도 하는데, 최근에는 container loading system으로 발전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참조) igloo

 

파렛트풀시스템 ( Pallet Pool System )

 

  파렛타이제이션의 문제점인 공파렛트의 회수난을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 파렛트를 공용으로 사용하고 도착지에서 공파렛트 다른 하주업자가 이용하는 방법과 렌탈(리스)방식 또는 동수교환방식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렌탈방식의 한국 파렛트풀(KPP) 있다.

  파렛트 시스템은 파렛트의 규격, 척도 등을 통일하여 상호 교환성이 있도록 파렛트를 (pool)제로 사용함으로써 수송 합리화와 물류비 절감에 기여하고자 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파렛트 시스템이란 표준화된 파렛트에 의해 여러 화주 물류업자들이 공동으로 파렛트를 이용하는 제도로서 파렛트를 다량 확보하고 있는 조직이 파렛트에 대한 납품, 회수관리, 수리 등을 담당하는 파렛트 공동이용제도이다.

  파렛트의 사용은 1940년경 미국에서 처음으로 개발되어 세계 각국에 보급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공장 등의 사업소 구내에서 운반합리화의 수단으로 발전되었고 포크리프트(forklift) 개발되면서부터 기기를 사용하여 발송에서 도착까지 파렛트 로드(pallet load) 상태로 일관하여 수송하는 일관 파렛트화가 도입된 것이다. 화물을 일정수의 파렛트 위에 적재하는 것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문전에서 문전(door to door)으로 일관 수송하는 일관 파렛트화의 방법이 전개됐다. 파렛트를 활용한 일관 파렛트의 채택은 포장의 표준화에 의해 포장비의 절약, 하역단순화에 의한 시간과 노력의 절감은 물론 화물파손의 감소 물리적·경제적 양면에서 효과를 얻고 있다.

 

파렛트화 ( Palletization ) 

 

  파렛트에 의한 하역작업 파렛트 수송을 말한다. 파렛트는 인력하역에 대신하여 포크리프트가 사용되면서 생긴 것으로 초기에는 개별기업에서 공장내의물자 이동과 보관에 사용되었다. 또한 수송업자가 화물을 화물트럭에 실을 때도 사용되었는데, 이를역파렛트화(驛파렛트化)’라고 불렀다. 그후 일정수의 파렛트 위에 화물을 적재한 것을 하나의 단위(unit) 하고, 이를 보내는 하주의 문전이나 공장에서부터 받는 하주의 문전, 공장 혹은 창고까지 일관하여 수송하는 방법이 발달했다. 이를일관파렛트화혹은일관파렛트 수송이라고 부른다.

  파렛트수송에 대한 이점은 하주, 운수창고업자 등에게 물적 유통에 대한 합리화의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는 , 포장의 간소화·포장비의 감소·수송능률의 향상·재해 발생의 감소·중노동에서의 해방 등을 수가 있다. 팔레티제이션(palletization) 보급을 위해서는 파렛트 제의 확립, 파렛트 규격 통일, 물적 유통경비 삭감, 수익정도, 경비 부담 등의 불균형 조정, 팔레티제이션 위한 하역 기계 설비의 경비, 파렛트제작비의 인하, 그리고 운송요금의 적정화 등이 시도되어야 것이다.

 

효율적소비자대응 (Efficient Consumer Response : ECR )

 

  유통공급망에서 발생하는 모든 비효율적 요소를 제거해 관련비용을 최소화하고 소비자 만족을 최대화시키려는 정보지향적 유통시스템의 하나이다.

  ‘90년대에 들어서서 미국, 유럽 등에서 식품업계와 유통업계에서 비용절감을 위한 경영혁신의 핵심과제로 등장하여, 최근에는 의약품이나 의류업체 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POS 데이터 서비스나 EDI 활용한 월마트와 P&G 제판동맹도 이러한 전략의 하나에 해당한다.

  QR(quick response) 개념을 가공식품과 잡화부문에 응용한 정보시스템으로 유통정보시스템에서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소비자의 요구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정보기법이다. 전체 유통공급망이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를 개선하려는 것이다.

 

● ABC분류법 (ABC Classification )

 

  자재의 품목별 중요도나 연간 총사용액에 따라 품목을 A, B, C 등으로 분류하는 방법.

 

(참고)

(1) ABC관리방식 (ABC Control Method) 

 

  자재구매와 재고관리에 통계적 방법을 적용하여 물품의 중요도에 따라 A, B, C 구별하여 차별적으로 관리하는 방식. (참고) ABC재고관리

 

(2) ABC재고관리, ABC재고통제 (ABC Inventory Control) 

 

  다양한 자재의 모든 품목에 대해서 일일이 자재나 재고를 관리하는 절차를 덜고 그것이 능률적으로 행해질 있도록 자재의 중요도나 가치를 기준으로 자재의 품목을 ABC 분류법에 따라 분류해서 차별적으로 재고관리를 하는 방식.

 

● APS (Advanced Planning System)

인터넷, 디지털경제시대에 있어서 기업환경은 어떤 주문에 대해서도 납기 만족을 달성, 경쟁사보다 빠른 리드타임에 납품, 다양한 주문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있는 능력을 요구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제조업은 고객의 수요 변화나 다양한 요구 내부자원 등의 제약 환경하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계획을 수립해서 의사결정을 하기가 어렵다는 고민을 가지고 있다.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APS(Advanced Planning System)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APS 시스템은 ERP시스템의 계획기능인 MRP/CRP계획의 무한 능력 계획에서 야기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동시에 발생하는 다중의 변수와 제약 조건들, 자재, 기계, 사람 수요를 동기화 하여 현실성 있는 최적의 계획과 스케줄링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적절한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Throughput 증가, 납기를 보장하는 생산계획 능력, 원자재, 재공품, 완제품의 재고감축과 리드타임 단축, 고객 서비스 향상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해 주는 유용한 시스템이다

 

● CIM (computer integration manufacturing)/ 컴퓨터 통합 시스템

조직 인적효율개선을 위한 새로운 경영철학을 기본으로 하여, 통합된(자동화)시스템과 데이타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모든 제조 업무가 일체화된 시스템을 일컫는다.

 

● CPFR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 Replenishment)

 

  판매·재고 데이터를 이용해 소비자 수요를 예측하고 주문을 관리하며, 생산계획에 반영하는 유통·제조사 공동의 SCM 응용기술. 수요예측, 생산계획, 재고파악을 제조·유통업체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업무프로세스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 EANUCC 시스템

 

개별 품목(소비자 판매 단위, 물류단위, 로케이션 ) 부여되는 식별코드(Data Structure), 이것을 스캐너 판독장비가 읽을 있도록 표시하는 데이터 캐리어(Data Carrier), 그리고 식별코드를 네트워크(VAN)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 주고 받을 있게 하는 전자 문서표준으로 구성된 국제표준체계. EAN 인터내셔널이 개발하였으며 각국 회원기관이 국내 보급과 관리를 담당한다.

 

● EAN.UCC 식별 코드(Data Structure)

 

EAN UCC 공동으로 개발한 거래 단품, 물류단위, 거래주체, 자산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부여하는 일련의 번호체계. 식별코드의 종류에 따라 최소 8자리부터 최대 18자리까지의 번호체계를 가지며 국가코드, 업체코드, 상품품목코드, 검증번호(Check digit) 구성되어 있다. 이중 국가코드와 업체코드는 EAN인터내셔널의 각국코드관리기관이 관리하며 상품품목코드 검증번호는 개별기업이 관리한다. EAN 인터내셔널의 회원국은 모두 동일한 코드체계를 사용하기 떄문에 국제적 호환성이 확보되는 것이며 국가별로 업체 코드의 분배가 관할 코드관리기관에 의해 중앙집중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코드의 중복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EAN.UCC식별코드는 자체에 상품 정보를 담고 있지 아니하며 은행계좌번호와 같이 컴퓨터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 등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정보를 불러오는 접근키(Access Key)역할을 한다.

 

● ECR (Efficient Consumer Response)

 

ECR 1980년대 , 미국 의류업계의QR(Quick Response) 도소매업계의 EDLP(Every Day Low Price)개념을 통합한 개념으로 시작되었다.

ECR(Efficient Customer Response)이란 상품의 제조 생산으로부터 유통, 도소매를 통한 판매에 이르기까지 전과정을 일관된 흐름으로 보고, 단계의 관련기업들이 공동참여를 통해 총체적으로 경영효율을 개선하여 보다 낮은 비용으로, 보다 빠르게, 보다 나은 소비자 만족을 달성하는데 초점을 공급경로(Supply Chain) 효율을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QR(quick response) 개념을 가공식품과 잡화부문에 응용한 정보시스템으로 유통정보시스템에서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소비자의 요구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정보기법이다. 전체 유통공급망이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를 개선하려는 것이다.

 

● EOQ (經濟的注文量 , economic order quantity) /경제적 주문량

주문비용과 재고유지비가 최소가 되게 하는 1 주문량.

약칭으로 EOQ라고 한다. 재고관리를 위한 하나의 접근방법으로 1915년에 소개된 모형이다. 처음에는 고정주문량 시스템의 개발에 적용되었지만 후에 고정주문주기 시스템이나 다른 재고모형을 포함하기 위한 개념으로 확장되었고, 완충재고(buffer stock) 개념과 함께 보다 확실하게 정립되었다. 재고관리 비용이 가장 경제적으로 투입되는 재고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기업이 제품을 주문할 발주비용은 발주량의 크기와 관계없이 주문마다 일정하고 재고유지비는 발주량의 크기와 정비례로 발생하며 수요율과 조달기간이 일정하고 구입단가는 발주량의 크기와 관계없이 일정하며 단일품목이 대상등의 조건하에서 주문 비용과 단위당 재고유지비의 합계가 최저로 되는 점이 주문량이 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표시할 있다. 재고비용 = 구매비용 + 재고유지비가 최소가 되는 발주량이 모형은 재고관리 의사결정에 필요한 측정값을 빠르고 쉽게 얻을 있고, 상황에 맞게 조정·응용할 있으므로, 재고분석을 위한 계량적인 모형으로 널리 이용된다.

 

● JIT물류 ( Just-In-Time to Logistics )

 

  일본의 도요타자동차에서간반이라고 하는 재고비용의 삭감을 위해 개발된 필요한 상품을 필요한 만큼만 만들어 내는 조달·생산·재고·판매방식에 해당하는 JIT기법을 물류에 적용시킨 개념이다. 따라서 JIT물류는 고객의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양만큼 적시, 적소에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다품종·소량·다빈도 물류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JIT물류의 상황하에서는 지속적인 물류비의 상승으로 원가절감 대책이 요청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운송조건별 또는 납품조건별 물류비 계산이 필요하다.

  소위 저스트 타임 생산 방식. 재고누적, 불량품 발생, 불필요한 자재운반이나 준비시간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낭비요인을 제거 또는 최소화함으로써 원가절감을 도모하고 생산성 향상과 품질 향상을 실현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매출이나 이익처럼 기업체의 과거 실적을 나타내는 지표가 아니라 미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여러 핵심지표 묶은 평가기준으로 '핵심성과지표'라는 말로 번역됩니다.

KPI 핵심 성과 지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최근 KPI 새롭게 정립하기 위해 일부 기업들이 활발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ABB 회장인 퍼시 바네빅은 '측정하지 않으면, 행해지지 않고 고쳐지지도 않는다' 말한 적이 있다. 이는 기업, 부서, 개인의 성과 개선을 위해 활동 결과를 측정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강조한 말이다. 측정하지 않고서는 최종 성과가 어떤 수준인지, 성과에 문제가 있다면 무엇 때문인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여기에 많은 관리자들의 고민이 있다. , 무엇을 측정할 것인가(What to manage) 문제 때문이다. 기존의 대표적인 성과 지표 많은 기업에서 이제까지의 주된 성과 지표는 매출, 비용 명확한 재무 성과 위주였다. 이는 물론 측정 가능성을 고려한 결과이며, 또한 재무 성과의 측정은 향후에도 필요하다. 하지만 정량적으로 측정할 있는 것이 재무적 성과만은 아니다. 특히 재무 성과 위주로 측정하는 것은 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재무적 성과는 과거 활동의 성과이다. 측정의 목적은 과거를 평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미래 성과를 예측하는 것도 있다. 따라서 미래 성과를 예측/반영하지 못하는 재무적 지표는 바람직한 측정에 한계가 있다. 둘째, 재무 성과 지표는 최종 활동의 결과만을 보여 , 어떠한 활동/과정을 통해 성과를 달성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전혀 주지 못한다. 재무 성과 지표 위주의 측정에 문제가 있음을 인식한 일부 기업의 경우, 재무적 지표 외에 가능한 많은 지표를 활용하여 측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측정 방식 역시 문제를 가지고 있다. , 측정은 회사가 원하는 방향으로 구성원들의 사고/행동을 유도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따라서 많은 지표를 활용한다는 것은 구성원들의 사고/행동의 초점을 불명확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구성원들의 의욕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무엇을 측정할 것인지에 대해 확신이 없기 때문이나, 실질적인 원인은 성과 지표에 반영되어야 사업 성공 요인에 대한 공유된 인식 부족, 그리고 사업 성공 요인과 성과 지표간의 인과 관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KPI 정립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 기존 성과 지표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많은 기업들이 새로운 방식으로 KPI 정립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심각한 경영 위기를 겪은 시어즈의 경우, '종업원-고객-이익' 인과 관계를 바탕으로 TPI(Total Performance Indicator)라고 부르는 KPI 구축,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소매점으로서의 전략적 포지셔닝을 명확히 하고, 재기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다른 사례는 유럽에 기반을 금융 회사인 스칸디아이다. 동사의 경우, 지적 자본을 측정할 있는 성과 지표의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재무/고객/프로세스/개발/인적 측면에서 지적 자본 지표를 구체화한 'Skandia Navigator' 개발, 운영하고 있다. 이는 현재 연말 회계 보고서와 함께 공시되고 있으며, 미국 SEC(Security Exchange Committee) 이를 공식적인 공시 지표로 채택하려는 검토를 하고 있다. 이처럼 KPI 새롭게 정립하려는 기업들은 하나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BSC(Balanced Scorecard) 관점에서 KPI 재구축한다는 것이다. , 회사 비전이나 전략 방향을 반영한 KPI 정립하되 KPI간의 인과 관계를 중요하게 고려하며, 또한 재무적 성과뿐만 아니라 고객/프로세스/학습 역량 균형 잡힌 관점에서 KPI 정립하고 있다.

 

● MPS(Master Production Schedule)/전체생산 계획

MPS 전체적인 생산계획을 나누어 실행시킬 목적으로 구체화시키는 일정계획을 말한다. 품목별 생산량을 생산일정(월별 또는 주별) 맞추어 계획하며, 아울러 부하와 능력을 생산일정별로 제시하게 된다.Distribution Requirement Planning(DRP: 분배소요계획) 제공하는 유통 필요량과 공장의 생산능력이 조정되어 얼마만큼 생산하고, 원자재를 구입하고, 재고를 유지하고, 판매할 있는지가 결정된다

 

● MRP (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

 

  생산하려는 제품의 수량과 일정에 맞춰 제품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부분품, 공정품, 조립품 등의 소요량 소요시기 등을 거꾸로 역산하여 일종의 자재조달계획을 수립하고 일정관리를 겸한 효율적인 재고관리를 모색하는 시스템 혹은 방법. 시스템은 자재명세서, 재고기록철, 기준생산계획의 정보를 이용한다.

¾ 물류정보

 

근거리지역통신망 ( Local Area Network : LAN )

 

      공장내의 각종 컴퓨터를 접속시키는 통신망. 공공의 목적이 아니며, 짧은 거리(3~4피트에서 4~5마일까지) 한정된 지역내의 컴퓨터들이 정보교환을 위하여 통신망에 접속된다.

      인접한 지리적 범위내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패킷(packet) 통신망이라고도 부른다. 광역 통신망과 달리 0.1~10km 정도의 한정된 거리를 연결하며 전송 속도는 0.1~100Mbps이다. LAN 적용분야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 컴퓨터 자원의 공유, 플랜트에 있어서의 계측/제어 시스템, 사무실 내에 있어서의 음성·화상 데이터의 종합통신시스템 등이다.

 

바코드 ( Bar Code )

 

  (bar, 검은 막대) 스페이스(space, 흰색 막대) 특정한 형태로 조합하여 문자와 숫자 기호 등을 표현한 것으로 제조국가, 회사 제품명, 가격 상품에 관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있다. 이러한 바코드를 제품에 부착 또는 인쇄하여 유통시킴으로써 물류정보를 쉽고 빠르게 획득할 있으며 판매시점에서 바코드 해독기로 읽혀져 신속하고 정확한 판매정보 재고정보 관리 효율적인 물류관리 내지 재고관리를 도모한다.

 

바코드시스템 ( Bar Code System )

 

  상품에 제조업체, 제품코드 등을 나타내는 바코드를 부착하여 유통시킴으로써 판매정보나 재고를 신속하게 정리하고, 정확하고 효율적인 물류관리 내지 재고관리를 도모하는 방식.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는 판매시점에 레이저 스캐너(바코드 해독기) 읽혀서 판매정보 내지 재고정보를 제공된다. 바코드 시스템은 바코드, 바코드 인쇄기, 바코드 해독기로 구성된다.

 

부가가치통신망 ( Value Added Network : VAN )

 

  통신회선을 소유 또는 임차하여 구성한 네트워크에 단순한 전송기능 이상의 부가가치를 첨가하여 정보를 축적·가공·변환 처리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정보를 제공해 주는 광범위한 복합 통신서비스. VAN 있어서 가장 특징적인 기능은 다른 기종간의 통신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프로토콜 변환 등으로 부가가치를 발생시키는 통신처리기능이고, 기능이 있음으로 해서 VAN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통신처리, 정보처리, 한자, 음성, 그림, 화상 등의 멀티미디어 통신이라는 혼합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있다. VAN 주요 기능으로서는 교환기능, 통신처리기능, 정보처리기능, 전송기능 등이 있다.

 

소스마킹 ( Source Marking ) 

 

  상품제조업체 또는 판매원이 자사가 생산, 출하하는 상품의 포장이나 용기에 세계 어디서나 정확하게 식별할 있도록 해당 상품코드를 나타내는 바코드 심벌을 포장 용기 인쇄와 동시에 인쇄하는 방법을 말한다. 소스마킹은 주로 가공식품, 잡화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인쇄되는 바코드의 체계 형태는 국제적인 규격에 근거한 13자리의 숫자(국내는 KAN코드) 구성되는 바코드로 인쇄해야 한다.

 

유통정보화

 

  유통산업중 개별사업을 영위하는 ·제조업자 또는 유통관련 단체간에 전기통신설비와 전자계산조직 이용기술을 활용하여 유통표준전자문서·유통정보 또는 이와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거나 처리·전송 또는 보관하는 정보처리활동을 행함으로써 유통산업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을 말한다(유통산업발전법의 정의).

 

유통표준전자문서

 

  전산망을 이용하여 처리·전송·보관하는 표준화되어 있는 문서 또는 자료의 양식(유통산업발전법의 정의)

 

유통표준코드

 

  유통정보화를 위하여 상품·상품포장 또는 포장용기의 표면에 표준화된 체계에 의하여 표기된 숫자와 바코드(유통산업발전법의 정의)

 

인스토어마킹 ( In-Store Marking )

 

  인스토어 마킹은 각각의 소매점포에서 청과·생선·정육 등을 포장하면서 일정한 기준(업체마다 설정기준이 다름) 의해 라벨러를 이용하거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바코드 라벨을 출력, 라벨을 일일이 사람이 직접 상품에 붙이는 것을 말한다. 소스마킹이 상품은 하나의 상품에 고유식별 번호가 붙어 전세계 어디서나 동일상품은 동일번호로서 식별되지만, 인스토어마킹이  상품은 동일품목이라도 소매업체에 따라 각각 번호가 달라질 있다.

 

자동발주시스템 ( Computer Assisted Ordering : CAO )

 

  CAO(Computer Assisted Ordering, 자동발주시스템) 고객에 대한 반응과 효율적인 상품보충 측면에서 상당한 잠재적 개선을 이룰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OS(Point Of Sale) 데이터와 상품보충과정을 연계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보다 한정된 판매공간에서의 상품판매 효과를 높일 있으며, 판촉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제품수요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있게 된다. 현행 주문관행과는 대조적으로 자동발주시스템을 통해 소매업체는 보다 신속하게 소비자의 수요에 반응할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운영비를 절감하고 재고수준을 낮출 있다.

  자동발주시스템은 POS데이터를 근거로 사람의 손이 거의 가지 않고 점포에서 주문을 있게 된다. 이러한 주문은 EDI 통해 물류센터로 전송되고 즉각적으로 재고보충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업무처리과정을 통해 물류의 동기화 수요관리의 통합화가 가능해진다.

  자동발주시스템의 성공적인 구현을 위해서는 실제 상품의 판매량과 보충상품의 필요수량 사이의 차이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매우 중요하다. 매주 판매량과 같이 반복적인 구매형태에 의해 발생하는 차이는 파악하고 관리하기가 상대적으로 쉬우나, 판촉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차이는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판촉상품의 영향을 받는 상품 카테고리에서는 특히 이러한 문제가 심각하다. 또한 문제시되는 중의 하나가 원인파악이 힘든 재고손실과 지역적으로 과다하게 산재하고 있는 재고로서 이들로 인해 제품의 실제 재고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전자문서

 

  전기통신설비와 전자계산조직 전자계산조직의 이용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처리·보관하거나 전송하는 전산정보체계를 이용하여 처리·보관 또는 전송되는 문서형식의 자료로서 표준화된 (화물유통촉진법의 정의)

 

전자문서교환시스템

 

  전기통신설비를 이용하여 전자계산조직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기기간에 전자문서를 처리·전송 또는 보관하는 방식(유통산업발전법의 정의)

 

전자상거래 ( Electronic Commerce : EC )

 

  전자상거래란 EDI(전자문서교환) 근간으로 하는 모든 상거래를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해 전자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비용은 줄이면서 서비스의 질은 높이고 서비스를 더욱 빨리 제공하고자 하는 기업과 판매자,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현대 비즈니스의 방법론이다. E-mail, EDI, EFT(전자자금이체), 음성사서함을 통해 정보기술의 통합과 정보의 자동교환을 배경으로 하여 비즈니스 방식의 재창조 기업조직 개편, 시간, 가치, 서비스 등에서 경쟁우위 고객만족, 제조, 유통, 물류지원에 대한 서비스 향상 비용절감으로 이어지는 전자거래이다.

 

전자서명

    전자문서의 명의인을 표시한 문자와 작성자를 식별할 있게 하는 기호 또는 부호(화물유통촉진법의 정의)

 

종합물류정보전산망

 

  종합물류정보전산망은 육상·해상·항공을 통한 수출입 국내화물 유통에 관련된 물류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물류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물류정보 인프라의 분야이다. 현재 건설교통부의 주관 하에종합물류정보전산망 기본계획 1996년도부터 추진 중에 있으며 1996년부터 3단계로 구분하여 EDI서비스, DB서비스, CVO(화물운송정보)서비스 분야에 대한 정보전산망을 구축 중에 있다.

 주파수공용통신 ( Trunked Radio System : TRS )

 

  주파수를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할 있는 특성으로, 일반 핸드폰과 비교해 볼때 접속율이 월등히 높으며 완벽한 통신보완, 그리고 단일 그룹 내에서의 개별통화는 물론 전체 그룹통화도 동시에 가능한 높은 효율성을 갖추고 있다. 육상, 해상 운송업체외에도 유통·건설업의 현장용으로도 뛰어난 기능성을 인정받아물류운송통신으로 불리고도 있다.

 

지능형교통체계 , 첨단교통정보체계 (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ITS )

 

  종래의 IVHS(Intelligent Vehicle Highway Systems:첨단도로교통체계) 보다는 포괄적인 개념인 첨단교통체계라 있다. ITS 자동차와 이용환경(도로, 주차장 ) 인텔리전트화, 하이테크화 함으로써 사람, 자동차, 도로가 일체의 시스템으로서 운용돼 모든 사람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운전할 있는 자동차 문화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종합적 시스템이다. ITS 포괄하는 분야는 도로건설, 교통관제, 관리, 통신, 전기, 전자, 자동차, 자동차부품, 정보서비스 소프트웨어 많은 범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존의 육상, 수상, 공중 교통체계와 전자, 전산, 통신제어 첨단기술을 접목시켜 신속 정확한 교통정보제공 효율적인 교통관리수행을 가능케 것으로 기대된다. 지능형 교통시스템의 구축효과와 관련 선진국의 연구에 의하면 교통지체가20~30% 개선되고, 안전사고가 60% 감소하는 전체도로 능력이 2 정도 증대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판매시점단말기 ( Point-Of-Sale Terminal ) 

 

  -코드 리더(bar-code reader) 영수증 프린터 등이 부착되고 컴퓨터와 온라인으로 연결된 단말기. (참조) POS(point-of-sales system), 판매시점관리시스템

 

판매시점정보관리시스템 ( Point-Of-Sale : POS )

 

 유통정보화의 출발점으로서 판매시점정보관리시스템을 말한다. 판매시점에 스캐너를 통해 단품별로 수집된 판매정보와 사입·배송 등의 단계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백룸(back room) 본부의 컴퓨터로 보내어 매출관리, 재고관리, 상품관리, 종업원 관리 등에 이용하는 시스템이다.

  판매시점에서 바코드(Bar Code) 이용하여 상품의 판매 유통에 관한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백화점, 할인점, 편의점 등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데, 바코드를 통해 상품의 가격, 수량, 판매시점, 판매담당자 등에 대한 종합적인 상품정보를 통제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자동판독방식의 금전등록기를 통하여 매입 또는 배송과 같은 활동에서 발생하는 각종 판매정보를 컴퓨터로 보내어서 부문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있는 정보로 가공하여 전달하는 시스템. 이를테면, 소매점 또는 영업장의 관리를 위한 종합경영 정보시스템으로 지금까지의 금전등록기 (key-in)방식과는 같지 않다.

 

  판매시점에서 광학적 자동판독방식에 의하여 상품의 판매·매입 또는 배송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 활용하는 시스템(유통산업발전법의 정의)

 

한국철도운영정보시스템 ( Korea Railroad Operating System : KROIS )

 

  철도청이 개발해 1996 1 1일부터 가동중인 철도운영정보시스템으로 KROIS 크게 화물운송, 차량열차운영, 승무원관리, 차량기계관리, 운송정보 등의 서브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차량열차운영시스템은 철도청이 운영하고 있는 모든 차량과 열차의 위치, 상태 이동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추적 관리해 차량 배정의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시스템으로 화주들에게 수탁화물의 소재지 수송상황 정보를 즉시 제공할 있다.

  화물운송시스템은 화물운송업무의 간소화 처리시간을 단축해 화물수입증대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화물운송장의 접수부터 화물인도 완료까지의 화물운송 싸이클을 관리한다. KROIS 화물운송시스템은 KL-Net(한국물류정보통신) 연계되어 EDI 운영된다.

 

항만운영정보시스템 ( PORT-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PORT-MIS )

 

  해양수산부가 항만운영의 효율화·과학화를 위해 개발, 1986년부터 전국 항만을 대상으로 단계적으로 구축중인 항만운영과 관련한 정보시스템. 1996 10 현재 부산항·인천항·울산항·마산항·포항항에서 정상 운영중이며 1997 말까지 전국항만에 적용되었다. PORT-MIS 전국항만에 구축되면 전국 어느 항만에서나 입출항 업무처리가 문서없이 가능하다. 또한 해양수산부는 항만운영정보를 문자위주에서 음성, 영상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있도록 멀티미디어화할 방침이다.

 

● CALS

 

  CALS(Computer-aided Acquisition and Logistic Support : 컴퓨터에 의한 물류지원시스템) 원래 ‘80년대 중반에 국방부의 군수물자 등에 대해 컴퓨터를 이용한 물류지원시스템으로 등장하여, 개념이 발전되면서 최근에는 광속상거래(Computer At Light Speed) 의미로 발전하였다.

  민간기업 등에서 응용된 CALS 개념을 보면, 고객이나 사회의 니즈대응과 관련하여 기업활동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자료나 정보를 표준화된 형태로 관리하고 유통되게 함으로써 총체적인 관점에서 정보에 의한 경영 합리화나 효율화를 꾀할 있도록 해주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판매, 운송 물류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모든 경영 프로세스에 대한 자료나 정보, 절차의 표준화를 유도하여 이를 통해 비용절감, 품질향상, 고객만족 등의 성과를 얻을 있게 된다.

  CALS 기원은 1980년대 미국방부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 무기체계 획득과 군수지원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업무간 정보공유 유통체제 개선을 통해 운용비용 절감, 군수지원 시간 단축, 종합품질 경영능력 극대화를 목적으로 'computer aided acquisition and logistics support'라는 개념을 만든 것이 시작이다. 이후 1980년대 후반 설계, 제조, 부품조달, 유통, 애프터서비스 제품의 '탄생(생산)부터 죽음(폐기)' 이르는 과정을 정보화한다는 뜻에서 'continuous acquisition and life-cycle support'라는 개념으로 변화했고, 최근에는 초고속 정보통신망과 CALS 만나면서 모든 상거래가 '빛의 속도' 만큼 빨라짐에 따라 개념은 'commerce at the light speed' 바뀌었다. 그러나 사용상 혼동을 피하기 위해 1980년대 초의 원래 의미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CALS 도입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통합물류 생산시스템'이라는 개념으로 주로 사용된다.

  오늘날 CALS 구현에 필요한 기술은 기본적으로 현재까지 등장한 정보산업의 모든 기술이 통합 적용된다. 모든 형태의 정보생성과 관리를 위한 정보관리기술 생성, 저장된 정보를 검색해 다른 곳으로 보내기 위한 전송 교환기술, 이들 정보를 사람의 시각으로 인식할 있도록 하는 인쇄 혹은 화면표시 기술 그리고 제조공정을 자동제어할 있는 로봇기술 물리적인 적용기술이다. 이러한 CALS 구현에 있어 핵심기술은 이러한 개별요소 기술들을 이용하여 상품의 라이프 사이클에 수반되는 정보를 종합관리할 있는 총체적 정보시스템을 구현하는 시스템 통합에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은 반드시 상호연동될 있는 표준화된 기술을 전제로 하고 있다.

 

● CVO ( Commercial Vehicle Operations )

 

  직역하면 상업적인 운반도구의 관리시스템이라 있다. 일반적으로는 ????첨단화물운송시스템????이라 표현된다. CVO 영업용, 업무용 화물차량과 관련된 조직에서 차량관리를 효율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시스템에는 첨단 정보통신이 도입되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이미 첨단 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산업현장에 접목시키는 상업화, 대중화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

 

● EAN (UPC/EAN/KAN)

 

  UPC(Universal Product Code) 미국의 코드기관인 UCC(Uniform Code Council. Inc) 제조·유통업체에 부여하는 공통상품코드로서 사용 지역이 미국과 캐나다로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국가식별코드가 없고, 코드체계는 표준형 12자리와 단축형 8자리의 종류이며 문자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EAN(European Article Number) 미국과 캐나다를 제외한 세계 모든 국가나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통상품코드로서 ‘EAN International’이라는 국제기구에 현재 86개국을 대표하는 79 코드관리기관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이러한 국제 상품코드체계의 어원화에 따른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최근에는 국제표준화를 추진 중에 있으며, 우리나라는 EAN International 가입하여 부여받은 한국형 상품코드체계 KAN(Korea Article Number) 있다.

 

● EDI ( Electronic Data Interchange )

 

  수출입 거래의 당사자가 우편 기존의 방법에 의존하지 않고 컴퓨터를 통하여, 수출승인서 등의 행정서류, 상업송장 등의 상거래 서식을 표준화된 양식에 맞추어 상호 교환하고 재입력 과정 없이 직접 업무에 활용하는 첨단 정보전달방식을 말한다.

● KOTIS ( Korea Trade Information Services )

 

  한국무역협회가 제공하는 무역전문 데이타 뱅크

 


-작성자:최고관리자
  • URL 복사
  • Naver Blog로 보내기
  • Naver Band로 보내기
 스크랩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물류업체 더보기
물류자료실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물류자료 실무에 유용한 물류자료 엑기스 모음 댓글[170]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5 79664 62
공지 관세통관 수입 통관절차 단계별 정보 안내 (필독) 댓글[33]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2 128774 9
공지 물류자료 포워딩 창업 절차 및 세팅 노하우 정리 댓글[22]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4 61801 4
공지 물류자료 리튬 배터리 해상 운송 규정 댓글[13] Realsweetlife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15142 2
공지 물류자료 항공/해상 3code & 2code 자료 개미형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4477 2
공지 물류자료 항공기종별 DOOR SIZE 댓글[11]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1 15739 3
공지 물류자료 신용장 (L/C : LETTER OF CREDIT) 댓글[1]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8 15523 4
공지 물류자료 수입화물 입항 후 발생되는 비용 정리 댓글[2] 부산갈매기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0058 3
공지 물류자료 파렛트 사이즈별 컨테이너 적입수 댓글[25] 왕영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55961 23
공지 물류자료 선박 위치 조회 방법 (컨테이너선/벌크선) 댓글[8] 호두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3 146584 8
공지 물류자료 초보무역인을 위한 실무가이드 "참쉬운 무역" 댓글[6] 재그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9716 6
공지 문서양식 FCL/LCL/AIR 견적 서식 댓글[20] ALPHA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 23134 18
공지 문서양식 인보이스 자동양식(엑셀) 댓글[41]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0 32013 15
2140 물류자료 선사가 공동해손(GA, General Average) 선언(declare)할 경우 화주입장에서 알아야 할 …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485 0
2139 물류자료 최근 미국 현지 철도운송 및 해상운송 시 컨테이너 SEAL훼손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1570 0
2138 물류자료 호르무즈 해협 봉쇄 관련 항공 물류 영향 분석 Dr.No™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3338 0
2137 물류자료 AMS ACI 신고 요령 JJJJ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9 7379 2
2136 물류자료 쇼링(Shoring)과 라싱(Lashing) 차이 비교 댓글[1]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10739 2
2135 기타자료 부산항 안전기준 메뉴얼 별하나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4 5027 1
2134 물류자료 물류 창고자동화 업체 TOP 20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17086 0
2133 물류자료 MSC 프리미어 얼라이언스 제미나이 오션얼라이언스 해운동맹 정리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14634 1
2132 물류자료 SINGLE TRUCK / FULL TRUCK 사진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 10015 1
2131 물류자료 위험물로 구분되는 알코올 도수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10830 1
2130 물류자료 CIS : Container Inspection Shed 물류용어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5 13089 0
2129 물류자료 장금상선 각종 요청서 양식 모음파일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0698 2
2128 한국수입협회 [주한우크라이나대사관] 우크라이나 SHABO 와이너리 소개 (사)한국수입협회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7247 0
2127 한국수입협회 [주한아르헨티나대사관] 아르헨티나 PELLERITI PRIORE 와이너리 소개 (사)한국수입협회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7106 0
2126 물류자료 AEO 인증업체 혜택 정리 윌리엄강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10965 2
2125 물류자료 중국 해외통관 금지품목 리스트 댓글[1]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2 13419 0
2124 한국수입협회 뉴질랜드 마오리 원주민 기업 무역사절단 B2B 상담회 (사)한국수입협회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6 8570 0
게시물 검색
이용안내
사이트소개
회원안내
업체등록
배너광고
유료게시판
커뮤니티
모임
기타안내
업체정보
포워더
해외파트너
콘솔사
관세사
운송사
해외특송
창고
부대서비스
프로모션
채용정보
채용공고
공고등록
가이드라인
 Q & A 
업무문의
업체문의
견적문의
기타문의
커뮤니티
공지/이벤트
긴급제보
모임
자유게시판
물류안테나
포케TV
물류블로그
선복공유
물류현장
물류자료실
기관협회

Membership
개인회원
기업회원
등업안내
포인트안내
포인트충전소
Logistics Tools
CBM 자동계산기
수입통관 조회
화물안전운임 요율 조회
관세청 고시환율 조회
부대비용 계산
국가별 공휴일
화물추적 Cargo Tracing
항구위치
터미널 정보
HS코드
World Freight Forwarder Association
무역보험용어
사이트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제휴문의   |   광고문의 고객센터

상호명: 브랜뉴플래닛(주)  사업자등록번호: 816-88-02513
직업정보제공신고번호: J1204-020-230007 통신판매번호: 제2023-서울강서-0354호
Copyright © 브랜뉴플래닛 All rights reserved.
브랜뉴플래닛(주)는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통관진행 문의는 물류업체에 하시기 바랍니다.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