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류이론] 운송의 이해와 운임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운송의 이해와 운임
1. 운송의 이해
- 개념 : 자동차, 철도, 선박, 항공기 등을 이용하여 수급에 따른 제품의 공간적 거리를 조정(시간적 거리 조정도 일부 포함)하는 행위로서 일반적으로 물류 활동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3대 요소
a) 운송수단(mode) : 이동에 따른 운반 수단
b) 운송경로(link or route) : 개별 운송수단이 이용하는 통로
c) 운송연결점(node) : 동종 또는 이종의 운송수단이 연결되는 장소 또는 지점
* 어떠한 운송을 할 것인가는 화물 특성, 수단별 특성, 경로, 연결점의 상황을 고려하여 선택
- 구분
a) 자가운송 vs. 산업운송(영업운송)
b) 자산소유운송(VOCC) vs. 자산비소유운송(NVOCC)
c) container(general cargo) vs. bulk cargo
d) LCL 운송 vs. FCL 운송
e) 정기운송 vs. 부정기운송
f) 단일운송 vs. 복합운송
g) 간선운송(trunk line) vs. 지선운송(feeder line)
h) 국내운송 vs. 국제운송
i) 공로(도로,트럭) vs. 철도 vs. 해상 vs. 항공 vs. 파이프라인 vs. 특송
2. 운임(freight)
- 개념 : 운송요금으로 운송서비스에 대한 대가로 화주가 지불하는 금액
- 결정요소 : 운송거리, 화물의 무게, 부피 및 취급용이성, 적재효율성, 운송 수단의 수급상황 등
- 산정기준 : 무게(중량), 부피(용적), 가격, 개수, revenue ton
- 구성 : 고정비(운송수단 감가상각비, 구입자금 이자, 인건비, 일반관리비 등) + 변동비(연료비, 수리비 등)
※ 운송비와 운송서비스 : 상호간 상쇄관계(trade-off)가 존재하므로 총비용 관점에서 목표하는 운송서비스 수준에 따라 적절한 운송수단 선정
-작성자:seaplanner
- 게시물이 없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