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10 일일환율전망] 위안화 강세에...1,450원대 후반 중심 등락 전망 > 기관협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페덱스코리아 프로모션
기관협회 [K-SURE]

[01/10 일일환율전망] 위안화 강세에...1,450원대 후반 중심 등락 전망

페이지 정보

본문

전일동향 : 전일대비 5.50원 상승한 1,460.50원에 마감



9일 환율은 오후 3시 30분 기준 전일대비 5.50원 상승한 1,460.50원에 마감했다.



이날 환율은 NDF 종가를 반영해 전 거래일 대비 3.60원 상승한 1,458.60원에 개장했다.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정책 우려에 따른 강달러 영향으로 장 초반 환율은 1,460.20원까지 상승했다.

그러나 환율은 국민연금 환헤지 물량 경계감으로 상승 폭을 보합권까지 축소했다.

오후장에서 환율은 유로화, 파운드화 등 주요 통화 약세에 연동해 다시 상승하며, 1,460.50원에 종가(15:30 기준)를 기록했다.

주간장중 변동 폭은 7.10원이었다.



한편, 이날 외환시장 마감시점의 엔-원 재정환율은 923.53원이다.



금일전망 : 위안화 강세에...1,450원대 후반 중심 등락 전망



NDF에서 환율은 스왑포인트(-1.75원)를 고려하여 전 거래일 현물환 종가(1,460.50) 대비 0.95원 하락한 1,457.80원에서 최종호가 됐다.



금일 환율은 위안화 강세에 연동되어 제한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위안화 7.35 레벨 방어 목적으로 중국인민은행은 6개월 만기 국채 600억 위안에 대한 입찰 실시를 발표했다.

이에 중국 당국의 위안 약세 속도 조절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조치 예고는 원화 및 아시아 신흥국 통화에도 긍정적인 재료로 소화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엔화는 임금 인상률 서프라이즈에 BOJ 금리인상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강세를 보였다.

11월 일본 노동자 현금 소득은 전년비 3.0% 상승해 예상치(2.7%)를 상회했고, 32년래 가장 높은 인상률을 기록했다.

금일 환율은 아시아 통화 강세에 연동되어 제한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증시 외국인 자금 복귀 등도 환율 하락의 요인으로 작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 및 파운드화 약세로 인한 강달러에 환율의 하단은 지지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금일 저녁 발표될 미국 비농업 고용 및 실업률 등 주요 지표에 대한 경계 심리에 환율의 변동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금일 달러/원 예상범위 : 1454.80 ~ 1463.80 원



출처 : 한국무역보험공사 환위험관리지원센터(https://www.ksure.or.kr/rh-fx/cntnts/i-505/web.do)



2fa52a7ae68d04987710b1f20e323ee2_1724837435_292.PNG


  • URL 복사
  • Naver Blog로 보내기
  • Naver Band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기관협회 목록

Total 389건 6 페이지
게시물 검색
2025-08-13 07:32:49


사이트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제휴문의
광고문의 고객센터
상호명: 브랜뉴플래닛(주)  
사업자등록번호: 816-88-02513
직업정보제공신고번호: J1204-020-230007
통신판매번호: 제2023-서울강서-0354호
Copyright © 브랜뉴플래닛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