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과빗자루병 (Apple proliferation)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9-02-11 11:36
조회 2,498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조회 2,498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관련링크
본문
기주 | *사과가 주기주이다. *품종에 따라 반응은 차이가 나지만 묘목을 포함하여 사과는 감수성이다. 가장 감수성인 품종은 Belle de Boskoop, Gravenstein, Starking, Golden Delicions, Winter Banana 이며 Roja de Benejama 는 감염에 견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배나무에서도 같은 병징이 발견되나, 그것이 본 병원균에 의한 것인지는 입증되지 않고 있다. Convolvulus arvensis L. (서양메꽃), Corylus avellana L. (개암(유럽계)), Malus domestica Borkh. (사과나무), Vitis vinifera L. (포도나무, 포도(유럽종), 초룡주, 비니페라종) |
분포(발생정보 포함) | 구소련, 영국(영국분포기록은 Essex지방원산 사과나무 한그루에서의 발생 기록임), 인도 (확인되지 않음), 남아연방(확인되지 않음)*본 병원균은 EPPO 지역에서만 발생하나, 확인이 되지 않은 인도와 남아연방에서의 발생보고도 있다. (Seem?ler, 1990) 그리스, 루마니아, 독일, 스위스, 스페인, 영국, 오스트리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이탈리아, 체코공화국, 폴란드, 프랑스, 헝가리 |
생태 | 여름 또는 초가을에 줄기에서 최고밀도에 도달한다(Seemuller, 1984). 프랑스에서는 21∼25℃ 일때는 병징이 발현되면서 나무전체에서 발견되며 29∼32℃ 에서는 병징 발현이 억제되고 뿌리에서만 발견되나, 묘목을 그보다 낮은 온도에 저장하면 줄기에 다시 침입한다 (Ducrocquet 등, 1986).감염눈을 나무에 접종하면 병징이 다음해에 나타나고 대부분 접종가지에서만 나타난다. 대목이 감염되면 접목한 그해의 접수에서 병징이 발현된다. 흡지(吸枝) 와 신초 끝에 야외에서의 전염수단 중 일부는 아직도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뿌리융합으로 전염될 수 있다. 매미충류가 매개충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Seem?er,1990), 다른 여러 실험에 의하면 이를 뒤받침할 만한 증거를 찾지 못하고 있다 (Refatti 등, 1986). 종자 또는 화분(花紛) 전염을 하지 않는다. 사과에는 접목에 의해서 전염된다. 사과에서 배로 접목 전염된다는 보고가 한 건 있었으나 그 후의 실험결과 확증할 수 없었다. 새삼 (Cuscuta sp.)을 통해 Catharanthuus roseus 에 전염되었다는 보고도 있다 (Marwitz, 1974; Heintz, 1986). 접수에 의하여 흔히 전염되지만 전신병징으로는 나타나지 않고 눈이 감염 되더라도 사과나무의 대부분은 건전하여 사과를 생산할 수 있다.MLOs 의 사과나무내 분포는 년중 일정치 않아서 겨울에는 나무의 체관이 퇴화하여 MLOs 의 밀도가 저하한다. 뿌리에 집중 분포하나 4월∼5월에는 줄기로 재침입하고 늦주로 국한하여 발생하며 잎자루, 주맥 및 턱잎의 체관에서 발견된다,감염 나무는 흰가루병 (Podospharea leucotricha)에 극히 민감하다. 본 병과 apple rubbery wood disease (ARWD) 와는 상호관계가 있어 ARWD는 본병의 발생을 조장한다. 자세한 자료는 Bovey(1963 , 1972) , Seidl 과 Komarkvora (1974) 에 의하여 제시되고 있다. 감염되어도 병징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감염식물이 유입될 가능성은 크다. 본 MLOs 는 사과나무, 접수, 대목에 존재할 수 있다. 자연적 전파는 매개충 역할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평가된 바 없다. |
피해 | 사과의 모든 품종에 피해를 주는 가장 중요한 MLOs의 하나이다. 과실 크기를 50%나 작게 하고 무게는 64∼74% 가벼워지며 과실의 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수세를 약화시키고 또한 흰가루병(Podosphera leucotricha)발병을 조장한다. |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