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didatus Liberibacter solanacearum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물류사전

Candidatus Liberibacter solanacearum

페이지 정보

본문

기주 • 기주식물로는 감자, 토마토, 고추(파프리카)가 있으며 Solanacearum betaceum (tomarillo), Physalis peruviana(cape goseberry)에서도 검출이 됨(Abad JA 2008, Crosslin JM 2009,MAFBNZ 2009)또한, 최근에는 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스페인의 일부지역 당근에서 도 검출(Munyeneza J.E 2010, 2012) 되었으며 스페인의 경우 일부지역 의 샐러리에서도 검출됨• 가지과 작물의 여러 종을 기주로 하고 있으며 최근 산형과인 당근에서 검출되었음• 또한 야생기주인 Siverleaf nightshade(Solanum elaeagnifolium), Wolfberry(Lycium barbarum)에서도 검출이 확인됨(Wen et al. 2009)• 동병원체는 병원체규명이 2008년에 최초로 되었고 따라서 비교적 최근 에 밝혀진 병원체로 현재까지 연구가 계속 진행 중이며 기주의 경우 계속 적으로 추가될 가능성이 높음, 특히 가지과에서 산형과로 기주가 확대 되 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함• 국내: 감자, 토마토, 고추, 당근은 국내 일반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작물이며 재배지역 또한 전국단위이고 노지와 하우스 모두 재배가 가능함. 토마틸로와 케이프구즈베리의 경우 관상용으로 수입 될 가능성이 있음(PIS, 2011)

Capsicum annuum L. (고추), Lycopersicon esculentum Miller (토마토), Physalis peruviana L. (케이프구즈베리), Solanum melongena L. (가지, 가, 조채자, 왜과, 까지), Solanum tuberosum L. (감자, 마령서, 양우, 토두, 산약단, 지단, 양산우)
분포(발생정보 포함) • 동병의 매개충인 Bactericera cockerelli의 분포- 북미: 캐나다(알버타, 브리티쉬 콜럼비아, 온타리오, 퀘백, 사스카츈) (Ferguson et al. 2003)- 미국(아리조나, 캘리포니아, 콜로라도, 아이다호, 켄사스, 미네소타, 몬타나, 네브라스카, 네바다, 뉴멕시코, 노스다코다, 오클라호마, 사우스 다코다, 텍사스, 유타, 와이오밍, 워싱턴주, 오레곤 )- 멕시코(Durango, Tamaulipas, Michiocan, Mexico city, Puebla)- 남미: 과테말라, 온두라스 오세아니아: 뉴질랜드에 분포(EPPO 2010, 호주PRA자료, McKenzie CL 2009, Munyaneze 2009)• 동병의 매개충인 Trioza apicalis의 분포- 유럽 :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러시아, 프랑스, 스페인

오세아니아, 노르웨이, 스웨덴, 스페인, 프랑스, 핀란드, 멕시코, 미국(네바다주, 노스다코타주, 뉴멕시코주, 몬태나주, 사우스타코타주, 애리조나주, 오클라호마주, 와이오밍주, 유타주, 캔자스주, 캘리포니아주, 콜로라도주 포함), 캐나다, 과테말라, 온두라스, 뉴질랜드
생태 ○ 동병원체는 유관속 국재성 세균으로 사부조직에만 존재하는 세균으로 현재까지 배양이 불가능○ 전염방법 : 매개충 감자나무이(Bactericera cockerelli) 당근에선 당근나무이 (Trioza apicalis)나 괴경, 접목에 의해 전염- 감자괴경을 통한 전염의 연구결과를 보면 매개충이 없는 상태에서 이병감자를 심어 후대에서 병의 발생 등에 대한 연구결과 검출이 되었으며 이는 동병원체가 감자괴경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병이 이동될 수 있으며 건전한 매개충의 병 획득원으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Eur J plant pathol 2011 129:389-398)- 종자전염에 대한 연구는 뉴질랜드의 연구팀에 의해 시도되었는데 감염된 토마토, 고추, 토마틸로의 과실로부터 각각의 종자를 받아 1,030개의 토마토묘, 225개 고추묘, 225개 토마틸로묘를 키워 검사한 결과 모두 감염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이결과로 볼 때 동병원체가 종자전염을 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1차적으로 얻었음(Liefing ,2008a), 확실한 종자전염의 여부를 확인하기위한 계속적인 실험 수행 중• 동병원체 분포지역을 보면 우리나라의 기후와 유사한 지역이 포함• 감자에서 동병원체의 온도별 병징 발현의 정도를 연구한 논문에 의하면 17℃이하에서는 병징의 발현이 서서히 이루어지고 32℃이상에서는 병원균에 매우 치명적인 영향을 미침, 따라서 동병원체는 온도에 매우 민감하며 적정 온도가 20℃이상 30℃이하임( Munyaneza JE. 2012) 기후 조건을 고려할 때 국내에서 정착이 가능함• 이종의 매개충으로 알려진Bactericera cockerelli는 검역해충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Bactericera 속에 속하는 종의 경우 국내에서 보고된 종이 없음(한국곤충 명집 2011) 당근의 매개충인 Trioza apicalis는 국내 미분포 해충임(Munyaneza JE 2010, JOSEPH E. MUNYANEZA 2010), Trioza 속에 속하는 종의 경우 국내에 7종이 보고되어 있음(한국곤충명집, 2011)• 최근에 지역과 기주에 따라 4종류의 haplotype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보고되어져 있으나 레이스로 구분되지는 않음(Warrick R. et al. 2013)• 병원체는 식물체 내부의 사부조직에만 분포하는 병원체로 비, 바람, 즙액 등의 자연적인 요소로는 병원체 전파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병원체의 확산의 주요 요소인 매개충과 번식용식물로 매개충의 경우 국내 미분포종으로 매개충을 통한 확산의 가능성은 낮은편 이지만 재식용 식물을 통한 확산의 위험성은 큼(Henne DC 2010),만일 보독된 매개충이 유입될 경우에는 가장 효과적으로 동병원체를 확산시킬수 있음① 토마토, 고추(파프리카)등의 과실을 통한 확산 : 과실을 통한 확산 의 경우 극히 낮은 것으로 판단- 감염된 과실이 땅에 버려지게 되는 경우 종자를 통한 전염이 불확 실하고 단지 매개충을 통한 확산만 가능한 경우 매개충이 없는 상황 에서 확산의 가능성은 매우 낮음 (Liefing 2008a)② 감자 괴경을 통한 확산 : 식용이나 가공용으로 수입되는 감자 괴경의 경우 목적이외의 용도로 사용시 일반적인 감자의 번식방법인 여러 개로 감자를 잘라 심을 경우 개체 번식이 가능하여 이를 통한 확산의 위험성이 있으며, 최근의 연구 자료에 의하면 감염된 감자 괴경을 심 을 경우 모본에서 자손으로 옮겨지며 이것을 통한 확산의 위험성에 대해 기술하고 있음(Andrew 2011) 다만, 감자나무이의 경우 괴경에 부착될 가능성이 매우 적고 감자괴경을 가해한 후 매개충에 의한 확 산의 위험성이 없으므로 매개충이 없는 상황에서는 단시간에 널리 확 산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괴졍을 통한 확산의 가능성은 중 간임 (Henne DC 2010)③ 재식용 식물을 통한 확산 : 감염된 재식용식물이 유입된 경우 재식용식물은 바로 적절한 재배환경에 놓여지게 됨, 또한 Candidatua Liberibacter 종의 경우 번식용 묘가 확산의 수단이며 특히 구즈베리와 토마틸로등은 삽목과 접목이 번식의 수단이 됨(Polker et al 2007)또한, 재식용식물에는 매개충의 알이나 약충 등이 부착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따라서 번식용 묘를 통한 확산의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확산가능성이 높음(Crosslin, J.M 2009)• 병원체는 전신감염을 하며 기주식물 체내 및 매개충에서 증식가능(Hansen Ak 2008), 매개충의 경우 경란전염이 가능하며 감염된 감자에 대한 식물체내 분포조사를 한 결과 식물체에 감자의 root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 식물체에 모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Wenbin 2009)• 감자의 매개충의 경우 동병원체를 매개하기 위한 흡즙시간은 1-2시간 정도가 소요되며 일반적으로 약충보다는 성충의 매개충 효과가 더 높으며 또한 1마리의 성충만으로 동병원체를 전염이 일어날 수 있다고 보고(Buchman JL .2011)
피해 • 병원체는 전신감염을 하며 기주식물 체내 및 매개충에서 증식가능(Hansen Ak 2008), 매개충의 경우 경란전염이 가능하며 감염된 감자에 대한 식물체내 분포조사를 한 결과 식물체에 감자의 root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 식물체에 모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Wenbin 2009)• 감자의 매개충의 경우 동병원체를 매개하기 위한 흡즙시간은 1-2시 간 정도가 소요되며 일반적으로 약충보다는 성충의 매개충 효과가 더 높으며 또한 1마리의 성충만으로 동병원체를 전염이 일어날 수 있다고 보고(Buchman JL .2011)• 감자의 경우 특히 가공용 감자의 경우 동병원체에 감염시 가공용 감자의 상품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초래(Munyeneza et al. 2008)• 미국 텍사스주에서는‘05, ’06년 2백만달러를 능가하는 손실이 보고되고 감염된 감자농장의 면적이 약 35∼40%에 달하며 단지 수확된 작물뿐만 아니라 감자가공산업 전반에 걸친 피해가 125백만 달러에 달하고 관련 일자리가 970개가 없어지는 등 피해가 심함(Taxas A&M 2006) 감자에서 병에 감염시 건물중이 19%에서 13%로 감소하고 대략 수확량 60%감소(Liefting et al 2008a)• 토마토의 경우 2001-2004동안 북서부 미국에서는 상업용 재배단지에서 50∼85%까지 수확량이 감소한 경우도 있음(Hensen et al 2008)• 뉴질랜드산 작물에 대해 수입제한 조치를 취했고 큰 교역상대국인 피지에서도 2008. 7월에 감자, 토마토, 고추 속 식물의 수입을 중단했다가 7.30일자로 수입을 재개한 바 있음.(MAF2008)• 호주의 경우 뉴질랜드산 감자는 동 병 발생 이전부터 금지였고 토마토, 고추속, 가지, cape gooseberries, tomarillos 등 가지과 작물에 대한 수입금지를 확대하였음
  • URL 복사
  • Naver Blog로 보내기
  • Naver Band로 보내기
 
추천 0

물류사전 목록

Total 9,130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2025-09-11 06:27:43


사이트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제휴문의
광고문의 고객센터
상호명: 브랜뉴플래닛(주)  
사업자등록번호: 816-88-02513
직업정보제공신고번호: J1204-020-230007
통신판매번호: 제2023-서울강서-0354호
Copyright © 브랜뉴플래닛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