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주애기잎말이나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9-02-12 10:51
조회 2,526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조회 2,526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관련링크
본문
구분 | 해충 |
분류 | 종 |
과(학명) | Tortricidae |
과(국명) | 잎말이나방과 |
속(학명) | Grapholitha |
속(국명) | |
종(학명) | Grapholitha inopinata Heinrich |
종(국명) | 만주애기잎말이나방 |
검역구분 | 금지병해충 |
일반명 | |
기주 | 산형자 Crataegus pinnatifida Bunge (산사나무, 산사, 아그배), Malus baccata var. mandshurica (Max.) Schneider (털야광나무), Malus sieboldii (Regel) Rehder (아그배나무), Malus domestica Borkh. (사과나무), Prunus persica (L.) Batsch (복숭아나무, 복사나무), Pyrus pyrifolia var. culta (Makino) Nakai (배나무, 일본배), Rosa rugosa Thunb. (해당화, 매괴, 해당과, 매괴, 매계, 민괴, 배회, 홍매괴) |
생태 | 년 2세대를 경과하며, 유충은 가지 껍질의 균열된 틈새에 고치를 짓고, 노숙유충으로 월동한다. 1회 성충은 5월 하순∼6월 하순에 나타나고 2회 성충은 8월 상하순경에 나타난다. 9월 중순경을 최성기로 월동 준비에 들어간다. 부화 유충은 과일표피 아래를 먹고 성장하다가 과육을 식입하는데 심부까지 먹어 들어가는 경우는 드물다. 피해과의 외부는 둥글게 흑갈색으로 함몰이 되며 밖으로 벌레 똥을 많이 내놓는다. 1개의 과일에 가해하면서 다른 과일로 이동하지 않는다. |
피해 | 만주 및 중국 동북부 사과원에서 큰 피해를 유발하는 해충이다. 만주 및 中國 동북부 사과園에서 유명한 大害蟲으로 알려져 있다.우리나라는 문헌상 기록에 북한지역이 분포지로 되어 있으나, 發生年度도 확인할 수가 없으며, 현재 남한에서는 그 발생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만약 북한지역에 널리 분포가 되어 있다면 물자교류시 주의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日本에서는 1952년 福島縣에서 사과園 울타리인 해당화類 피해果에서 처음으로 발견이 되었고, 사과의 被害도 確認이 되었는데 이것은 滿洲地域에서 輸入된 것으로 추측된다고 한다(筒井 1972, 石川 1982, 河田 1975).中國의 요남지방 사과園에서는 1953년도에 만주애기잎말이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의 피해과율이 50%에 달하였으나, 수피제거, 월동충제거, 지면살포, 봉지씌우기 등의 방법과 기타 방제수단을 동원하여 종합적으로 방제한 결과, 1958년에 5% 피해과율로 낮출 수 있었다고 한다(中國科學院動物硏究所, 1979). |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