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ssiflora Latent Viru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물류사전

Passiflora Latent Virus

페이지 정보

본문

구분 병균
분류
종(학명) Passiflora Latent Virus
종(국명)  
검역구분 관리병해충
일반명  
기주 ○ Susceptible : Passiflora, P. caerulea(시계꽃), P. tarminiana, Chenopodium murale, C. quinoa, C. album(흰명아주, white goosefoot) ○ Insusceptible : Capsicum annuum(고추), Chenopodium amaranticolor, Cucumis sativus(오이, cucumber), Cyamopsis tetragonoloba, Datura metel(흰독말풀, sacred datula), D. tatula(독말풀), Dianthus barbatus(수염패랭이꽃, asian pink), Gomphrena globosa(천일홍, globe amaranth), Lathyrus odoratus(스위트피), Lycopersicon esculentum(토마토, tomato), Melilotus albus, Nicotiana debneyi, N. glutinosa, N. tabacum(담배, tobacco), Petunia x hybrida, Phaseolus vulgaris(덩굴강낭콩), Pisum sativum(완두), Solanum tuberosum (감자, potato), Vicia faba, Vigna unguiculata(동부)
분포(발생정보 포함) * 1960년대 독일에서 Passiflora caerulea, P. suberosa 에서의 발생이 처음으로 보고됨(Brandes and Wetter, 1963).

이스라엘, 네덜란드, 독일, 영국, 미국, 뉴질랜드, 호주
생태 ○ 진드기에 의해 전염됨(non-persistant, non-circulative manner) (Fischer and Rezende, 2008). 기계적 접종이나 접목을 통해서도 전염 가능.○ 70℃에서 10분 열처리 했을 때 바이러스가 불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했지만 65℃ 에서는 효과가 없었음 (Brandes and Wetter, 1963).
피해 ○ 동병의 바이러스로 인한 Passiflora 종의 생산에 영향을 미쳤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음(Fischer and Rezende, 2008). 하지만 과실을 맺는 품종인 P. edulis f. flavicarpa 의 경우 상업적으로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큼(Hicks et al., 1996).



-작성자:최고관리자
  • URL 복사
  • Naver Blog로 보내기
  • Naver Band로 보내기
 
추천 0

물류사전 목록

Total 9,130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2025-07-05 01:24:54


사이트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제휴문의
광고문의 고객센터
상호명: 브랜뉴플래닛(주)  
사업자등록번호: 816-88-02513
직업정보제공신고번호: J1204-020-230007
통신판매번호: 제2023-서울강서-0354호
Copyright © 브랜뉴플래닛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