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나나뿌리썩이선충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02-12 10:42
조회 3,148회 /
신고
관련링크
본문
구분 | 해충 |
분류 | 종 |
과(학명) | Pratylenchidae |
과(국명) | 뿌리썩이선충과 |
속(학명) | Radopholus |
속(국명) | |
종(학명) | Radopholus similis (Cobb) Thorne |
종(국명) | 바나나뿌리썩이선충 |
검역구분 | 금지병해충 |
일반명 | |
기주 | Indigofera hirsuta.두종 모두 기주범위가 매우 넓다. 단자엽식물을 침해한다. : Musaceae(바나나, Strelitzia), Araceae(Philodendron, Anthurium), Murantaceae(Calathea) 그외에 몇 개의 쌍자엽식물(Piper nigrum)도 침해한다. 200개이상의 식물이 R. similis sensu lato의 기주로 기록되어 있지만 대부분 우연하게 바나나 밭부근에서 부수적으로 발견된 것이거나 인공접종에 의한 것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제2기주가 넓은 것이 이 두자매종 모두에 적용된다.제2차기주의 대부분은 관상용식물로서 중요하다.<아누비아스묘>현재까지 76과 218속 400여종의 기주가 알려져 가장 기주 범위가 넓은 선충에 속한다.이렇게 넓은 기주범위는 선충과 기주식물이 만날 수 있는 환경이 주어졌을 경우 대부분의 식물을 기주로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중요한 기주가 속하는 식물의 과(family)는 운향과, 마란타과, 야자과, 천남성과, 생강과, 파초과, 박과, 가지과이며,선충 번식에 유리한 기주들은 감귤류, 생강, 칼라테아, 신고늄, 마란타, 아레카야자, 코코넛야자, 천남성, 필로덴드론,바나나, 수박, 고추, 차, 커피, 후추, 파인애플, 멜론, 히비스커스 등 고온성식물 및 감자 등이다. 최근 식물검역에서새로운 기주식물로 확인한 것은 Agathis, Anubias, Rhapis, Staurogyne 등이다. Abelmoschus esculentus (L.) Moench (오크라), Allium tuberosum Rottler (부추, 솔, 정구지), Ananas comosus (L.) Merrill (파인애플), Arachis hypogaea L. (땅콩), Camellia sinensis (L.) Kuntze (차나무), Canna edulis Ker. (식용칸나), Capsicum annuum L. (고추), Citrullus vulgaris Schrad. (수박), Coffea arabica L. (커피나무), Cucumis melo L. (멜론), Cucurbita moschata Duchesne ex Poir (호박),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Makino (치자나무), Glycine max (L.) Merr. (콩, 대두), Ipomoea batatas Lam. (고구마), Litchi chinensis Sonn. (여지, 리치), Lycopersicon esculentum Miller (토마토), Medicago sativa L. (자주개자리, 자주꽃개자리, 알팔파), Momordica charantia L. (여주, 긴여주, 여자, 여지, 유자), Musa cavendishii Lamb., Musa sapientum L. (바나나(생식용)), Persea americana Mill. (아보카도나무), Phaseolus vulgaris L. (강낭콩), Pinus taeda L. (테다소나무), Piper nigrum Linn (후추), Piper kadzura Ohwi (후추등), Raphanus sativus L. (무우), Saccharum officinarum L. (사탕수수), Zea mays L. (옥수수, 강냉이, 옥미, 옥초서, 진주미, 포속, 포로, 포곡, 노옥미, 속미, 번표, 포), Zingiber officinale Rosc. (생강, 강, 강유, 생강유, 새앙, 새양), Allium (부추속), Anthurium (홍학꽃속), Beta (근대속, 사탕무속), Calathea (칼라데아속), Musa (파초속), Philodendron, Strelitzia (극락조화속), Rutaceae (운향과) |
생태 | 이주성(migratory)로서 내부기생선충이며 기주조직내에서 각태가 발육하며 불량조건에서는 선충이 뿌리 밖으로 나오기도 한다.R. similis는 바나나를 재배하지 않더라도 대체기주로 잡초가 있으면 5년간이나 생존한다. 이 선충은 뿌리내리는 식물체, 흙, 포장안에서는 뿌리의 접촉, 관개수, 농기계에 의하여 전파되며 포장내에서는 중미의 바나나에서 3~6m, 플로리다의 감귤에서는 년 15㎜나 퍼져 나간다.유충의 모든 단계 및 암컷성충은 감염력이 있으며 뿌리의 어느부위나 관통할 수 있으나 주 침입로는 뿌리끝이다. 이 선충은 피층안에서 흡즙하여 굴을 만들어 큰 공동을 형성한다. R. citrophilus는 중심주(stele)로 들어가서 체관부와 형성층에 쌓이게 되나 R. similis는 그렇지 않다. R. citrophilus는 플로리다의 감귤과수원 3m깊이의 뿌리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수정은 정상적이며 단위생식은 일어나지 않는다. 25℃에서는 21일만에 생활환이 완성되며 암컷 한 마리가 2주동안 하루에 평균 4~5개의 알을 낳는다. 불량조건에서는 45일만에 개체군이 10배 증가한다. 흙에서 토양 kg당 3000마리에 도달할 수 있으나 뿌리에서는 뿌리 100g당 100,000마리 이상으로 증식할 수 있다.이 선충들은 토양서식균과 상호작용하여 병발생을 증가시킨다. |
피해 | 이 선충은 오스트렐리아, 중나미, 아프리카, 태평양 및 카브리해 제도의 바나나재배지역에서 root, rot, blackhead, toppling dissease and decline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우면서 매우 경제적인 중요성을 띠며 진균의 감염에 소인을 제공하기도 한다.열대 아프리카에서도 감염 바나나에 가까운 곳에 재배한 다른 작물의 뿌리에서도 발견 분리된다. Tumeric(시황, 생강과 식물), cardamons(생강과), 생강(피지)의 중요선충이다. 접종시험에 의하면, 콩, 수수, 옥수수, 사탕수수가 심하게 피해받으며, 가지 커피, 토마토, 감자는 중간정도의 피해를 받는다. 이 선충은 또한 Piper nigrum(후추)의 yellow disease를 유발하여 1953년 인도네시아는 90%의 손실을 입힌 바 있다.R. similis가 온실에 발생한 것이 유럽, 일본, 캐나다, 미국의 아리조나, 캘리포니아, 루이지애나, 텍사스에 보고된 바 있다. 특히 Calathea(마란타과)에서 문제가 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