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ratocystis virescens (R. W. Davidson) C. Moreau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02-20 16:03
조회 2,664회 /
신고
관련링크
본문
구분 | 병균 |
분류 | 종 |
종(학명) | Ceratocystis virescens (R. W. Davidson) C. Moreau |
종(국명) | |
검역구분 | 관리병해충 |
일반명 | |
기주 | *Liriodendron tulipifera에서는 단 한차례의 기록이 있을 뿐이다. 여러목본류의 목재에서 부생균으로 발견된다. Acer saccharum Marsh. (설탕단풍) |
분포(발생정보 포함) | 캐니다(온타리오에서 단지 한번 보고된 바 있으나 감염나무는 제거됨), 미국(미시건, 뉴욕, 노스캐롤라이나, 버몬트, 위스콘신)*본 병원균은 북미원산으로 현재는 이 지역 이외는 확산되어 있지 않다. 미국, 캐나다 |
생태 | 현재까지 본 병원균의 생태에 관해서 전부가 알려지지 않고 있다. Mielke와 Charette(1989)는 감염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상처가 전제조건이며 땅가부위의 상처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기고 있다. 그 이유는 땅위를 지나는 곤충이 매개역할을 하거나 땅가주변의 환경이 감염에 호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균사에서 형성된 자낭포자와 분생포자가 전염원이 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곤충에 의한 국지적 확산 가능성 이외에 병원균의 가장 큰 전파 방법은 병든 나무의 판목(版木)에 의한 것이다. Houston(1986)의 단편적인 연구에 의하면 1984년 10월에 쓰러진 병든 나무를 썰어서 쌓아놓은 경우에 판자 위에서 C. virescens의 포자가 형성되며2개월된 균사에서도 병원균이 분리되었다고 한다. |
피해 | 북미에서의 피해는 현재까지는 그 규모가 아주 작다. 원래 이 병원균은 사탕단풍나무숲의 주목인 단풍나무 즙액을 채취하는 Acer saccharum에서 발견된다. Kessler(1978)의 기술에 의하면 A. saccharum 산림에 매우 큰 위험을 준다고도 한다. 감염나무는 회복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변색이 되므로 목재로서의 가치가 아주 떨어진다. |
-작성자:최고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