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무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02-21 17:09
조회 1,483회 /
신고
관련링크
본문
구분 | 병균 |
분류 | 종 |
종(학명) | Turnip yellow mosaic virus |
종(국명) | 순무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 |
검역구분 | 관리병해충 |
일반명 | |
기주 | Sinapis alba (white mustard), Reseda odorata○ Brassica, Brassica oleracea var. viridis(collards), Brassica rapa subsp. oleifera (turnip rape),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 Raphanus sativus (무, radish), Sinapis alba (white mustard), Reseda odorata* CABI, 2017. Brassica campestris L. (춘채(지나채)),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Raphanus sativus L. (무우) |
분포(발생정보 포함) | * 1949년에 처음으로 보고됨. 우리나라에서는 2012년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에서 처음 발생, 보고되었으며 이후 전국적으로 발병(Lee and Rho, 2016).○ 유럽(체코, 독일, 헝가리, 이탈리아, 영국, 유고슬로바키아), 오세아니아(호주) 대한민국, 일본, 터키,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체코공화국, 슬로바키아, 캐나다, 브라질, 호주 |
생태 | ○ 바이러스는 80-90℃에서 불활성화되며, in vitro 조건의 20℃ 일 때 최소 30일 이상 지속 가능(Broadbent and Heathcote, 1958).○ 많은 종류의 잡초를 포함한 십자화과 기주식물로의 기계적 접종으로 전염됨(Broadbent and Heathcote, 1958). Camelina sativa, Brassica napa, Alliama petiolata, Arabidopsis thaliana 에서 종자전염이 보고된 바 있음(Kirino et al., 2008). 성충과 약충의 흡즙에 의한 전염, 매개충(Phaedon cochleariae(mustard beetle)와 그 유충, Leptophyes punctatissima Bosc. (long-horn grasshopper), Stauroderus bicolor Charp.(short-horn grasshopper), Forflcula auricularia Linn.(earwig)) 에 의한 전염은 알려졌으나 (Markham and Smith, 1949) 수분전염은 되지 않음. |
피해 | ○ 국내에 최근 발생한 신종 바이러스로, 이상기후로 인한 매개충의 활성으로 인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지만 미흡한 대책마련단계. |
-작성자:최고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