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oterms2010 원문해석

본문 바로가기
물류뉴스
사이트 내 전체검색


 
 

포워더케이알 로그인

포인트 무료 충전
LOGISTICS TOOL
추천 물류서비스
물류업체 광고보드
물류사전

Incoterms2010 원문해석

페이지 정보

신고

본문

FOREWORD

서 문

               By Rajat Gupta, ICC Chairman (Rajat Gupta, ICC 회장)

The global economy has given businesses broader access than ever before to markets all over the world. Goods are sold in more countries, in larger quantities, and in greater variety. But as the volume and complexity of global sales increase, so do possibilities for misunderstandings and costly disputes when sale contracts are not adequately drafted.
글로벌경제에 의하여 기업들은 어느 때보다 널리 전세계 시장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물품은 보다 많은 국가에서, 보다 많이, 보다 다양하게 매매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매매의 수량이 증가하고 보다 복잡하게 됨에 따라, 매매계약서가 적절히 작성되지 않는 때에는 오해의 가능성과 고비용의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The Incoterms rules, the ICC rules on the us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ade terms, facilitate the conduct of global trade. Reference to an Incoterms 2010 rule in a sale contract clearly defines the parties’ respective obligations and reduces the risk of legal complications.
Incoterms 규칙은 국내ㆍ국제거래조건의 사용에 관한 ICC 규칙으로서 글로벌무역의 수행을 활성화한다. 매매계약에서 Incoterms 2010 규칙에 준거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당사자들의 각 의무가 명확하게 규정되고 법적 복잡성의 위험이 감소한다.  
Since the creation of the Incoterms rules by ICC in 1936, this globally accepted contractual standard has been regularly updated to keep pace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trade. The Incoterms 2010 rules take account of the continued spread of customs‐free zones, the increased use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in business transactions, heightened concern about security in the movement of goods and changes in transport practices. Incoterms 2010 updates and consolidates the ‘delivered’ rules, reducing the total number of rules from 13 to 11, and offers a simpler and clearer presentation of all the rules. Incoterms 2010 is also the first version of the Incoterms rules to make all references to buyers and sellers gender‐neutral.
Incoterms 규칙은 1936년에 처음 제정된 이후로 범세계적으로 계약적 표준으로 수용되었고, 국제무역의 발전에 부응하고자 정기적으로 경신되어 왔다. Incoterms 2010 규칙은 관세자유지역(customs‐free zone)의 지속적 확대와 상거래에서 전자적 통신의 사용증대, 물류상 보안에 관한 우려의 증대, 운송관행의 변화를 고려한다. Incoterms 2010은 도착지인도규칙을 경신하고 통합하여, 규칙의 총수를 13개에서 11개로 줄이고, 또한 모든 규칙을 보다 간단하고 명료하게 제공한다. Incoterms 2010은 또한 Incoterms 역사상 처음으로 매도인과 매수인을 중성(中性, gender‐neutral)으로 표현한다.

The broad expertise of ICC’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Commercial Practice, whose membership is drawn from all parts of the world and all trade sectors, ensures that the Incoterms 2010 rules respond to business needs everywhere.
ICC 국제상무위원회(Commission on International Commercial Practice) 위원들은 전세계 모든 지역과 모든 거래분야에서 선임되었고, 이러한 광범한 전문성은 Incoterms 2010 규칙이 어디서든지 거래의 필요에 부합하도록 한다.

ICC would like to express its gratitude to the members of the Commission, chaired by Fabio Bortolotti (Italy), to the Drafting Group, which comprised Charles Debattista (Co‐Chair, UK), Christoph Martin Radtke (Co‐Chair, France), Jens Bredow (Germany), Johnny Herre (Sweden), David Lowe (UK), Lauri Railas (Finland), Frank Reynolds (US), and Miroslav Śubert (Czech Republic), and to Asko Raty (Finland) for assistance with the images depicting the 11 rules.
ICC는 국제상무위원회 위원들과 Fabio Bortolotti 위원장(이태리), 초안그룹에 참여한 Charles Debattista (공동초안위원장, 영국), Christoph Martin Radtke(공동초안위원장, 프랑스), Jens Bredow(독일), Johnny Herre(스웨덴), David Lowe(영국), Lauri Railas(핀란드), Frank Reynolds(미국), and Miroslav Śubert (체코공화국), 그리고 11개 규칙의 도안제작에 도움을 준 Asko Raty(핀란드)께 감사한다.


INTRODUCTION(소 개)

The Incoterms rules explain a set of three‐letter trade terms reflecting business‐to‐business practice in contracts for the sale of goods. The Incoterms rules describe mainly the tasks, costs and risks involved in the delivery of goods from sellers to buyers.
Incoterms 규칙은 물품매매계약 분야에서 기업간 거래관행을 반영하는 세 문자로 이루어진 일체의 정형거래조건을 설명한다. Incoterms 규칙은 주로 매도인과 매수인의 사이에서 물품인도에 관련되는 업무와 비용 및 위험을 규정한다.

How to use the Incoterms 2010 rules
          (Incoterms 2010 규칙의 이용법)

1. Incorporate the Incoterms 2010 rules into your contract of sale
 ( Incoterms 2010 규칙이 매매계약에 편입되도록 할 것)
If you want the Incoterms 2010 rules to apply to your contract, you should make this clear in the contract, through such words as, “[the chosen Incoterms rule including the named place, followed by] Incoterms 2010”.
 (당해 계약에 Incoterms 2010 규칙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러한 취지를 계약에서 명확히 하여야 하며, 그 방법으로 “[여기에 선택된 Incoterms 규칙과 지정장소를 표시함] Incoterms 2010”과 같은 문구를 삽입한다.)

2. Choose the appropriate Incoterms rule
    (적절한 Incoterms 규칙을 선택할 것)
The chosen Incoterms rule needs to be appropriate to the goods, to the means of their transport, and above all to whether the parties intend to put additional obligations, for example such as the obligation to organize carriage or insurance, on the seller or on the buyer. The Guidance Note to each Incoterms rule contain information that is particularly helpful when making this choice. Whichever Incoterms rule is chosen, the parties should be aware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ir contract may well be influenced by customs particular to the port or place being used. (선택된 Incoterms 규칙은 당해 물품과 그 운송방법에 적합하여야 하고, 무엇보다도 예컨대 운송계약이나 보험계약의 체결에 관한 의무와 같은 추가적 의무를 매도인 또는 매수인 중에서 누가 부담하도록 의도하는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각 Incoterms 규칙의 사용지침(Guidance Note)에서는 특히 이러한 선택을 하는 데 유익한 정보가 담겨있다. 그러나 어떠한 Incoterms 규칙이 선택되든지 간에, 당사자들은 당해 계약에서 이용되는 항구나 장소에 특유한 관행에 의하여 계약의 해석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여야 한다. )

3. Specify your place or port as precisely as possible
( 당해 장소나 항구를 가급적 정확하게 명시할 것 )
  The chosen Incoterms rule can work only if the parties name a place or port, and will work best if the parties specify the place or port as precisely as possible.(선택된 Incoterms 규칙은 당사자들이 그에 관한 장소나 항구를 지정하는 때에만 작동할 수 있고, 당사자들이 그러한 장소나 항구를 가급적 정확하게 명시하는 경우에 가장 잘 작동한다.)
A good example of such precision would be:
(다음과 같이 정확히 명시하는 것은 좋은 예이다.)

“FCA 38 Cours Albert 1er, Paris, France Incoterms 2010”.

Under the Incoterms rules Ex Works (EXW), Free Carrier (FCA), Delivered at Terminal (DAT), Delivered at Place (DAP), Delivered Duty Paid (DDP), Free Alongside Ship (FAS), and Free on Board (FOB), the named place is the place where delivery takes place and where risk passes from the seller to the buyer. Under the Incoterms rules Carriage Paid To (CPT), Carriage and Insurance Paid To (CIP), Cost and Freight (CFR) and Cost, Insurance and Freight (CIF), the named place differs from the place of delivery. Under these four Incoterms rules, the named place is the place of destination to which carriage is paid. Indications as to place or destination can helpfully be further specified by stating a precise point in that place or destination in order to avoid doubt or argument.

공장인도(Ex Works: EXW), 운송인인도(Free Carrier: FCA), 도착터미널인도(Delivered at Terminal: DAT), 도착장소인도(Delivered at Place: DAP), 관세지급인도(Delivered Duty Paid: DDP), 선측인도(Free Alongside Ship: FAS), 본선인도(Free on Board: FOB)의 Incoterms 규칙에서, 지정장소(the named place)는 인도가 일어나는 장소이자 위험이 매도인에게서 매수인에게로 이전하는 장소이다. 운송비지급인도(Carriage Paid To: CPT), 운송비ㆍ보험료지급인도(Carriage and Insurance Paid To: CIP), 운임포함인도(Cost and Freight: CFR), 운임ㆍ보험료포함인도(Cost, Insurance and Freight: CIF)에서 지정장소는 인도장소와 다르다. 후자의 4 Incoterms 규칙에서, 지정장소는 목적지이고 거기까지의 운임이 지급되어야 한다. 장소나 목적지의 표시는 의문이나 논란을 피할 수 있도록 그러한 장소나 목적지 내의 정확한 지점(point)을 명시하는 것이 좋다.

4. Remember that Incoterms rules do not give you a complete contract of sale
(Incoterms 규칙이 매매계약을 완벽하게 해주는 것은 아님을 명심할 것)

Incoterms rules do say which party to the sale contract has the obligation to make carriage or insurance arrangements, when the seller delivers the goods to the buyer, and which costs each party is responsible for. Incoterms rules, however, say nothing about the price to be paid or the method of its payment. Neither do they deal with the transfer of ownership of the goods, or the consequences of a breach of contract. These matters are normally dealt with through express terms in the contract of sale or in the law governing that contract. The parties should be aware that mandatory local law may override any aspect of the sale contract, including the chosen Incoterms rule. (Incoterms 규칙은 매매계약의 어느 당사자가 운송계약이나 보험계약을 체결할 의무를 부담하는지, 매도인은 매수인에게 물품을 언제 인도한 것으로 되는지, 각 당사자는 어떠한 비용을 부담하는지를 규정한다. 그러나 Incoterms 규칙은 매매대금이나 그 지급방법에 대하여는 침묵한다. 또한 Incoterms 규칙은 물품 소유권의 이전이나 계약위반의 효과를 다루지 않는다. 이러한 사항들은 당해 매매계약상의 명시조건이나 그 준거법에 의하여 다루어진다. 더욱이 당사자들은 매매계약(선택된 Incoterms 규칙 포함)의 어느 측면에서도 국내법의 강행규정이 우선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Main features of the Incoterms 2010 rules
        (Incoterm 2010 규칙의 주요특징)

1. Two new Incoterms rules – DAT and DAP – have replaced the Incoterms 2000 rules DAF, DES, DEQ and DDU
  (2가지의 새로운 가격조건, 즉, DAT와 DAP가 신설되고, Incoterms 2000 규칙의 DAF, DES, DEQ, DDU가 폐지됨)

The number of Incoterms rules has been reduced from 13 to 11. This has been achieved by substituting two new rules that may be used irrespective of the agreed mode of transport – DAT, Delivered at Terminal, and DAP, Delivered at Place – for the Incoterms 2000 rules DAF, DES, DEQ and DDU.( Incoterms 가격조건의 수가 13개에서 11개로 감소되었다. 이는 합의된 운송방식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는 2가지 규칙, 즉, DAT(도착터미널인도, Delivered at Terminal)와 DAP(도착장소인도, Delivered at Place)가 신설되고, Incoterms 2000의 DAFㆍDESㆍDEQㆍDDU가 그 양자에 의하여 대체되어 폐지되었기 때문이다.)
 
 Under both new rules, delivery occurs at a named destination: in DAT, at the buyer’s disposal unloaded from the arriving vehicle (as under the former DEQ rule); in DAP, likewise at the buyer’s disposal, but ready for unloading (as under the former DAF, DES and DDU rules).
신설된 2 규칙에서, 인도는 지정목적지에서 일어나는바, DAT에서는 (종래의 DEQ 규칙과 같이) 도착차량에서 양화된 상태로 매수인의 처분하에 놓인 때, 그리고 DAP에서는 (종래의 DAF, DES, DDU와 같이) 마찬가지로 매수인의 처분하에 놓인 때이지만 양화할 준비가 된 때에 인도가 일어난다.

The new rules make the Incoterms 2000 rules DES and DEQ superfluous. The named terminal in DAT may well be in a port, and DAT can therefore safely be used in cases where the Incoterms 2000 rule DEQ once was. Likewise, the arriving “vehicle” under DAP may well be a ship and the named place of destination may well be a port: consequently, DAP can safely be used in cases where the Incoterms 2000 rule DES once was. These new rules, like their predecessors, are “delivered”, with the seller bearing all the cost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import clearance, where applicable) and risks involved in bringing the goods to the named place of destination.
(위와 같은 2 규칙이 신설됨에 따라 Incoterms 2000의 DES와 DEQ는 불필요하게 되었다. DAT에서 지정터미널은 항구일 수도 있고, 따라서 DAT는 Incoterms 2000의 DEQ가 사용가능하던 경우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DAP에서 도착“차량”(vehicle)은 선박이어도 무방하고, 지정목적지는 항구이어도 무방하므로, DAP는 Incoterms 2000의 DES가 사용가능하던 경우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신설 DAT와 DAP 규칙은 그에 대체된 종전의 DEQㆍDESㆍDAFㆍDDU와 마찬가지로 “도착지인도” 규칙인바, 매도인은 물품을 지정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데 관련되는 모든 비용(해당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수입통관에 관한 비용 제외)과 위험을 부담한다.)

2. Classification of the 11 Incoterms 2010 rules
      ( Incoterms 2010의 11개 가격조건의 분류)

The 11 Incoterms 2010 rules are presented in two distinct classes:
 (Incoterms 2010의 11개 규칙은 2 부류로 대별되어 있다.)

RULES FOR ANY MODE OR MODES OF TRANSPORT
   (어떠한 단일 또는 복수의 운송방식에 사용가능한 규칙)

EXW  EX WORKS(EXW  공장인도)

FCA  FREE CARRIER (운송인인도)

CPT  CARRIAGE PAID TO (운송비지급인도)
CIP   CARRIAGE AND INSURANCE PAID TO
       (운송비ㆍ보험료지급인도)

DAT  DELIVERED AT TERMINAL(도착터미널인도)
DAP  DELIVERED AT PLACE(도착장소인도)
DDP  DELIVERED DUTY PAID(관세지급인도)

RULES FOR SEA AND INLAND WATERWAY TRANSPORT
     (해상운송과 내수로운송에 사용가능한 규칙)

FAS  FREE ALONGSIDE SHIP(선측인도)
FOB  FREE ON BOARD(본선인도)

CFR  COST AND FREIGHT(운임포함인도)
CIF   COST INSURANCE AND FREIGHT(운임ㆍ보험료포함인도)

The first class includes the seven Incoterms® 2010 rules that can be used irrespective of the mode of transport selected and irrespective of whether one or more than one mode of transport is employed. EXW, FCA, CPT, CIP, DAT, DAP and DDP belong to this class. They can be used even when there is no maritime transport at all. It is important to remember, however, that these rules can be used in cases where a ship is used for part of the carriage.

첫째 부류는 선택된 운송방식이 어떤 것인지를 불문하고 또한 그 운송방식이 단일운송인지 복합운송인지를 가리지 않고 사용가능한 Incoterms 2010의 7 가지 규칙을 포함한다. EXW, FCA, CPT, CIP, DAT, DAP, DDP가 여기에 속한다. 이들은 해상운송이 전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중요한 것으로, 이들은 운송의 일부에 선박이 이용되는 경우에도 사용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In the second class of Incoterms 2010 rules, the point of delivery and the place to which the goods are carried to the buyer are both ports, hence the label “sea and inland waterway” rules. FAS, FOB, CFR and CIF belong to this class. Under the last three Incoterms rules, all mention of the ship’s rail as the point of delivery has been omitted in preference for the goods being delivered when they are “on board” the vessel. This more closely reflects modern commercial reality and avoids the rather dated image of the risk swinging to and fro across an imaginary perpendicular line.

(Incoterms 2010의 둘째 부류에서, 물품의 인도장소와 도착장소는 모두는 항구이며, 이에 “해상운송과 내수로운송” 규칙이라고 명명되었다. FAS, FOB, CFR, CIF가 여기에 속한다. 그 중 FOB, CFR, CIF 규칙에서 인도지점으로서의 “본선의 난간”(ship’s rail)이라는 문구가 전부 삭제되고, 대신에 물품은 “본선에 적재”된 때에 인도되는 것으로 되었다. 이는 현대의 상업적 실무를 면밀히 반영하는 것이자, 가상의 수직선 위에서 위험이 전후로 왕래한다는 구시대의 관념을 폐기하는 것이다.)

3. Rules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ade
   ( 국내거래 및 국제거래에 사용가능한 규칙 )

  Incoterms rules have traditionally been used in international sale contracts where goods pass across national borders. In various areas of the world, however, trade blocs, like the European Union, have made border formalities between different countries less significant. Consequently, the subtitle of the Incoterms 2010 rules formally recognizes that they are available for application to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sale contracts. As a result, the Incoterms 2010 rules clearly state in a number of places that the obligation to comply with export/import formalities exists only where applicable.
(Incoterms 규칙은 전통적으로 국제매매계약, 즉, 물품이 국경을 넘어가는 경우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세계 각처에서 유럽연합과 같은 자유무역지대(trade bloc)의 등장으로 국제거래에서 국경의 의미가 퇴색되었다. 그에 따라 Incoterms 2010 규칙은 그 부제(副題)에서 이 규칙이 국제매매계약 및 국내매매계약에 모두 사용가능하다고 공식적으로 인정한다. 따라서 Incoterms 2010 규칙은 여러 곳에서 수출/수입통관을 이행할 의무는 해당되는 경우에 한하여 존재함을 명시한다.)

  Two developments have persuaded ICC that a movement in this direction is timely. Firstly, traders commonly use Incoterms rules for purely domestic sale contracts. The second reason is the greater willingness in the United States to use Incoterms rules in domestic trade rather than the former Uniform Commercial Code shipment and delivery terms.

  (ICC가 이러한 방향선회를 시의적절하다고 본 것은 다음 2가지의 변화 때문이다. 첫째, 거래당사자들은 순수한 국내매매계약에서도 Incoterms 규칙을 통상적으로 사용한다. 둘째 이유는 국내거래에서 종래의 통일상법전(Uniform Commercial Code: UCC)의 선적조건과 인도조건 대신에 Incoterms 규칙을 사용하고자 하는 미국의 강한 의지 때문이다.)

4. Guidance Notes (사용지침)

Before each Incoterms 2010 rule you will find a Guidance Note. The Guidance Notes explain the fundamentals of each Incoterms rule, such as when it should be used, when risk passes, and how costs are allocated between seller and buyer. The Guidance Notes are not part of the actual Incoterms® 2010 rules, but are intended to help the user accurately and efficiently steer towards the appropriate Incoterms rule for a particular transaction.
각 Incoterms 2010 규칙 앞에는 사용지침(Guidance Note)이 있다. 이는 예컨대, 어떠한 경우에 당해 규칙이 사용되어야 하는지, 위험은 언제 이전하는지, 매도인과 매수인 사이에서 비용은 어떻게 분담되는지의 문제와 같은 각 Incoterms 규칙의 근간을 설명한다. 사용지침은 Incoterms 2010의 실질규칙의 일부를 이루지 않으며, 단지 사용자들로 하여금 당해 거래에 적합한 Incoterms 규칙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5. Electronic communication (전자적 통신)

Previous versions of Incoterms rules have specified those documents that could be replaced by EDI messages. Articles A1/B1 of the Incoterms 2010 rules, however, now give electronic means of communication the same effect as paper communication, as long as the parties so agree or where customary. This formulation facilitates the evolution of new electronic procedures throughout the lifetime of the Incoterms 2010 rules.
이전의 Incoterms 규칙에서는 EDI 메시지에 의하여 대체가능한 서류를 명시하였다. 그러나 Incoterms 2010의 각 규칙 A1/B1에서는 이제, 당사자간에 합의되었거나 관행이 있는 범위 내에서, 전자적 형태의 통신이 종이에 의한 통신과 동일한 효력을 부여한다. 이러한 개정은 Incoterms 2010 규칙의 시행기간 중에 새로운 전자적 절차의 개발을 활성화한다. 
 
6. Insurance cover (부보)

The Incoterms 2010 rules are the first version of the Incoterms rules since the revision of the Institute Cargo Clauses and take account of alterations made to those clauses. The Incoterms 2010 rules place information duties relating to insurance in articles A3/B3, which deal with contracts of carriage and insurance. These provisions have been moved from the more generic articles found in articles A10/B10 of the Incoterms 2000 rules. The language in articles A3/B3 relating to insurance has also been altered with a view to clarifying the parties’ obligations in this regard.
Incoterms 2010 규칙은 협회적하약관(Institute Cargo Clauses)이 개정된 이후로 치자면 Incoterms 규칙의 최초버전이므로 그 약관에 따른 변동사항을 반영한다. Incoterms 2010 규칙은 운송계약과 보험계약을 다루는 각 A3/B3에서 보험에 관한 정보제공의무를 부과한다. 이러한 규정은 Incoterms 2000 규칙의 각 A10/B10에 내재하던 일반적 규정에서 여기로 이동한 것이다. 보험에 관하여 A3/B3에 사용된 문구는 이러한 점에 관하여 당사자들의 의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조정되었다.

7.Security‐related clearances and information required for such clearances      ( 보안관련 통관과 그에 필요한 정보)

There is heightened concern nowadays about security in the movement of goods, requiring verification that the goods do not pose a threat to life or property for reasons other than their inherent nature. Therefore, the Incoterms 2010 rules have allocated obligations between the buyer and seller to obtain or to render assistance in obtaining security‐related clearances, such as chain‐of custody information, in articles A2/B2 and A10/B10 of various Incoterms rules.
오늘날 물류상 보안에 관한 우려가 증대하였고, 그에 따라 물품이 그 고유한 성격 외의 이유로 생명이나 재산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확인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Incoterms 2010 규칙에서는 각 Incoterms 규칙의 A2/B2와 A10/B10 규정에서 매도인과 매수인 사이에 보관사슬정보(chain‐of‐custody information)를 입수하는 것과 같이 보안관련 통관을 완료하거나 그 완료에 협조할 의무를 할당하였다.

8. Terminal handling charges (터미널 이용료)

Under Incoterms rules CPT, CIP, CFR, CIF, DAT, DAP, and DDP, the seller must make arrangements for the carriage of the goods to the agreed destination. While the freight is paid by the seller, it is actually paid for by the buyer as freight costs are normally included by the seller in the total selling price. The carriage costs will sometimes include the costs of handling and moving the goods within port or container terminal facilities and the carrier or terminal operator may well charge these costs to the buyer who receives the goods. In these circumstances, the buyer will want to avoid paying for the same service twice: once to the seller as part of the total selling price and once independently to the carrier or the terminal operator. The Incoterms 2010 rules seek to avoid this happening by clearly allocating such costs in articles A6/B6 of the relevant Incoterms rules.
 (Incoterms의 CPTㆍCIPㆍCFRㆍCIFㆍDATㆍDAPㆍDDP 규칙에서 매도인은 약정된 목적지까지 물품을 운송하는 계약을 체결하여야 한다. 그 운임은 매도인이 부담하지만, 그러한 운송비용은 통상 매도인의 총 매매가격에 산입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매수인이 부담하게 된다. 운송비용은 간혹 항구나 컨테이너터미널 내에서 물품을 취급하고 운반하는 데 드는 비용을 포함하며, 운송인과 터미널운영자는 으레 이러한 비용을 물품을 수령하는 매수인에게 청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매수인은 동일한 서비스에 대한 이중지급, 즉, 총 매매가격의 일부로서 매도인에게 한번 지급하고 그와 별도로 운송인이나 터미널운영자에게 또다시 지급하게 되는 것을 피하고자 한다. Incoterms 2010 규칙은 A6/B6의 관련 Incoterms 규칙에서 그러한 비용을 할당함으로써 이중지급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모한다.)

9. String sales ( 연속매매)

In the sale of commodities, as opposed to the sale of manufactured goods, cargo is frequently sold several times during transit “down a string”. When this happens, a seller in the middle of the string does not “ship” the goods because these have already been shipped by the first seller in the string. The seller in the middle of the string therefore performs its obligations towards its buyer not by shipping the goods, but by “procuring” goods that have been shipped. For clarification purposes, Incoterms 2010 rules include the obligation to “procure goods shipped” as an alternative to the obligation to ship goods in the relevant Incoterms rules.
 (제조물매매에 대립되는 일차산품매매(sale of commodity)의 경우에, 흔히 화물은 운송 중에 “연속적으로”(down a string) 수차 전매(轉賣)된다. 이러한 연속매매의 경우에, 그 연속거래의 중간에 있는 매도인은 물품을 “선적”하지 않는다. 물품은 이미 그 연속거래상의 최초의 매도인에 의하여 선적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속거래의 중간에 있는 매도인은 물품을 선적하는 대신에 그렇게 선적된 물품을 “조달”(procure)함으로써 매수인에 대한 의무를 이행한다. 명확하게 할 목적에서, Incoterms 2010 규칙은 관련 Incoterms 규칙에서 물품을 선적할 의무에 대신하는 의무로서 “선적된 물품을 조달”할 의무를 신설한다.)

Variants of Incoterms rules(Incoterms 규칙의 응용)

Sometimes the parties want to alter an Incoterms rule. The Incoterms 2010 rules do not prohibit such alteration, but there are dangers in so doing. In order to avoid any unwelcome surprises, the parties would need to make the intended effect of such alterations extremely clear in their contract. Thus, for example, if the allocation of costs in the Incoterms 2010 rules is altered in the contract, the parties should also clearly state whether they intend to vary the point at which the risk passes from seller to buyer.
간혹 당사자들은 Incoterms 규칙을 변경하고자 한다. Incoterms 2010은 그러한 변경사용을 금지하지 않으나, 그렇게 하는 때에는 위험이 따른다. 원하지 않는 의외의 결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당사자들은 계약 내에서 그러한 변경으로 의도하는 효과를 매우 명확하게 밝힐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예컨대, Incoterms 2010의 비용분담규칙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당사자들은 위험이 매도인에게서 매수인에게로 이전하는 시점도 변경하고자 의도하는지 여부까지도 명확하게 명시하여야 한다.

Status of this introduction( 본 소개의 특성)

This introduction gives general information on the use and interpretation of the Incoterms 2010 rules, but does not form part of those rules.
이 소개는 Incoterms 2010 규칙의 사용과 해석에 관한 일반적 정보를 제공할 뿐이고, 이 규칙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는다.

Explanation of terms used in the Incoterms 2010 rules
  (Incoterms 2010 규칙에 사용된 용어의 설명)

As in the Incoterms 2000 rules, the seller’s and buyer’s obligations are presented in mirror fashion, reflecting under column A the seller’s obligations and under column B the buyer’s obligations. These obligations can be carried out personally by the seller or the buyer or sometimes, subject to terms in the contract or the applicable law, through intermediaries such as carriers, freight forwarders or other persons nominated by the seller or the buyer for a specific purpose.
(Incoterms 2000 규칙과 마찬가지로, 매도인과 매수인의 의무는 대칭적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A 항목은 매도인의 의무를, B 항목은 매수인의 의무를 다룬다. 각각의 의무는 매도인이나 매수인이 손수 이행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당해 계약조건이나 준거법의 제한하에, 운송인이나 운송주선업자 기타 매도인이나 매수인이 특별한 목적으로 지정하는 자와 같은 중간행위자를 통하여 이행할 수 있다.)

The text of the Incoterms 2010 rules is meant to be self‐explanatory. However, in order to assist users the following text sets out guidance as to the sense in which selected terms are used throughout the document.
Incoterms 2010 규칙의 전문(全文)은 자명하도록 작성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상 편의를 위하여, 이 문서에 사용된 일부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안내한다.

Carrier: For the purposes of the Incoterms 2010 rules, the carrier is the party with whom carriage is contracted.
(운송인: Incoterms 2010 규칙에서, 운송인은 운송계약을 체결한 당사자이다.)

Customs formalities: These are requirements to be met in order to comply with any applicable customs regulations and may include documentary, security, information or physical inspection obligations.
(통관: 이는 관련 세관규정을 준수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사항이며, 서류나 보안, 정보, 물리적 검사에 관한 의무를 포함한다.)

Delivery: This concept has multiple meanings in trade law and practice, but in the Incoterms 2010 rules, it is used to indicate where the risk of loss of or damage to the goods passes from the seller to the buyer.
(인도: 이 개념은 거래법과 실무에서 여러 의미를 갖지만, Incoterms 2010 규칙에서, 이 용어는 물품의 멸실 또는 손상의 위험이 어디에서 매도인에게서 매수인에게로 이전하지를 표시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있다.)

Delivery document: This phrase is now used as the heading to article A8. It means a document used to prove that delivery has occurred. For many of the Incoterms 2010 rules, the delivery document is a transport document or corresponding electronic record. However, with EXW, FCA, FAS and FOB, the delivery document may simply be a receipt. A delivery document may also have other functions, for example as part of the mechanism for payment.
(인도서류: 이 표현은 이제 A8항의 제목으로 사용되어 있다. 이는 인도가 이루어진 사실을 증명하는 용도의 서류를 의미한다. 다수의 Incoterms 2010 규칙에서, 인도서류는 운송서류나 그에 상당하는 전자기록이다. 그러나 EXW, FCA, FAS, FOB의 경우에, 인도서류는 단순한 영수증일 수도 있다. 인도서류는 또한 예컨대 지급매커니즘의 일부로서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Electronic record or procedure: A set of information constituted of one or more electronic messages and, where applicable, being functionally equivalent with the corresponding paper document.
(전자적 기록 또는 절차: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자메시지로 이루어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종이서류에 상당하는 기능을 하는 일체의 정보.)

Packaging: This word is used for different purposes :
    (포장: 이 용어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1. The packaging of the goods to comply with any requirements under the contract of sale.
   (매매계약의 일정한 조건을 준수하기 위하여 물품을 포장하는 것)
2. The packaging of the goods so that they are fit for transportation.
  (물품이 운송에 적합하도록 포장하는 것)
3. The stowage of the packaged goods within a container or other means of transport.(포장된 물품을 컨테이너 기타 운송수단에 적입하는 것.)

In the Incoterms 2010 rules, packaging means both the first and second of the above. The Incoterms 2010 rules do not deal with the parties’ obligations for stowage within a container and therefore, where relevant, the parties should deal with this in the sale contract.
Incoterms 2010 규칙에서, 포장은 위의 첫째와 둘째를 의미한다. Incoterms 2010 규칙은 컨테이너에 적입할 당사자의 의무를 다루지 않으며,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 이러한 의무는 당사자들이 매매계약에서 다루어야 한다.


Rules for any mode or modes of transport

어떠한 단일 또는 복수의 운송방식에 사용가능한 규칙

EXW
EX WORKS 
EXW (insert named place of delivery) Incoterms® 2010
공장인도
EXW (여기에 지정인도장소를 기입함) Incoterms® 2010


GUIDANCE NOTE (사용지침)
 
This rule may be used irrespective of the mode of transport selected and may also be used where more than one mode of transport is employed. It is suitable for domestic trade, while FCA is usually more appropriate for international trade.

이 규칙은 선택된 운송방식을 가리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운송방식이 채택된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규칙은 국내거래에 적합하고, 국제거래에서는 통상 FCA가 보다 적절하다.
 
“Ex Works” means that the seller delivers when it places the goods at the disposal of the buyer at the seller’s premises or at another named place (i.e., works, factory, warehouse, etc.). The seller does not need to load the goods on any collecting vehicle, nor does it need to clear the goods for export, where such clearance is applicable.
(“공장인도”는 매도인이 그의 영업소 또는 기타 지정장소(예컨대, 작업장, 공장, 창고 등)에서 물품을 매수인의 처분하에 두는 때에 매도인이 인도한 것으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매도인은 물품을 수취용 차량에 적재하지 않아도 되고, 물품의 수출통관이 요구되더라도 이를 하지 않아도 된다.)
 
The parties are well advised to specify as clearly as possible the point within the named place of delivery, as the costs and risks to that point are for the account of the seller.  The buyer bears all costs and risks involved in taking the goods from the agreed point, if any, at the named place of delivery.
당사자들은 지정장소 내의 지점을 가급적 명백하게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지점까지 비용과 위험을 매도인이 부담하기 때문이다. 매수인은 지정인도장소에 합의된 지점이 있는 때에는 그 지점부터 물품의 수령에 수반되는 모든 비용과 위험을 부담한다.
 
EXW represents the minimum obligation for the seller. The rule should be used with care as :
(EXW는 매도인의 최소의무를 표방한다. 이 규칙은 다음과 같이 주의하여 시용하여야 한다.)
 
a)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the buyer to load the goods, even though in practice the seller may be in a better position to do so.  If the seller does load the goods, it does so at the buyer’s risk and expense. In cases where the seller is in a better position to load the goods, FCA, which obliges the seller to do so at its own risk and expense, is usually more appropriate.

 매도인은 매수인에 대하여 물품적재의무가 없으며, 이는 실제로 물품을 적재하는 데 매도인이 보다 나은 입장에 있더라도 마찬가지다. 매도인이 물품을 적재하는 경우에 매도인으로서는 매수인의 위험과 비용으로 그렇게 한다. 물품을 적재하기에 매도인이 보다 나은 입장에 있는 경우에, 매도인이 자신의 위험과 비용으로 물품적재의무를 부담하는 FCA가 통상적으로 보다 적절하다.

b) A buyer who buys from a seller on an EXW basis for export needs to be aware that the seller has an obligation to provide only such assistance as the buyer may require to effect that export: the seller is not bound to organize the export clearance.  Buyers are therefore well advised not to use EXW if they cannot directly or indirectly obtain export clearance.

 수출을 목적으로 매도인으로부터 EXW조건으로 구매하는 매수인은 매도인으로서는 수출을 실행하는 매수인의 요청에 따라 단지 협조를 제공할 의무를 부담할 뿐이고 수출통관을 주도할 의무가 없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매수인이 직접 또는 간접으로 수출통관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EXW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c) The buyer has limited obligations to provide to the seller any information regarding the export of the goods. However, the seller may need this information for, e.g., taxation or reporting purposes.

 매수인은 물품의 수출에 관한 정보를 매도인에게 제공할 한정적 의무를 부담한다. 그러나 매도인은 예컨대 조세 또는 보고의 목적으로 그러한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A THE SELLER’S OBLIGATIONS ( 매도인의 의무)
 
A1 General obligations of the seller (매도인의 일반의무)
The seller must provide the goods and the commercial invoice in conformity with the contract of sale and any other evidence of conformity that may be required by the contract. Any document referred to in A1-A10 may be an equivalent electronic record or procedure if agreed between the parties or customary.
(매도인은 매매계약에 일치하는 물품 및 상업송장과 그밖에 일치성에 관하여 계약에서 요구되는 증빙을 제공하여야 한다. 당사자간에 합의되었거나 관행이 있는 경우에, A1-A10에 규정된 서류는 상응하는 전자적 기록이나 절차로 할 수 있다.)
 
A2 Licences, authorizations, security clearances and other formalities
  (허가, 인가, 보안통관 기타 절차)
Where applicable, the seller must provide the buyer, at the buyer’s request, risk and expense, assistance in obtaining any export licence, or other official authorization necessary for the export of the goods.
Where applicable, the seller must provide, at the buyer’s request, risk and expense, any information in the possession of the seller that is required for the security clearance of the goods.
(해당되는 경우에, 매도인은, 매수인의 요청에 따라 매수인의 위험과 비용으로, 매수인이 물품의 수출에 필요한 수출허가 기타 공적 인가를 획득하는 데 협조하여야 한다. 해당되는 경우에, 매도인은, 매수인의 요청에 따라 매수인의 위험과 비용으로, 자신이 보유하고 있고 물품의 보안통관에 요구되는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A3 Contracts of carriage and insurance (운송계약과 보험계약)

a) Contract of carriage (운송계약)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the buyer to make a contract of carriage.
  (매도인은 매수인에 대하여 운송계약을 체결할 의무가 없다.)

b) Contract of insurance (보험계약)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the buyer to make a contract of insurance. However, the seller must provide the buyer, at the buyer’s request, risk and expense (if any), with information that the buyer needs for obtaining insurance.
 매도인은 매수인에 대하여 보험계약을 체결할 의무가 없다. 그러나 매도인은 매수인의 요청에 따라 매수인의 위험과 비용(있는 경우)으로 매수인이 부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A4  Delivery (인도)
The seller must deliver the goods by placing them at the disposal of the buyer at the agreed point, if any, at the named place of delivery, not loaded on any collecting vehicle. If no specific point has been agreed within the named place of delivery, and if there are several points available, the seller may select the point that best suits its purpose. The seller must deliver the goods on the agreed date or within the agreed period.
매도인은 지정인도장소에서, 특히 그 장소에 합의된 지점이 있는 경우에는 그 지점에서, 물품을 수취용 차량에 적재하지 않은 채로 매수인의 처분하에 둠으로써 인도하여야 한다. 지정인도장소 내에 합의된 특정한 지점이 없는 경우에, 그리고 이용가능한 복수의 지점이 있는 경우에, 매도인은 그의 목적에 가장 적합한 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매도인은 합의된 기일이나 합의된 기간 내에 물품을 인도하여야 한다.
 
A5  Transfer of risks( 위험이전)
The seller bears all risks of loss of or damage to the goods until they have been delivered in accordance with A4 with the exception of loss or damage in the circumstances described in B5.
  매도인은 물품이 A4에 따라 인도되는 때까지 물품의 멸실 또는 손상의 모든 위험을 부담하되, B5에 규정된 상황에서 발생하는 멸실 또는 손상은 예외로 한다.
 
A6  Allocation of costs ( 비용분담)
The seller must pay all costs relating to the goods until they have been delivered in accordance with A4, other than those payable by the buyer as envisaged in B6
  매도인은 물품이 A4에 따라 인도되는 때까지 물품에 관련되는 모든 비용을 부담하여야 한다. 그러나 B6의 규정에 따라 매수인이 부담하는 비용은 제외한다.
 
A7  Notices to the buyer (매수인에 대한 통지)
The seller must give the buyer any notice needed to enable the buyer to take delivery of the goods.(매도인은 매수인이 물품의 인도를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통지를 하여야 한다.)
 
A8  Delivery document (인도서류)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the buyer.(매도인은 매수인에 대하여 의무가 없다)
 
A9  Checking – packaging – marking (검사 - 포장 - 화인)
The seller must pay the costs of those checking operations (such as checking quality, measuring, weighing, counting) that are necessary for the purpose of delivering the goods in accordance with A4.
The seller must, at its own expense, package the goods, unless it is usual for the particular trade to transport the type of goods sold unpackaged. The seller may package the goods in the manner appropriate for their transport, unless the buyer has notified the seller of specific packaging requirements before the contract of sale is concluded. Packaging is to be marked appropriately.
  매도인은 A4에 따라 물품을 인도하기 위한 목적에서 필요한 검사(예컨대, 품질, 용적, 중량, 수량의 검사)에 드는 비용을 부담하여야 한다. 매도인은 자신의 비용으로 물품을 포장하여야 하되, 다만 특정한 거래에서 물품이 통상적으로 포장되지 않은 형태로 매매되어 운송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매도인은 당해 운송에 적절한 방법으로 물품을 포장할 수 있되, 다만 매수인이 매매계약의 체결 전에 포장에 관한 특정한 요건을 통지한 경우에는 그에 따라야 한다. 포장에는 적절히 화인이 표시되어야 한다.
 
A10 Assistance with information and related costs (정보에 관한 협조 및 관련비용)
The seller must, where applicable, in a timely manner, provide to or render assistance in obtaining for the buyer, at the buyer’s request, risk and expense, any documents and information, including security-related information, that the buyer needs for the export and/or import of the goods and/or for their transport to the final destination. (매도인은 해당되는 경우에, 시기적절한 방법으로, 매수인의 요청에 따라 매수인의 위험과 비용으로, 매수인이 물품의 수출 및/또는 수입 및/또는 최종목적지로의 운송에 필요로 하는 서류와 정보(보안관련 정보 포함)를 제공하거나, 매수인이 그러한 서류와 정보를 획득하는 데 협조하여야 한다.)
 


B THE BUYER’S OBLIGATIONS( 매수인의 의무)
 
B1 General obligations of the buyer( 매수인의 일반의무)
The buyer must pay the price of the goods as provided in the contract of sale.
Any document referred to in B1‐B10 may be an equivalent electronic record or procedure if agreed between the parties or customary.
매수인은 매매계약에서 약정된 바에 따라 물품의 대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당사자간에 합의되었거나 관행이 있는 경우에, B1-B10에 규정된 서류는 상응하는 전자적 기록이나 절차로 할 수 있다.

B2  Licences, authorizations, security clearances and other formalities
    (허가, 인가, 보안통관 기타 절차)
 Where applicable, it is up to the buyer to obtain, at its own risk and expense, any export and import licence or other official authorization and carry out all customs formalities for the export of the goods.
  해당되는 경우에, 자신의 위험과 비용으로 수출ㆍ수입허가 기타 공적 인가를 획득하고 물품의 수출통관절차를 수행하는 것은 매수인 자신의 몫이다.

B3 Contracts of carriage and insurance (운송계약과 보험계약)
a) Contract of carriage (운송계약)
The buyer has no obligation to the seller to make a contract of carriage.
 (매수인은 매수인에 대하여 운송계약을 체결할 의무가 없다.)
b) Contract of insurance (보험계약)
The buyer has no obligation to the seller to make a contract of insurance.
(매수인은 매수인에 대하여 보험계약을 체결할 의무가 없다 )
 
B4 Taking Delivery (인도의 수령)
The buyer must take delivery of the goods when A4 and A7 have been complied with.(매수인은 A4와 A7이 준수되는 때에 물품의 인도를 수령하여야 한다.)
 
B5 Transfer of risks (위험이전)
The buyer bears all risks of loss of or damage to the goods from the time they have been delivered as envisaged in A4.(매수인은 물품이 A4의 규정에 따라 인도된 때부터 물품의 멸실 또는 손상의 모든 위험을 부담한다.)
If the buyer fails to give notice in accordance with B7, then the buyer bears all risks of loss of or damage to the goods from the agreed date or the expiry date of the agreed period for delivery, provided that the goods have been clearly identified as the contract goods.
 매수인이 B7에 따른 통지를 하지 않는 경우에, 매수인은 합의된 인도기일이나 합의된 인도기간의 만료일부터 물품의 멸실 또는 손상의 모든 위험을 부담하되, 다만 이를 위하여 물품은 계약물품으로 명확히 특정되어 있어야 한다.
 
B6  Allocation of costs (비용분담)
The buyer must:
a) Pay all costs relating to the goods from the time they have been delivered as envisaged in A4.
b) Pay any additional costs incurred by failing either to take delivery of the goods when they have been placed at its disposal or to give appropriate notice in accordance with B7, provided that the goods have been clearly identified as the contract goods;
c) Pay, where applicable, all duties, taxes and other charges, as well as the costs of carrying out customs formalities payable upon export; and
d) Reimburse all costs and charges incurred by the seller in providing assistance as envisaged in A2

매수인은 다음 a)-c)의 비용을 부담하고 d)의 비용을 매도인에게 상환하여야 한다.
a) 물품이 A4의 규정에 따라 인도되는 때로부터 물품에 관련되는 모든 비용.
b) 물품이 그의 처분하에 놓인 때에 물품을 수령하지 않거나 B7에 따른 적절한 통지를 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추가비용. 다만 이를 위하여 물품은 계약물품으로 명확히 특정되어 있어야 한다.
c) 해당되는 경우에, 물품의 수출에 부과되는 모든 관세, 세금 기타 공과금 및 수출통관비용.
d) A2의 규정에 따른 협조를 제공하는 데 매도인에게 발생한 모든 비용과 부대비용.

B7  Notices to the seller ( 매도인에 대한 통지)
The buyer must, whenever it is entitled to determine the time within an agreed period and/or the point of taking delivery within the named place, give the seller sufficient notice thereof.(매수인은 합의된 인도기간 내의 인도시기 및/또는 지정인도장소 내의 수령지점을 결정할 권리를 가진 때에는 매도인에게 그에 관한 충분한 통지를 하여야 한다.)
 

B8  Proof of delivery (인도의 증빙)
The buyer must provide the seller with appropriate evidence of having taken delivery.(매수인은 매도인에게 인도의 수령에 관한 적절한 증빙을 제공하여야 한다)
 
B9  Inspection of goods (물품검사)
The Buyer must pay the costs of any mandatory pre-shipment inspection, including inspection mandated by the authorities of the country of export.
매수인은 수출국에 의하여 강제되는 것을 포함하여 강제적인 선적전검사에 드는 비용을 부담하여야 한다.
 
B10 Assistance with information and related costs ( 정보에 관한 협조 및 관련비용)
The buyer must, in a timely manner, advise the seller of any security information requirements so that the seller may comply with A10
The buyer must reimburse the seller for all costs and charges incurred by the seller in providing or rendering assistance in obtaining documents and information as envisaged in A10 (매수인은 매도인이 A10의 규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시기적절한 방법으로, 매도인에게 보안정보에 관한 필요사항을 통지하여야 한다. 매수인은 매도인에게 매도인이 A10의 규정에 따라 서류와 정보를 제공하거나 그러한 서류와 정보의 획득에 협조하는 데 발생한 모든 비용과 부대비용을 상환하여야 한다.)


FCA
Free Carrier
FCA (insert named place of delivery) Incoterms® 2010
운송인인도
FCA (여기에 지정인도장소를 기입함) Incoterms® 2010
 


GUIDANCE NOTE (사용지침)

This rule may be used irrespective of the mode of transport selected and may also be used where more than one mode of transport is employed.
이 규칙은 선택된 운송방식을 가리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운송방식이 채택된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Free Carrier” means that the seller delivers the goods to the carrier or another person nominated by the buyer at the seller’s premises or another named place. The parties are well advised to specify as clearly as possible the point within the named place of delivery, as the risk passes to the buyer at that point.
“운송인인도”는 매도인이 물품을 그의 영업소 또는 기타 지정장소에서 매수인이 지정한 운송인이나 제3자에게 인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당사자들은 지정인도장소 내의 지점을 가급적 명백하게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지점에서 위험이 매수인에게 이전하기 때문이다.
 
If the parties intend to deliver the goods at the seller’s premises, they should identify the address of those premises as the named place of delivery. If, on the other hand, the parties intend the goods to be delivered at another place, they must identify a different specific place of delivery.
매도인의 영업구내에서 물품을 인도하고자 하는 경우에, 당사자들은 영업장의 주소를 지정인도장소로 명시하여야 한다. 그러나 다른 어떤 장소에서 물품을 인도하고자 하는 경우에 당사자들은 그러한 다른 인도장소를 명시하여야 한다.
 
FCA requires the seller to clear the goods for export, where applicable. However,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clear the goods for import, pay any import duty or carry out any import customs formalities.
FCA에서 해당되는 경우에 물품의 수출통관은 매도인이 하여야 한다. 그러나 매도인은 물품의 수입통관하거나, 수입관세를 지급하거나 수입통관절차를 수행할 의무가 없다.






CPT
CARRIAGE PAID TO
CPT (insert named place of destination) Incoterms® 2010
운송비지급인도
CPT (여기에 지정목적지를 기입함) Incoterms® 2010
 


GUIDANCE NOTE (사용지침)

This rule may be used irrespective of the mode of transport selected and may also be used where more than one mode of transport is employed.( 이 규칙은 선택된 운송방식을 가리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운송방식이 채택된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Carriage Paid To” means that the seller delivers the goods to the carrier or another person nominated by the seller at an agreed place (if any such place is agreed between the parties) and that the seller must contract for and pay the costs of carriage necessary to bring the goods to the named place of destination.  “운송비지급인도”는 매도인이 합의된 장소(당사자간에 이러한 장소의 합의가 있는 경우)에서 물품을 자신이 지정한 운송인이나 제3자에게 인도하고 매도인이 물품을 지정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데 필요한 계약을 체결하고 그 운송비용을 부담하여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When CPT, CIP, CFR or CIF are used, the seller fulfils its obligation to deliver when it hands the goods over to the carrier and not when the goods reach the place of destination.(CPT, CIP, CFR 또는 CIF가 사용되는 경우에, 매도인은 물품이 목적지에 도착한 때가 아니라 운송인에게 물품을 인계하는 때에 그의 인도의무를 이행한 것으로 된다.)
 
This rule has two critical points, because risk passes and costs are transferred at different places. The parties are well advised to identify as precisely as possible in the contract both the place of delivery, where the risk passes to the buyer, and the named place of destination to which the seller must contract for the carriage. If several carriers are used for the carriage to the agreed destination and the parties do not agree on a specific point of delivery, the default position is that risk passes when the goods have been delivered to the first carrier at a point entirely of the seller’s choosing and over which the buyer has no control. Should the parties wish the risk to pass at a later stage (e.g., at an ocean port or airport), they need to specify this in their contract of sale.
 이 규칙은 두 가지의 분기점을 갖는다. 왜냐하면 위험과 비용이 상이한 장소에서 이전되기 때문이다. 당사자들은 위험이 매수인에게 이전되는 장소인 인도장소 및 매도인이 체결하는 운송계약의 목적지인 지정목적지를 계약 내에서 가급적 정확하게 지정하는 것이 좋다. 합의된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데 여러 운송인이 사용되고 당사자들이 특정한 인도지점에 관하여 합의하지 않은 경우에, 위험은 전적으로 매도인에 의하여 선택되어 매수인으로서는 아무런 통제도 할 수 없는 지점에서 물품이 최초운송인에게 인도되는 때에 이전되는 것이 기본규칙이다. 그 후의 어느 단계(예컨대, 항구 또는 공항)에서 위험이 이전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당사자들은 이를 매매계약에 명시하여야 한다.

The parties are also well advised to identify as precisely as possible the point within the agreed place of destination, as the costs to that point are for the account of the seller.  The seller is advised to procure contracts of carriage that match this choice precisely. If the seller incurs costs under its contract of carriage related to unloading at the named place of destination, the seller is not entitled to recover such costs from the buyer unless otherwise agreed between the parties. 
또한 당사자들은 합의된 목적지 내의 지점을 가급적 정확하게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지점까지의 비용은 매도인이 부담하기 때문이다. 매도인은 이러한 선택을 정확하게 만족하는 내용으로 운송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좋다. 매도인이 그의 운송계약에 따라 지정목적지에서 양화와 관련한 비용을 지출한 경우에, 당사자간에 달리 합의되지 않았다면 매도인은 그러한 비용을 매수인에게 구상할 수 없다. 
 
CPT requires the seller to clear the goods for export, where applicable. However,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clear the goods for import, pay any import duty or carry out any import customs formalities. CPT에서 매도인은 해당되는 경우에 물품의 수출통관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매도인은 물품을 수입통관하거나 수입관세를 부담하거나 수입통관절차를 수행할 의무가 없다.
 
CIP
CARRIAGE AND INSURANCE PAID TO
CIP (insert named place of destination) Incoterms® 2010
운송비ㆍ보험료지급인도
CIP (여기에 지정목적지를 기입함) Incoterms® 2010
 


GUIDANCE NOTE(사용지침)

This rule may be used irrespective of the mode of transport selected and may also be used where more than one mode of transport is employed.(이 규칙은 선택된 운송방식을 가리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운송방식이 채택된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Carriage and Insurance Paid to” means that the seller delivers the goods to the carrier or another person nominated by the seller at an agreed place (if any such place is agreed between the parties) and that the seller must contract for and pay the costs of carriage necessary to bring the goods to the named place of destination.( “운송비ㆍ보험료지급인도”는 매도인이 합의된 장소(당사자간에 이러한 장소의 합의가 있는 경우)에서 물품을 자신이 지정한 운송인이나 제3자에게 인도하고 매도인이 물품을 지정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데 필요한 계약을 체결하고 그 운송비용을 부담하여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seller also contracts for insurance cover against the buyer’s risk of loss of or damage to the goods during the carriage. The buyer should note that under CIP the seller is required to obtain insurance only on minimum cover. Should the buyer wish to have more insurance protection, it will need either to agree as much expressly with the seller or to make its own extra insurance arrangements.(매도인은 또한 운송중 매수인의 물품의 멸실 또는 손상의 위험에 대비하여 보험계약을 체결한다. 매수인이 유의할 것으로, CIP에서 매도인은 단지 최소조건으로 부보하도록 요구될 뿐이다. 보다 넓은 보험의 보호를 원한다면 매수인은 매도인과 명시적으로 그렇게 합의하든지 아니면 스스로 자신의 추가보험을 들어야 한다)

When CPT, CIP, CFR or CIF are used, the seller fulfils its obligation to deliver when it hands the goods over to the carrier and not when the goods reach the place of destination.( CPT, CIP, CFR 또는 CIF가 사용되는 경우에, 매도인은 물품이 목적지에 도착한 때가 아니라 운송인에게 물품을 인계하는 때에 그의 인도의무를 이행한 것으로 된다)
 
This rule has two critical points, because risk passes and costs are transferred at different places. The parties are well advised to identify as precisely as possible in the contract both the place of delivery, where the risk passes to the buyer, and the named place of destination to which the seller must contract for the carriage. If several carriers are used for the carriage to the agreed destination and the parties do not agree on a specific point of delivery, the default position is that risk passes when the goods have been delivered to the first carrier at a point entirely of the seller’s choosing and over which the buyer has no control. Should the parties wish the risk to pass at a later stage (e.g., at an ocean port or airport), they need to specify this in their contract of sale.
이 규칙은 두 가지의 분기점을 갖는다. 왜냐하면 위험과 비용이 상이한 장소에서 이전되기 때문이다. 당사자들은 위험이 매수인에게 이전되는 장소인 인도장소 및 매도인이 체결하는 운송계약의 목적지인 지정목적지를 계약 내에서 가급적 정확하게 지정하는 것이 좋다. 합의된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데 여러 운송인이 사용되고 당사자들이 특정한 인도지점에 관하여 합의하지 않은 경우에, 위험은 전적으로 매도인에 의하여 선택되어 매수인으로서는 아무런 통제도 할 수 없는 지점에서 물품이 최초운송인에게 인도되는 때에 이전되는 것이 기본규칙이다. 그 후의 어느 단계(예컨대, 항구 또는 공항)에서 위험이 이전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당사자들은 이를 매매계약에 명시하여야 한다.
 
The parties are also well advised to identify as precisely as possible the point within the agreed place of destination, as the costs to that point are for the account of the seller.  The seller is advised to procure contracts of carriage that match this choice precisely. If the seller incurs costs under its contract of carriage related to unloading at the named place of destination, the seller is not entitled to recover such costs from the buyer unless otherwise agreed between the parties.
또한 당사자들은 합의된 목적지 내의 지점을 가급적 정확하게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지점까지의 비용은 매도인이 부담하기 때문이다. 매도인은 이러한 선택을 정확하게 만족하는 내용으로 운송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좋다. 매도인이 그의 운송계약에 따라 지정목적지에서 양화와 관련한 비용을 지출한 경우에, 당사자간에 달리 합의되지 않았다면 매도인은 그러한 비용을 매수인에게 구상할 수 없다.
 
CIP requires the seller to clear the goods for export, where applicable. However,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clear the goods for import, pay any import duty or carry out any import customs formalities.(CPT에서 매도인은 해당되는 경우에 물품의 수출통관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매도인은 물품을 수입통관하거나 수입관세를 부담하거나 수입통관절차를 수행할 의무가 없다.)

 
DAT
DELIVERED AT TERMINAL
DAT (Insert named terminal at port or place of destination) Incoterms® 2010 (도착터미널인도 DAT (여기에 도착항 또는 목적지의 지정터미널을 기입함) Incoterms® 2010)


GUIDANCE NOTE(사용지침)

This rule may be used irrespective of the mode of transport selected and may also be used where more than one mode of transport is employed.
이 규칙은 선택된 운송방식을 가리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2가지 이상의 운송방식이 채택된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Delivered at Terminal” means that the seller delivers when the goods, once unloaded from the arriving means of transport, are placed at the disposal of the buyer at a named terminal at the named port or place of destination. “Terminal” includes any place, whether covered or not, such as a quay, warehouse, container yard or road, rail or air cargo terminal. The seller bears all risks involved in bringing the goods to and unloading them at the terminal at the named port or place of destination. (“도착터미널인도”란 물품이 도착운송수단으로부터 양화된 상태로 지정목적항이나 지정목적지의 지정터미널에서 매수인의 처분하에 놓이는 때에 매도인이 인도한 것으로 되는 것을 말한다. “터미널”은 부두, 창고, 컨테이너장치장(CY) 또는 도로ㆍ철도ㆍ항공화물의 터미널과 같은 장소를 포함하며, 지붕의 유무를 불문한다. 매도인은 지정목적항이나 지정목적지까지 물품을 운송하고 거기서 양화하는 데 수반하는 모든 위험을 부담한다.)
 
The parties are well advised to specify as clearly as possible the terminal and, if possible, a specific point within the terminal at the agreed port or place of destination, as the risks to that point are for the account of the seller. The seller is advised to procure a contract of carriage that matches this choice precisely.(당사자들은 터미널 및, 가능하다면, 합의된 목적항이나 목적지의 터미널 내의 지점을 가급적 명확하게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지점까지의 위험은 매도인이 부담하기 때문이다. 매도인은 이러한 선택을 정확하게 만족하는 내용으로 운송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좋다. )
 
Moreover, if the parties intend the seller to bear the risks and costs involved in transporting and handling the goods from the terminal to another place, then the DAP or DDP rules should be used. (더구나, 당사자들이 터미널에서 다른 장소까지 물품을 운송하고 취급하는 데 수반하는 위험과 비용을 매도인이 부담하도록 의도하는 때에는, DAP 또는 DDP가 사용되어야 한다)
 
DAT requires the seller to clear the goods for export, where applicable. However,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clear the goods for import, pay any import duty or carry out any import customs formalities.(DAT에서 매도인은 해당되는 경우에 물품의 수출통관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매도인은 물품을 수입통관하거나 수입관세를 부담하거나 수입통관절차를 수행할 의무가 없다. )

 DAP
DELIVERED AT PLACE
DAP (Insert named place of destination) Incoterms® 2010
도착장소인도  :  DAP (여기에 지정목적지를 기입함) Incoterms® 2010
 


GUIDANCE NOTE (사용지침)

This rule may be used irrespective of the mode of transport selected and may also be used where more than one mode of transport is employed.(이 규칙은 선택된 운송방식을 가리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운송방식이 채택된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Delivered at Place” means that the seller delivers when the goods are placed at the disposal of the buyer on the arriving means of transport ready for unloading at the named place of destination. The seller bears all risks involved in bringing the goods to the named place.(“도착장소인도”란 물품이 지정목적지에서 도착운송수단에 실린 채 양화준비된 상태로 매수인의 처분하에 놓이는 때에 매도인이 인도한 것으로 되는 것을 말한다. 매도인은 그러한 지정장소까지 물품을 운송하는 데 수반하는 모든 위험을 부담한다.)
 
The parties are well advised to specify as clearly as possible the point within the agreed place of destination, as the risks to that point are for the account of the seller. The seller is advised to procure contracts of carriage that match this choice precisely.  If the seller incurs costs under its contract of carriage related to unloading at the place of destination, the seller is not entitled to recover such costs from the buyer unless otherwise agreed between the parties.(당사자들은 합의된 목적지 내의 지점을 가급적 명확하게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지점까지의 위험은 매도인이 부담하기 때문이다. 매도인은 이러한 선택을 정확하게 만족하는 내용으로 운송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좋다. 매도인이 그의 운송계약에 따라 목적지에서 양화에 관한 비용을 지출한 경우에, 당사자간에 달리 합의되지 않았다면 매도인은 이를 매수인에게 구상할 수 없다.) 
 
DAP requires the seller to clear the goods for export, where applicable. However,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clear the goods for import, pay any import duty or carry out any import customs formalities. If the parties wish the seller to clear the goods for import, pay any import duty and carry out any import customs formalities, the DDP term should be used. (DAP에서 매도인은 해당되는 경우에 물품의 수출통관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매도인은 물품을 수입통관하거나 수입관세를 부담하거나 수입통관절차를 수행할 의무가 없다. 당사자간에 매도인이 물품을 수입통관하고 수입관세를 부담하며 수입통관절차를 수행하도록 원하는 때에는, DDP가 사용되어야 한다.)

DDP
DELIVERED DUTY PAID
DDP (Insert named place of destination) Incoterms® 2010
관세지급인도 [DDP (여기에 지적목적지를 기입함) Incoterms® 2010]


GUIDANCE NOTE (사용지침)

This rule may be used irrespective of the mode of transport selected and may also be used where more than one mode of transport is employed.
이 규칙은 선택된 운송방식을 가리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운송방식이 채택된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Delivered Duty Paid” means that the seller delivers the goods when the goods are placed at the disposal of the buyer, cleared for import on the arriving means of transport ready for unloading at the named place of destination. The seller bears all the costs and risks involved in bringing the goods to the place of destination and has an obligation to clear the goods not only for export but also for import, to pay any duty for both export and import and to carry out all customs formalities.
“관세지급인도”는 수출통관된 물품이 지정목적지에서 도착운송수단에 실린 채 양화준비된 상태로 매수인의 처분하에 놓이는 때에 매도인이 인도한 것으로 되는 것을 말한다. 매도인은 그러한 목적지까지 물품을 운송하는 데 수반하는 모든 위험을 부담하고, 또한 물품의 수출통관 및 수입통관을 모두 하여야 하고, 수출관세 및 수입관세를 모두 부담하여야 하며, 모든 통관절차를 수행하여야 하는 의무를 부담한다.
 
DDP represents the maximum obligation for the seller.
  (DDP는 매도인의 최소의무를 표방한다.)
 
The parties are well advised to specify as clearly as possible the point within the agreed place of destination, as the risks to that point are for the account of the seller. The seller is advised to procure contracts of carriage that match this choice precisely. If the seller incurs costs under its contract of carriage related to unloading at the place of destination, the seller is not entitled to recover such costs from the buyer unless otherwise agreed between the parties.
당사자들은 합의된 목적지 내의 지점을 가급적 명확하게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지점까지의 위험은 매도인이 부담하기 때문이다. 매도인은 이러한 선택을 정확하게 만족하는 내용으로 운송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좋다. 매도인이 그의 운송계약에 따라 목적지에서 양화에 관한 비용을 지출한 경우에, 당사자간에 달리 합의되지 않았다면 매도인은 이를 매수인에게 구상할 수 없다. 

The parties are well advised not to use DDP if the seller is unable directly or indirectly to obtain import clearance.(매도인이 직접 또는 간접으로 수입통관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DDP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If the parties wish the buyer to bear all risks and costs of import clearance, the DAP rule should be used.(만약 당사자들이 수입통관에 관한 모든 비용과 위험을 매수인이 부담하기를 원하는 때에는 DAP 규칙이 사용되어야 한다.)

Any VAT or other taxes payable upon import are for the seller’s account unless expressly agreed otherwise in the sales contract.(수입시에 부과되는 부가가치세 기타 세금은 매도인이 부담하되, 다만 매매계약에서 명시적으로 달리 합의된 때에는 그에 따른다. )

 RULES FOR SEA AND INLAND WATERWAY TRANSPORT (해상운송과 내수로운송에 사용가능한 규칙)

FAS
FREE ALONGSIDE SHIP
선측인도
FAS (insert named port of shipment) Incoterms® 2010
FAS (여기에 지정선적항을 기입함) Incoterms® 2010


GUIDANCE NOTE(사용지침)

This rule is to be used only for sea or inland waterway transport.
이 규칙은 오직 해상운송이나 내수로운송의 경우에만 이용되어야 한다.

“Free Alongside Ship” means that the seller delivers when the goods are placed alongside the vessel (e.g., on a quay or a barge) nominated by the buyer at the named port of shipment. The risk of loss of or damage to the goods passes when the goods are alongside the ship, and the buyer bears all costs from that moment onwards.(“선측인도”는 물품이 지정선적항에서 매수인에 의하여 지정된 본선의 선측(예컨대, 부두 혹은 바지선)에 놓이는 때에 매도인이 인도한 것으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물품의 멸실 또는 손상의 위험은 물품이 선측에 놓인 때에 이전하며 매수인은 그러한 시점 이후의 모든 비용을 부담한다.)

The parties are well advised to specify as clearly as possible the loading point at the named port of shipment, as the costs and risks to that point are for the account of the seller and these costs and associated handling charges may vary according to the practice of the port.(당사자들은 지정선적항 내의 적재지점을 가급적 명확하게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지점까지 비용과 위험을 매도인이 부담하고 또한 그러한 비용 및 관련 화물취급비용이 그 항구의 관행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이다.)

The seller is required either to deliver the goods alongside the ship or to procure goods already so delivered for shipment. The reference to “procure” here caters for multiple sales down a chain (‘string sales’), particularly common in the commodity trades.(매도인은 물품을 선측에 인도하거나 이미 선적을 위하여 그렇게 인도된 물품을 조달하여야 한다. 여기에 “조달”(procure)을 규정한 것은 특히 일차산품거래(commodity trade)에서 보편적인 복수의 연속적 매매(“연속매매”)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Where the goods are in containers, it is typical for the seller to hand the goods over to the carrier at a terminal and not alongside the vessel. In such situations, the FAS rule would be inappropriate, and the FCA rule should be used.(물품이 컨테이너에 적재되는 경우에는 매도인이 물품을 선측이 아니라 터미널에서 운송인에게 인계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이러한 경우에, FAS 조건은 부적절하며, FCA 조건이 사용되어야 한다.)

FAS requires the seller to clear the goods for export, where applicable. However,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clear the goods for import, pay any import duty or carry out any import customs formalities.(FAS 조건에서 매도인은 해당되는 경우에 물품의 수출통관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매도인은 물품의 수입통관을 하거나 수입관세를 부담하거나 수입통관절차를 수행할 의무가 없다.)


FOB
FREE ON BOARD
본선인도
FOB (insert named port of shipment) Incoterms® 2010
FOB (여기에 지정선적항을 기입함) Incoterms® 2010


GUIDANCE NOTE (사용지침)

This rule is to be used only for sea or inland waterway transport.
이 규칙은 오직 해상운송이나 내수로운송의 경우에만 이용되어야 한다.

“Free on Board” means that the seller delivers the goods on board the vessel nominated by the buyer at the named port of shipment or procures the goods already so delivered. The risk of loss of or damage to the goods passes when the goods are on board the vessel, and the buyer bears all costs from that moment onwards.
“본선인도”는 매도인이 물품을 지정선적항에서 매수인에 의하여 지정된 본선에 적재하여 인도하거나 이미 그렇게 인도된 물품을 조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품의 멸실 또는 손상의 위험은 물품이 본선에 적재된 때에 이전하며, 매수인은 그러한 시점 이후의 모든 비용을 부담한다.

The seller is required either to deliver the goods on board the vessel or to procure goods already so delivered for shipment. The reference to “procure” here caters for multiple sales down a chain (‘string sales’), particularly common in the commodity trades. (매도인은 물품을 본선에 적재하여 인도하거나 이미 선적을 위하여 그렇게 인도된 물품을 조달하여야 한다. 여기에 “조달”(procure)을 규정한 것은 특히 일차산품거래(commodity trade)에서 보편적인  복수의 연속적 매매(“연속매매”)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FOB may not be appropriate where goods are handed over to the carrier before they are on board the vessel, for example goods in containers, which are typically delivered at a terminal. In such situations, the FCA rule should be used.(FOB는 예컨대 전형적으로 터미널에서 인도되는 컨테이너화물과 같이 물품이 본선에 적재되기 전에 운송인에게 인계되는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는 FCA 규칙이 사용되어야 한다.)

FOB requires the seller to clear the goods for export, where applicable. However,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clear the goods for import, pay any import duty or carry out any import customs formalities.(FOB에서 매도인은 해당되는 경우에 물품의 수출통관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매도인은 물품을 수입통관하거나 수입관세를 부담하거나 수입통관절차를 수행할 의무가 없다.

CFR
COST AND FREIGHT  운임포함인도
CFR (insert named port of destination) Incoterms® 2010
CFR (여기에 지정목적항을 기입함) Incoterms® 2010


GUIDANCE NOTE (사용지침 )

This rule is to be used only for sea or inland waterway transport.
이 규칙은 오직 해상운송이나 내수로운송의 경우에만 이용되어야 한다.

“Cost and Freight” means that the seller delivers the goods on board the vessel or procures the goods already so delivered. The risk of loss of or damage to the goods passes when the goods are on board the vessel. The seller must contract for and pay the costs and freight necessary to bring the goods to the named port of destination.
“운임포함인도”는 매도인이 물품을 본선에 적재하여 인도하거나 이미 그렇게 인도된 물품을 조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품의 멸실 또는 손상의 위험은 물품이 본선에 적재된 때에 이전한다. 매도인은 물품을 지정목적항까지 운송하는 데 필요한 계약을 체결하고 그에 따른 비용과 운임을 부담하여야 한다.

When CPT, CIP, CFR or CIF are used, the seller fulfils its obligation to deliver when it hands the goods over to the carrier in the manner specified in the chosen rule and not when the goods reach the place of destination. (CPT, CIP, CFR 또는 CIF가 사용되는 경우에, 매도인은 물품이 목적지에 도착한 때가 아니라 선택된 당해 규칙에 명시된 방법으로 운송인에게 물품을 인계하는 때에 그의 인도의무를 이행한 것으로 된다.)

This rule has two critical points, because risk passes and costs are transferred at different places. While the contract will always specify a destination port, it might not specify the port of shipment, which is where risk passes to the buyer. If the shipment port is of particular interest to the buyer, the parties are well advised to identify it as precisely as possible in the contract.(이 규칙은 두 가지의 분기점을 갖는다. 왜냐하면 위험과 비용이 상이한 장소에서 이전되기 때문이다. 계약에서 항상 목적항을 명시하면서도 선적항은 명시하지 않지만, 위험은 선적항에서 매수인에게 이전한다. 선적항에 대하여 매수인이 특별한 이해관계를 갖는 경우에, 당사자들은 계약에서 이를 가급적 정확하게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rties are well advised to identify as precisely as possible the point at the agreed port of destination, as the costs to that point are for the account of the seller. The seller is advised to procure contracts of carriage that match this choice precisely. If the seller incurs costs under its contract of carriage related to unloading at the specified point at the port of destination, the seller is not entitled to recover such costs from the buyer unless otherwise agreed between the parties.
당사자들은 합의된 목적항 내의 지점을 가급적 정확하게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지점까지의 비용은 매도인이 부담하기 때문이다. 매도인은 이러한 선택을 정확하게 만족하는 내용으로 운송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좋다. 매도인이 그의 운송계약에 따라 목적항 내의 명시된 지점에서 양륙비용을 지출한 경우에, 당사자간에 달리 합의되지 않았다면 매도인은 이를 매수인에게 구상할 수 없다. 

The seller is required either to deliver the goods on board the vessel or to procure goods already so delivered for shipment to the destination. In addition, the seller is required either to make a contract of carriage or to procure such a contract. The reference to “procure” here caters for multiple sales down a chain (‘string sales’), particularly common in the commodity trades.(매도인은 물품을 본선에 적재하여 인도하거나 이미 목적항까지 선적을 위하여 그렇게 인도된 물품을 조달하여야 한다. 또한 매도인은 운송계약을 체결하거나 그러한 계약을 조달하여야 한다. 여기에 “조달”(procure)을 규정한 것은 특히 일차산품거래(commodity trade)에서 보편적인 복수의 연속적 매매(“연속매매”)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CFR may not be appropriate where goods are handed over to the carrier before they are on board the vessel, for example goods in containers, which are typically delivered at a terminal. In such circumstances, the CPT rule should be used.
CFR은 예컨대 전형적으로 터미널에서 인도되는 컨테이너화물과 같이 물품이 본선에 적재되기 전에 운송인에게 인계되는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는 CPT 규칙이 사용되어야 한다.

CFR requires the seller to clear the goods for export, where applicable. However,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clear the goods for import, pay any import duty or carry out any import customs formalities.
CFR에서 매도인은 해당되는 경우에 물품의 수출통관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매도인은 물품을 수입통관하거나 수입관세를 부담하거나 수입통관절차를 수행할 의무가 없다.


CIF
COST INSURANCE AND FREIGHT
운임ㆍ보험료포함인도
CIF (insert named port of destination) Incoterms® 2010
CIF (여기에 지정목적항을 기입함) Incoterms® 2010


GUIDANCE NOTE (사용지침)

This rule is to be used only for sea or inland waterway transport.
이 규칙은 오직 해상운송이나 내수로운송의 경우에만 이용되어야 한다.

“Cost, Insurance and Freight” means that the seller delivers the goods on board the vessel or procures the goods already so delivered. The risk of loss of or damage to the goods passes when the goods are on board the vessel. The seller must contract for and pay the costs and freight necessary to bring the goods to the named port of destination. (“운임ㆍ보험료포함인도”는 매도인이 물품을 본선에 적재하여 인도하거나 이미 그렇게 인도된 물품을 조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품의 멸실 또는 손상의 위험은 물품이 본선에 적재된 때에 이전한다. 매도인은 물품을 지정목적항까지 운송하는 데 필요한 계약을 체결하고 그에 따른 비용과 운임을 부담하여야 한다.)

The seller also contracts for insurance cover against the buyer’s risk of loss of or damage to the goods during the carriage. The buyer should note that under CIF the seller is required to obtain insurance only on minimum cover. Should the buyer wish to have more insurance protection, it will need either to agree as much expressly with the seller or to make its own extra insurance arrangements.
매도인은 또한 운송중 매수인의 물품의 멸실 또는 손상의 위험에 대비하여 보험계약을 체결한다. 매수인이 유의할 것으로, CIF에서 매도인은 단지 최소조건으로 부보하도록 요구될 뿐이다. 보다 넓은 보험의 보호를 원한다면 매수인은 매도인과 명시적으로 그렇게 합의하든지 아니면 스스로 자신의 추가보험을 들어야 한다.

When CPT, CIP, CFR, or CIF are used, the seller fulfils its obligation to deliver when it hands the goods over to the carrier in the manner specified in the chosen rule and not when the goods reach the place of destination.
CPT, CIP, CFR 또는 CIF가 사용되는 경우에, 매도인은 물품이 목적지에 도착한 때가 아니라 선택된 당해 규칙에 명시된 방법으로 운송인에게 물품을 인계하는 때에 그의 인도의무를 이행한 것으로 된다.

This rule has two critical points, because risk passes and costs are transferred at different places. While the contract will always specify a destination port, it might not specify the port of shipment, which is where risk passes to the buyer. If the shipment port is of particular interest to the buyer, the parties are well advised to identify it as precisely as possible in the contract.
이 규칙은 2개의 분기점을 갖는다. 왜냐하면 위험과 비용이 상이한 장소에서 이전되기 때문이다. 계약에서 항상 목적항을 명시하면서도 선적항은 명시하지 않지만, 위험은 선적항에서 매수인에게 이전한다. 선적항에 대하여 매수인이 특별한 이해관계를 갖는 경우에, 당사자들은 계약에서 이를 가급적 정확하게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rties are well advised to identify as precisely as possible the point at the agreed port of destination, as the costs to that point are for the account of the seller. The seller is advised to procure contracts of carriage that match this choice precisely. If the seller incurs costs under its contract of carriage related to unloading at the specified point at the port of destination, the seller is not entitled to recover such costs from the buyer unless otherwise agreed between the parties.(당사자들은 합의된 목적항 내의 지점을 가급적 정확하게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지점까지의 비용은 매도인이 부담하기 때문이다. 매도인은 이러한 선택을 정확하게 만족하는 내용으로 운송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좋다. 매도인이 그의 운송계약에 따라 목적항 내의 명시된 지점에서 양륙비용을 지출한 경우에, 당사자간에 달리 합의되지 않았다면 매도인은 이를 매수인에게 구상할 수 없다. 

The seller is required either to deliver the goods on board the vessel or to procure goods already so delivered for shipment to the destination. In addition the seller is required either to make a contract of carriage or to procure such a contract. The reference to “procure” here caters for multiple sales down a chain (‘string sales’), particularly common in the commodity trades.
매도인은 물품을 본선에 적재하여 인도하거나 이미 목적항까지 선적을 위하여 그렇게 인도된 물품을 조달하여야 한다. 또한 매도인은 운송계약을 체결하거나 그러한 계약을 조달하여야 한다. 여기에 “조달”(procure)을 규정한 것은 특히 일차산품거래(commodity trade)에서 보편적인 복수의 연속적 매매(“연속매매”)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CIF may not be appropriate where goods are handed over to the carrier before they are on board the vessel, for example goods in containers, which are typically delivered at a terminal. In such circumstances, the CIP rule should be used. (CIF는 예컨대 전형적으로 터미널에서 인도되는 컨테이너화물과 같이 물품이 본선에 적재되기 전에 운송인에게 인계되는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는 CIP 규칙이 사용되어야 한다.)

CIF requires the seller to clear the goods for export, where applicable. However,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clear the goods for import, pay any import duty or carry out any import customs formalities.(CFR에서 매도인은 해당되는 경우에 물품의 수출통관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매도인은 물품을 수입통관하거나 수입관세를 부담하거나 수입통관절차를 수행할 의무가 없다.)






#Incoterms2010 원문해석 #인코텀즈2010 원문해석

  • URL 복사
  • Naver Blog로 보내기
  • Naver Band로 보내기
물류사전 목록
번호 글쓴이 제목 날짜 조회 추천
7450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선박용도종류코드 인기글 10-18 3126 0
7449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산업단지코드 인기글 10-18 2626 0
7448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반출유형코드 인기글 10-18 4545 0
7447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밀수근원코드 인기글 10-18 1952 0
7446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담보종류코드 인기글 10-18 1672 0
7445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검사검역소속기관코드 인기글 10-18 2549 0
7444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건설기계차종류코드 인기글 10-18 1646 0
7443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IMDG위험물구분코드 인기글 10-18 3064 0
7442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FIG금융기관코드 인기글 10-18 9800 0
7441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지정 장치장 , 장치장 코드, 장치장 주소, 장치장명, 관할세관 #4 인기글 10-18 11755 0
7440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지정 장치장 , 장치장 코드, 장치장 주소, 장치장명, 관할세관 #3 인기글 10-18 10074 0
7439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지정 장치장 , 장치장 코드, 장치장 주소, 장치장명, 관할세관 #2 인기글 10-18 21115 0
7438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지정 장치장 , 장치장 코드, 장치장 주소, 장치장명, 관할세관 #1 인기글 10-18 15121 0
7437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이탈리아 자동차 여행 관련 사건 사고 유형 안내 인기글 10-18 2233 0
열람중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Incoterms2010 원문해석 인기글 10-17 8365 0
게시물 검색
이용안내
사이트소개
회원안내
업체등록
배너광고
유료게시판
커뮤니티
모임
기타안내
업체정보
포워더
해외파트너
콘솔사
관세사
운송사
해외특송
창고
부대서비스
프로모션
채용정보
채용공고
공고등록
가이드라인
 Q & A 
업무문의
업체문의
견적문의
기타문의
커뮤니티
공지/이벤트
긴급제보
모임
자유게시판
물류안테나
포케TV
물류블로그
선복공유
물류현장
물류자료실
기관협회
프로모션

Membership
개인회원
기업회원
등업안내
포인트안내
포인트충전소
Logistics Tools
CBM 자동계산기
수입통관 조회
화물안전운임 요율 조회
관세청 고시환율 조회
부대비용 계산
국가별 공휴일
화물추적 Cargo Tracing
항구위치
터미널 정보
HS코드
World Freight Forwarder Association
무역보험용어
사이트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제휴문의   |   광고문의 고객센터

상호명: 브랜뉴플래닛(주)  사업자등록번호: 816-88-02513
직업정보제공신고번호: J1204-020-230007 통신판매번호: 제2023-서울강서-0354호
Copyright © 브랜뉴플래닛 All rights reserved.
브랜뉴플래닛(주)는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통관진행 문의는 물류업체에 하시기 바랍니다.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