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준화된 범용의 표시언어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 SGML)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8-04-21 12:00
조회 9,654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조회 9,654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관련링크
본문
정보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는 최근에 이르러는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포함한 세분화되고 복잡한 대용량 문서(정보)들의 원활한 교환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조류와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여 상이한 시스템간 복합문서 정보들을 공통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국제표준기구(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 ISO)에서는 1986년 데이터 객체 양식 표준으로써 ISO 8879 : Information Processing Text and Office Systems-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를 제정하였다. SGML 표준은 임의의 형태 문서, 임의의 응용에 대한 범용적인 마크업을 정의하기 위한 방법을 표준화한 객체지향형 메타언어(Meta-Language)로서 텍스트, 그래픽, 오디오 / 비디오등 거의 모든 유형의 데이터들이 복합적으로 포함된 문서를 명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SGML은 문서내에 포함된 모든 표현정보와 형식, 속성들을 세분화되고 계층화된 논리구조와 내용구조로 일관되게 기술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적, 논리적 일관성에 의하여 문서처리에 대한 H/W, S/W적인 종속성 원천적으로 배제되며 따라서 문서의 공유와 전달을 표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들에 의하여 SGML은 출판은 물론 최근 EDI, EC나 광속거래 (CALS)의 전자문서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제조, 국방, 과학기술, 교육, 오락 등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활발히 응용되고 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