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yrenopeziza brassicae B. Sutton & Rawl.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02-22 11:06
조회 2,120회 /
신고
관련링크
본문
구분 | 병균 |
분류 | 종 |
종(학명) | Pyrenopeziza brassicae B. Sutton & Rawl. |
종(국명) | |
검역구분 | 관리병해충 |
일반명 | light leaf spot, leaf scorch, light rape leaf spot |
기주 | ○ Brassica juncea var. juncea (Indian mustard), Brassica napus var. napobrassica, Brassica napus var. napus,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자주양배추),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양배추), Brassica oleracea var. gemmifera(방울양배추, Brussels sprouts, 주기주),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녹색꽃양배추), Brassica rapa, Brassica rapa subsp. oleifera (turnip rape), Brassica sp., Cakile sp. (CABI, 2015; Ars-grin, 2016) |
분포(발생정보 포함) | ○ 아시아(일본, 필리핀, 태국), 아메리카(미국), 유럽(오스트리아, 체코, 덴마크,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라트비아,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루마니아, 스웨덴, 영국, 스코틀랜드), 오세아니아(호주, 뉴질랜드)(CABI, 2015: Ars-grin, 2016) * 병원체 감염에 적합한 서늘하고 습한 기후의 유럽북서부와 뉴질랜드에 걸쳐 유채종자 및 십자화과의 각종 채소에 흔히 나타나는 병해로 기후조건이 유사한 다른 국가에도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나 유채종자가 주요작물에 해당되지 않은 관계로 보고되지 않았을 것임 (CABI, 2015) |
생태 | ○ 가을철 유채의 잎에서 시작되는 초기 발생은 공기 중 자낭포자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후의 확산은 분생포자의 우적분산에 의하며 작물의 생육기동안 세대를 반복하는데 영국의 경우 유채생육기 동안 최대 17번의 무성세대를 거침. 심하게 감염되어 죽은 지난 작기의 잎과 줄기의 잔재물에 자낭반이 형성되어 봄철 두차례의 자낭포자 분출을 통해 초기 감염원이 됨(CABI, 2015) ○ 분생포자는 잎, 줄기, 꼬투리의 병반에서 생성되어 주로 우적분산에 의해 상부나 근거리 다른 식물체로 전파되며 원거리 확산은 일어나지 않으며 매개체에 의한 확산은 알려져 있지 않음(CABI, 2015) ○ 12~20℃온도조건에서 최소 6시간 습윤상태가 유지되어야 잎에 감염이 일어나며 감염되며 온도가 낮아질수록 부터 유지시간이 추가로 필요함. 최적온도 16℃에서 24시간 습윤상태가 유지될 경우 침입에서 무성포자형성까지 대략 10일이 소요됨. 온도가 낮을수록 감염 및 병발생까지의 소요시간이 길어지고 병발생의 정도도 약해짐(CABI, 2015). ○ 심하게 감염된 종자의 경우 수확 2주~2개월 후 10~3%정도에서 병원균이 분리되나 2개월 이상 저장된 경우 분리되지 않으며 분생포자는 관찰되어지나 발아되지 않음(CABI, 2015). 심하게 감염될 경우 유채종자의 오일 함유량과 품질에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음(Doughty 등, 1998). 병원체가 분리된 곳에서 생산된 종자의 발아율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음(Maddock & Ingram, 1981) ○ 종자로 전염되는지 여부는 아직까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만약 종자전염을 하더라도 전파의 주요요인은 아닌 것으로 여겨짐(CABI, 2015). |
피해 | ○ 영국에서는 가을과 겨울기간 잠복되어 있다가 단지 봄철에만 병징의 확인이 가능해 감염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음. 초기 병징은 잎의 큐티클층의 균열과 기저부 조직의 경미한 백화현상이며 병진전에 따라 나타나는 잎표면의 비틀림과 오그라드는증상은 서리피해와 유사하고 점차 백화증상이 퍼지고 감염 중심부가 괴사되고 잎이 낙엽되기도 함. 병반부의 큐티클층을 통해 나오는 분생포자반에 의한 holo증상이 특징적이며 겨울동안 병반이 융합되어 잎 전체가 죽기도 하며 스코틀랜드에서는 식물체전체가 겨울기간 동안 심한감염에 의해 죽을 수 있음(CABI, 2015). ○ 줄기에 감염된 경우 가끔 외부에 드러나는 갈색병반이 병진전에 따라 괴사되거나 포자덩어리(분생포자반)에 둘러싸이고 줄기조직을 가로지르는 균열이 일어나기도 함. 눈과 꼬투리의 병징은 작은 흰색~옅은 황갈색의 점이 나타나고 융합되어 전체를 덮으며 보통 꼬뚜리의 비틀림과 꼬임 증상이 나타남. 심하게 감염된 경우 미성숙상태에서 여물거나 터짐(CABI, 2015) ○ 유채에 발생하는 다른 주요병해보다 세계적으로 덜 확산되어 있으나 발생지역에 있어 수확량에 파괴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1987~1995년 재배기간동안 동병해에 의한 수확량 감소로 180에서 552억원 규모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됨이 보고된 바 있으나(Fitt 등, 1997) MAFF의 조사결과는 기간, 지역에 따라 피해규모에 있어 큰 편차가 있으며 대부분의 재배기간 동안 특징적으로 심하게 발생된 지역에서 두드러진 수확량 감소를 나타냄(Turner et al., 1999). |
-작성자:최고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