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urvularia oryzae Bugnicourt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02-15 13:45
조회 1,939회 /
신고
관련링크
본문
구분 | 병균 |
분류 | 종 |
종(학명) | Curvularia oryzae Bugnicourt |
종(국명) | |
검역구분 | 관리병해충 |
일반명 | |
기주 | 벼(Oryza sativa), 바람하늘지기(Fimbristylis miliacea), 참방동사니(Cyperus iria), 일방동사니(Cyperus difformis), 기름야자(Elaeis guineensis), 오크라(belmoschus esculentus |
분포(발생정보 포함) | 필리핀, 태국, 파키스탄, 베트남 |
생태 | ○ C. oryzae는 원래 쌀 곡물에서 보고되었으며(Jain B. L. et al., 1962) 또한 오크라(Abelmoschus esculentus)에서 과일 부패를 일으키고 열대 식물에서 과일썩음병, 잎 반점, 잎 마름, 잎 끝 마름병의 원인 인자로 보고 되었다(Lal B. et al., 1989).1993년 필리핀의 사초과 잡초에 1×108/m-2의 분생포자를 28℃에서 24시간 동안 접종하면 빠르게 마르고 1~2주 이내에 잡초가 죽게 된다. 마름증상이 없는 식물에서는 잎의 테두리에 병변이 생기고 아래쪽에 밴드가 생기고 결국 시든다. 줄기를 감싸고 있는 병변은 녹색 식물의 일부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시들고 넘어진다. 감염되면 기주가 민감할 경우 24시간 후에 포자형성이 관찰되고, 48시간 후에는 괴사 조직에 대량 포자가 관찰된다(Lilian Z. de Luna et al., 2002b).○ 온실 조건에서 자란 기름야자에서 분리한 C. oryzae 분생포자 1×10-6ml의 현탁액을 접종하였을 때 증상은 접종 후 7일에 나타나고 접종 2주 후에는 확실히 나타났다. 증상은 종묘에서 관찰한 것과 동일하였다(Anurag Sunpapao et al., 2014). |
피해 | ○ 벼 저항성 품종은 잎의 병변이 작고 밝은 갈색에서 어두운 갈색으로 건조한 모습을 나타난다. 잎 가장자리와 잎 끝의 반점이 밝은 갈색에서 크림색으로 마르게 된다. 감수성 재배품종에서 갈색 병변은 괴사를 중심으로 합쳐지게 된다. 포자형성은 민감한 품종은 병변이 관찰되었지만 저항성 품종은 관찰되지 않았다(Lilian Z. de Luna et al., 2002a). ○ 생산량의 감소보다는 감염된 벼에 변색을 일으켜 품질을 떨어트려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Arshad et. al., 2009), 벼가 주로 재배되는 국가에서는 마이너 병원균이지만,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벼에 잠재적 위협이 될 수 있으며(Hafiz et. al., 2009)태국 남부의 모표(nursery)에서 관찰 된 기름야자 모종의 가장 흔한 증상 패턴은 잎 반점과 잎 마름이었다. 주요 증상은 잎의 대부분이 암갈색의 핀 포인트이다. 그리고 황색에 둘러싸인 진한 갈색 병변을 발달시켜 진행하고, 마지막으로 잎 마름이 널리 퍼지게 된다. |
-작성자:최고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