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세미과실파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02-13 09:38
조회 2,451회 /
신고
관련링크
본문
구분 | 해충 |
분류 | 종 |
과(학명) | Tephritidae |
과(국명) | 과실파리과 |
속(학명) | Bactrocera |
속(국명) | |
종(학명) | Bactrocera tau (Walker) |
종(국명) | 수세미과실파리 |
검역구분 | 금지병해충 |
일반명 | |
기주 | 박과류, Jamaica cherry, malay-apple, 뽕나무류(Malus속) 등.이 종은 박과의 열매를 선호하지만 또한 몇몇 다른과 식물의 열매에서 사육된 적이 있다. 말레이시아에서 기록된 기주는 bachang(Mangifera foetida), 오이(Cucumis sativus), angled luffa(Liffa acutangula)이며, 다른 남동아시아에서는 bitter gourd(Momordica charantia), calabur(Muntingia calabura), Malay-apple(Syzygium malaccense)와 호박(Cucurbita maxima)이 기록되어있다. 또한 확인되지 않은 기주로 뽕나무(Morus sp.)와 수박(Citrullus lanatus), common guava(Psidium guajava), plus Artocarpus, Averrhoa, Dracontomelon, Luffa manilkara,Trichosanthes spp.가 있다.아마도 B. tau라 생각되는 D. hageni는 luffa(Luffa aegyptiaca)와 호박(Cucurbita pepo)에서 사육되었고, D. hageni의 확인되지 않은 기주로는 colocynth(Citrus colocynthis), 망고(Mangifera indica), pummelo(Citrus maxima), 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water apple(S. samarangense), wax gourd(Benincasa hispida), white-flowered gourd (Lagenaria siceraria)가 있다(White와 Elson-Harris, 1992). Lycopersicon esculentum Miller (토마토), Mangifera indica L. (망고), Prunus avium L. (양벚나무, 단버찌, 양앵두, 체리), Malus (사과나무속), Cucurbitaceae (박과) |
생태 | D. hageni(=D. caudatus)라 불려진 종의 생태를 언급한 사람이 있었으나 이것은 아마도 B. caudata가 아닌 B. tau을 언급한 것 같다(White와 Elson-Harris, 1992). 수컷유인물질은 Cue lure이다(White와 Elson-Harris, 1992). 1986년동안 인도에서 5종의 기주식물에 대한 생태조사에서 유충기간은 오이에서 3일로 가장 짧았고, bottle gourd(Lagenaria siceraria)에서는 3.1일, 토마토에서는 3.3일이었다. 알 생존율은 모든 기주식물에서 86∼90%로 다양했다. 반면 유충과 용 생존율은 81.4∼91.4% 였으며 L. siceraria에서 가장 높았다. 산란전기간은 8∼13일, 산란기간은 13∼26일이었다. 산란은 오이에서 암컷당 248.5개로 가장 높았으며, 토마토에서 243.8개, L. Siceraria에서 233.2개, bitter gourd(Momordica charantia)에서 191.1개와 sponge gourd (Lagenaria sp.)에서는 169.6개였다. 암컷과 수컷의 수명은 토마토에서 34.3일과 29.0일로 가장 높았고 Lagenaria sp.에서 30.1일과 25.0일로 가장 낮았다(Gupta 등, 1993).이 종은 1940년대와 1950년대 종종 발생했다. 그러나 최근 중국의 간수 동부에서 채소에 대한 피해가 증가되고 있다. 유충은 주로 수박과 호박의 열매에 발생한다. 1년에 1세대가 발생하고 성숙 유충으로 월동한다(Kui 등, 1993).1986년부터 1987년까지 인도에서 조사한 bitter gourd(Momordica charantia), 오이, bottle gourd(Lagenaria siceraria), sponge gourd(Luffa aegytiaca)에 대한 D. tau(B. tau)와 D. cucurbitae(B. cucurbitae)의 밀도변동을 보면 밀도는 오이와 Lagenaria siceraria (80% 감염)에서 7월∼8월에 발생피크를 나타냈고, M. charantia(60% 감염)와 Luffa aegyptiaca(50% 감염)에서는 8월∼9월에 발생피크를 나타내었다. 밀도는 온도와 상대습도와 관계가 있다(Gupta 등, 1992). |
피해 | 피해 과실은 낙과하고 유충이 과실 내부를 가해해서 부패한다가해부위 및 증상:과일. 피해과에는 산란구멍의 흔적이 보이며 산란구멍 주변이 괴사되기도 한다. 다른 증상을 피해 초기단계부터 발견하기 어렵다. 대부분 외부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과일의 내부가 썩는다.잠재해충이다(White와 Elson-Harris, 1992). 과실이 떨어지고 유충이 과실 내부를 가해해서 부패한다(Gabriel, 197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