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드린나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9-02-12 10:58
조회 3,566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조회 3,566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관련링크
본문
구분 | 해충 |
분류 | 종 |
과(학명) | Tortricidae |
과(국명) | 잎말이나방과 |
속(학명) | Cydia |
속(국명) | |
종(학명) | Cydia pomonella (Linnaeus) |
종(국명) | 코드린나방 |
검역구분 | 금지병해충 |
일반명 | |
기주 | 주요기주로는 사과, 배, 복숭아, 살구, 자두, 앵두, 석류, 마르메로, 장미과 과수 이외에 미국 캘리포니아주, 남아프리카, 유럽에서는 Juglans regia에 큰 피해를 주고 있고, 남미의 콜롬비아에서는 사과보다도 Reldia madruno라는 특산의 야생식물을 좋아한다고 한다. 기타 산사나무도 가해한다. Crataegus pinnatifida Bunge (산사나무, 산사, 아그배), Cydonia oblonga Mill. (마르멜로), Juglans regia L. (호두(페르시아계)), Malus domestica Borkh. (사과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 (살구, 살구나무), Prunus salicina Lindl. (자두나무, 오얏나무), Prunus persica var. nectarina (AIT) Maxim. (천도, 넥타린, 숭도), Prunus tomentosa Thunb. (앵두나무, 앵도, 앵도나무), Prunus domestica L. (서양자두), Prunus persica (L.) Batsch (복숭아나무, 복사나무), Punica granatum L. (석류나무, 석류목, 석류수, 안석류, 해류), Pyrus pyrifolia var. culta (Makino) Nakai (배나무, 일본배), Rosaceae (장미과) |
생태 | 연간 발생회수는 분포지역의 기후조건과 기주작물에 따라 다르며, 분포의 북한계에 가까운 시베리아 등에서는 연 1회, 북아메리카의 캐나다 남부로부터 미국 북부의 워싱턴주 등의 여러 주에서는 2회, 다시 남쪽으로 이동하여 3∼4회가 된다. 이 종의 발육영점은 약 10℃, 발육 최적온도는 20∼27℃이며, 1세대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유효 적산온도가 10℃ 이상으로 610∼624일을 요한다고 한다. 월동은 노숙한 휴면 유충으로 하며, 나무껍질 아래와 나무껍질에 갈라진 틈, 때에 따라서는 낙엽, 꺽어진 가지등에 고치를 짓고 이른 봄에 용화한다. 번데기 기간은 10일부터 1개월 이상까지 걸리지만 산란은 기온이 16℃ 이상인 어느날의 일몰 직후에 많이 이루어진다.한 마리 암컷의 산란수는 50∼100개로서 알은 1개씩 잎 또는 어린 과일에 산란하지만 과일 근처의 잎면에 산란하는 수가 많다.알 기간은 온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만 7일부터 14일 정도이다. 부화한 유충은 과일에 침입할 때 종이 조각처럼 표피조각을 제거하고 먹어들어간다고 한다. 침입부는 배꼽이 많지만 조건에 따라서는 과일 측면에서부터도 침입한다. 침입후는 과실 꼭지를 향하여 먹어들어가고, 종자가 있는 부분을 잘 식해한다.성장과 함께 침입구에서 똥을 배출하고 다시 침입구를 넓히며, 새로운 구멍을 뚫어 놓는다. 1개의 과일중의 유충수는 보통 1마리이고, 같이 식해하는 습성도 있으므로 2마리 이상의 유충이 공존하는 경우도 있다. 과일 안에는 3∼4주일을 지나고 5령 노숙기가 된 유충이 과일을 탈출하여 나무줄기 등으로 이동하여 고치를 짓는다. 제 1세대의 유충은 고치내에서 용화하여 제 2세대의 발생원이 되는 것과, 부화하지 않고 그대로 휴면에 들어가는 것도 생겨서, 그 비율은 지역과 해에 따라 다르지만 뉴욕주에서의 보고로는 제1세대의 용은 7∼14일이면 제 1세대의 성충이 되고 제 2세대의 알을 낳는다. 제 2세대 유충의 휴면율은 아주 높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제 3세대가 발생한다. 미국 남부의 州에서는 다시 다음 세대를 보이는 지역도 있다. 제 2세대 이후의 유충은 과일이 비대하면서 부드러워져 파고 들어가기가 쉬우므로 과일 측면에서 침입하는 것이 많다.코드링나방 유충의 휴면을 유발시키는 임계일장은 24℃에서 14.5시간 정도이지만 위도에 따라서 임계일장의 지리적 변이가 확인되었다. 한편 어떤 지역의 개체군 중에도 어떤 일장조건 및 온도의 경우에서도 휴면에 들어가는 개체가 혼재되어 있다고 한다. 이것은 이 종이 위도가 다른 지역에 침입한 경우 새로운 지역에서의 정착을 용이케 하는 요인이 된다.캘리포니아에서는 다자란 상태의 유충으로 휴면하여 월동한다. 휴면용은 두텁고 실크로 된 고치속에 들어있다. 월동처는 나무주간 근처땅의 나무껍질의 느슨한 틈, 전정한 나뭇가지, 야외상자, 부대, prop piles trash, 과수원의 목재더미 나무밑주변의 토양내 등 많은 피난처에서 발견할 수 있다. 유충은 이른 봄에 고치내에서 보통 2∼3 월에 용화하며 얼마되지 않아서 우화한다. 수컷은 저녁에 최소한 13℃이상될 때 페르몬트랩에 잡히기 시작한다. 그러나 교미는 일몰의 온도가 17℃이상이 될 때까지 일어나지 않는다. 성충은 땅거미가 질 무렵 몇 시간동안 활동적이고 그외 시간은 가지나 주간에서 쉰다. 월동한 암컷은 30∼70개의 알을 낳는데, 알은 잎 표면 또는 작은 열매에 낳는다. 월동 개체군의 알은 산란된 때부터 평균 158DD 때 부화하며, 어린유충은 이따금 끝의 잎을 먹고 단기간내 순을 파고 들어가지만 곧 과일표피를 찾아먹는다. 과일내에는 부화후 24시간 내 파고 들어가며 열매표피 밑에서 1령만을 지내고 발육중인 씨앗을 먹을 수 있는 중심부로 파고 들어간다. 1세대유충은 일반적으로 4~6월 중순까지 발육하고 완전발육에는 평균 471(330~640)DD(약 3~주)가 필요하다. 발육이 완료되면 용화장소를 찾으러 열매를 떠난다. 코드링나방에 대한 연구를 보면 휴면 형태에서 두가지 개체군이 있다고 나타났다. 첫째 1세대의 적은 부분(10%~18%)에서 일어나는 봄 휴면(Vernal diapause)이 있는데 이들 유충은 휴면에 들어가 7월까지 나타나지 않으며 심지어 어떤 것들은 다음해 봄까지 남아있다. 유충의 휴면이 길어질수록 우화한 다음해 봄에 필요한 DD수는 적어진다. 두번째형은 가을휴면으로서 2세대 또는 다음세대의 유충발육에 영향을 미치며 낮길이(일장)와 아마도 고온에 의해 유기된다(?). 월동세대가 발육을 완료하여 성충이 되는 데는 평균시간길이 1,060DD이다. 그러나 나방은 산란 된 때로부터 빠르면 743DD 부터 우화되기 시작하고 산란개시부터 1,440DD 까지 계속된다. 결과적으로 1세대 나방 우화는 캘리포니아내의 계절온도와 지역에 따라 5월부터 7월초까지 일어난다. 암컷나방은 잎과 과일에 2세대알을 낳는데 이 시기의 고온때문에 2세대알과 유충은 전체 DD수가 160DD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1세대 보다 더 빨리 발육한다. 부화 후 2세대 유충은 바로 과일쪽으로 파고 들어간다. 다 자랐을 때 유충은 용화를 위해 열매를 떠난다. 캘리포니아주의 선선한 지역이나 특정해에는 2세대 유충의 모두 또는 몇몇은 성충으로 나오지 않고 다음 봄까지 가을휴면에 들어간다. 휴면은 유충 발육동안 낮길이 시간수와 광주기의 변화에 의해 유기된다. 휴면을 유발하는 결정적인 낮길이는 8월 중순까지로 빠르다. 캘리포니아주의 따뜻한 지역에서나 따뜻한 해에는 대부분의 2세대 유충이 용화와 성충 우화까지 8월 중순 이전에 충분히 발육된다. 우화는 빠른데서는 7월 하순에 시작되고 다음이 8월 중순까지이며 9월까지 계속된다. 이 나방들은 3세대 알을 낳는데 3세대 유충은 충분히 자랐을 때 고치를 짓고 월동하기 위해 과일을 떠나 나무주간이나 땅위의 지피물로 이동한다. 이따금 유충이 성숙하기 전에 과일이 수확되면 몇몇 일부는 과일에 남아있는 수도 있다. 1,500 피트이하의 산자락과 Central Valley 지역같은 가장 따뜻한 지역에서는 부분적으로 따뜻한 해에 4세대가 시작되기도 한다. 암컷은 잎에 또는 가끔 과일에 낱개로 산란한다.이동 및 확산방법① 과일표면의 난괴로, ② 수확 후까지 과일속에 남아있는 덜 자란 유충으로, ③ 고치를 짓고 용화할 때 장소를 찾다가 기주과일에 남아 있는 성숙한 유충에 의해 이동 확산된다. |
피해 | 경제적 피해피해로는 과일식해가 현저하고, 특히 종자를 좋아한다. 또, 新梢에 加害하는 수도 있다. 과일에서는 제 2세대 유충에 의한 가해가 제 1세대 피해를 앞지른다. 뉴욕주에서 無防除 果樹園에 있어서, 1948년부터 9년간의 피해과율의 평균은 제 1세대에서는 36%이고, 제 2세대에서는 90~98%에 달했다고 한다. 중국의 新疆에서는 제 1세대 유충에 의한 사과의 유과의 피해과율이 50%내외, 제 2세대 유충에 의한 피해 과율이 80% 내외, 재래종 배에는 40%에 이른다고 한다(浙江農業大學 1987). 유충이 잎을 먹을 수 있고 가지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지만 주된 피해는 찌른 듯한 흔적과 깊은 갱도를 열매에 남기는 것이 주된 피해이다. 찌른 듯한 흔적은 유충이 과일표면을 씹었거나 다른 장소를 찾거나 죽기전에 짧은 거리를 파먹어 들어간 입구이다. 가해받은 부분은 작은 상처를 남기고 치유가 된다. 깊이 파들어간 구멍에는 유충이 중심부까지 파들어가고 씨방을 먹는다. 유충은 옆쪽, 줄기 끝, 과일의 꽃받침끝을 통해 침입할 수 있다. 하나나 그 이상의 작은 구멍의 표면에 똥으로 덮여 있으면 유충에 침해당한 특징이다. 꽃받침을 통해 들어간 구멍은 찾기가 어렵다. 배에서 수확이 가까운 과일에서의 탈출구는 설탕물 같은 진이 나온다(UC, 1991). 남부유럽등 구북구 야생사과가 분포하는 지역이 원산인 사과 해충이다. Codling은 ‘미숙한 작은 사과를 의미하며, 유충은 어린 과일에 침입하여 과일의 비대성장과 더불어 내부를 식해하는데, 사과에서 피해가 가장 크다(筒井, 1972).19C부터 세계 각지에 침입, 정착을 해서 적도부근 열대지방과 극지방을 제외한 남.북반구의 거의 대부분의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세계적인 장미과 과수해충이다. 현재까지는 한국, 일본에는 기적적으로 침입, 정착을 하고 있지 않으나, 한때 한국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분포도를 잘못 그린 사람이 있어 朴과 朴(1976)이 이를 시정한 바 있다. 일본에서는 1917년 요코하마에 들여 온 미국산 사과에서 처음 발견이 되었고, 1920년 발생지역으로부터 사과, 배, 복숭아등의 생과일 수입 금지조치가 이루어진 바 있으며(石川, 1982), 이후 여행객의 손에 들고 온 호두, 사과 등에서 유충이 종종 발견되고 있다고 한다(筒井, 1972).북아메리카는 유럽으로부터 침입하여 1819년에는 보스톤 교외에서 사과, 서양배에 피해가 발견 되었고, 1849년 일리노이주, 1960년 아이오와주, 1870년 유타주, 1874년 캘리포니아주, 1880년 워싱턴, 그리고 1905년 프리데이주, 콜롬비아주에 침입하여, 현재 북아메리카의 사과재배지에는 모두 분포하고 있다고 한다(石川, 1982). 중국에서는 신강, 위그루 자치구를 비롯한 북서부에 분포한다(Institute of Zoology, Academia Sinica 1983)고 한다.캘리포니아에서 사과와 배의 주요해충이고 호두, prune, quince, hawthorn, 자두의 몇몇 품종도 가해한다(UC, 1991). |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