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나무재선충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02-12 11:09
조회 2,237회 /
신고
관련링크
본문
구분 | 해충 |
분류 | 종 |
과(학명) | Aphelenchoididae |
과(국명) | 잎선충과 |
속(학명) | Bursaphelenchus |
속(국명) | |
종(학명) | 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 Buher) |
종(국명) | 소나무재선충 |
검역구분 | 금지병해충 |
일반명 | |
기주 | 주로 Pinus를 침해한다. Pinus대부분종이 기주가 될 수 있으나 다음의 종들이 특히 감수성으로 피해가 심하다: P. thunbergii, P. densiflora, P. nigra, P. pinaster, P. sylvertris, P. luchuensis, P. radiata, P. lambertiana, P. echinata.다른 종류의 침엽수도 기주가 될 수 있으나 피해보고는 드물다. 미국의 Picea와 Pseudotsuga가 이 선충에 의하여 죽었다는 보고가 있다. Pinus luchuensis Mayr, Pinus nigra subsp. nigra, Pinus pinaster Aiton,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소나무, 적송, 흑송, 단엽적송, 송수, 백두송, 송, 유송, 청송, 륙송), Pinus radiata D. Don. (라디에타파인), Pinus thunbergii Parl. (해송, 곰솔, 흑송, 흑피송, 송수, 마미송, 일본흑송, 흑피자송수, 남송, 왕솔), Pinus lambertiana Douglas, Pinus echinata Mill, Larix (잎갈나무속), Picea (가문비나무속), Pinus (소나무속), Pseudotsuga, Pinaceae (소나무과) |
생태 | 본 종은 균사섭식형(mycophagous)과 식물섭식형(phytophagous) 두가지 타입의 생활환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경우 모두 Monochamus속의 하늘소에 의하여 매개된다. 어린 소나무의 신초에 침입한 다음에 선충은 송진관에서 증식하여 상피세포를 침해하게 된다. 통상 선충이 침입한지 3주후 나무는 송진의 분비가 감소되는 drying out' 병징을 보인다. 이단계가 되면 선충은 죽어가는 나무전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된다. 이 시기에 솔잎은 심하게 시들어서 노랗게된다. 선충이 침입한지 30∼40일 후가 되면 나무는 죽고 나무의 주간, 가지, 뿌리 어디에나 수백만마리의 선충으로 꽉 차게 된다. 나머지 식식성 생활환은 식균성 생활환과 비슷하며 선충은 우화직전의 Monochamus속 하늘소 번데기를 찾아 나선다.선충은 하늘소의 몸을 떠나서 나무껍질의 산란공을 통하여 나무로 들어간다. 나무안에서는 이 선충은 균사(일반적으로 Ceratocystis spp.)를 섭식한다. 나무안에 들어온 즉시 유충은 탈피하여 성충이 되고 산란을 시작한다. 선충개체군은 수컷과 암컷성충, 4개의 유충의 번식단계로 구성되어 신속히 증식된다.이 선충은 초기단계를 일정기간 거친후에는 증식이 멈추어 개체군 밀도는 떨어지기 시작한다. 이 때에 또 다른 타입의 제3스테이지의 유충이 생산되며 이 유충은 분산 제3스테이지유충(dispersal third - stage larva") 라고 부르나(Mamiya, 1983)), 정확히 말하면 일종의 생존스테이지로서 불량환경에 저항력이 있다. 진균이 나무를 모두 소모하면 선충의 먹이자원이 고갈되어 이에 대한 반응으로 개체군구조가 바뀌게 되는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dispersal'유충은 Monochamus매개충의 챔버주변에 모이며 매개충의 유충에서 퍼지는 물질에 유인되어 모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늘소가 우화에 임박하면 선충은 'dauerlavae'라 부르는 제4스테이지의 특별한 유충으로 탈피한다. 균사도 용챔버주변에서 발육한다. 진균은 목이 긴 자낭각을 형성하여 챔버에 박으며, 선충은 병자각끝에 모인다. 하늘소 어린 성충이 우화하면서 병자각의 목을 털을 때 선충이 겉날개(elytra) 특히 기관(tracheae)안에 묻힌다. 하늘소 미숙성충은 선충을 묻힌채로 나무를 떠나 날아간다.이 식균생활환(mycophagous life cycle)은 B. xylophilus의 정상생활환으로 여길 수 있으며 Bursaphelenchus spp.의 대부분의 종도 산림갑충과 관계를 갖는 비슷한 생활환을 갖고 있다. 북미에서는 식균생활환이 가장 일반적이다(Wingfield, 1983). 반면에 아시아와 그리고 북미에서 이 선충이 비원산 수종과 감수성 Pinus와 접할 경우에는 식식성 생활환(phytophagous life cyle)이 대부분 일어나는데, 선충은 하늘소가 번데기집에서 우화직후에 Pinus의 신초에 날아가서 섭식할 때에 선충이 옮겨진다. 선충은 신초의 섭식상처를 통하여 식물체에 침입한다. 아직까지도 이런 전염양식이 특정 Pinus종에서만 일어나는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B. xylophilus가 발생하는 지역원산의 Pinus의 건전조직에는 선충의 직접침입을 저지하는 물리적, 생화학적 보호막이 발달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어린 Pinus신초에 침입한 다음에 선충은 송진관에서 증식하여 상피세포를 침해한다. 3주후에는 나무는 ‘drying out' 병징을 보이는데 송진의 분비가 감소되는 형태이다. 이렇게 되면 선충은 죽어가는 나무전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하늘소 성충은 교미하기위해서 나무의 주간에 꼬이게 된다. 이 시기에 솔잎은 심하게 시들어서 노랗게된다. 선충이 침입한지 30~40일후면 나무가 죽고 나무의 주간, 가지, 뿌리 어디에나 수백만마리의 선충으로 꽉차게 된다. 나머지 식식성생활환은 식균성 생활환과 비슷하며 선충은 우화직전의 Monochamus번데기를 찾아 나선다.실험실조건에서 B. xylophilus는 진균에 배양하여 유지할 수 있다. 15℃에서 12일만에, 20℃에서 6일, 30℃에서 3일만에 한세대를 경과할 수 있다. 산란은 부화 4일만에 시작하며 알은 25℃에서 26~32시간만에 부화한다. 발육임계온도는 9.5℃이다.이동 및 확산수단나무의 목질조직에서 여기저기 활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나무 한 조각에서 이웃하는 나무조각으로 옮겨갈 수 있다. 그러나 매개충이 없이는 이 나무에서 저 나무로 옮겨 갈 수는 없다. 매개성충은 우화 5일후에 비상최성기를 맞고 최고 3.3km까지 날아가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는 분산거리는 수백 m에 지나지 않는다.이 선충의 국제간 이동은 감염목재의 무역에 의한 것으로 미국과 캐나다에서 수입한 제재목, 통목, 목재부스러기에 부착하여 EPPO지역으로 들어오는 것이 수차례 인터셉트된 바 있다.이 선충의 주요 유입경로는 선충이 매개층과 함께 도입되는 것이다. 매개충은 선충보다 목재에 충분한 수분이 있을 때 생존이 가능하다. 원목이 크고 길면 길수록 살아남을 확률이 높으므로 통목, 제재목이 목재부스러기 도입보다 위험성이 높다.수분함량이 높은 목재부스러기에는 선충이 묻어 들어올 가능성이 높으나 제조과정에서 매개충이 살아남을 확률이 낮다. |
피해 | 소나무시들음병(Pine wilt disease)가 1913년 일본의 나가사키지역에서 처음 보고되었고 그 원인이 B. xylophilus에 의한 것이라는 것이 1973년에야 밝혀졌다. 처음에는 하늘소에 의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후에 가서 하늘소 피해에 앞서서 병징이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본에서는 이 선충이 북상하여 전국에 확산, 심하게 피해를 주고 있다. 1940년대 말기에는 년 10⁶㎤의 산림이 피해를 받은 바 있으나 감염나무를 대대적으로 제거해 낸 결과 그 피해는 년500,000㎡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산업화에 따라서 산림에 투입할 인력이 감소되고 연료가 기름으로 대체됨으로서 감염나무가 보균식물로 계속 남는 결과를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피해곡선은 1970년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년 2×10⁶㎤의 손실을 보고 있다. 현재는 일본열도 거의에 확산되어 남쪽으로는 Ryuku섬, 북쪽으로는 년 평균온도가 10-12℃인 Honshu의 섬으로 퍼져 있으며 이것은 아마도 남쪽의 인구증가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오직 북해도만이 무발생지역으로 남아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