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과과실파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02-12 10:31
조회 2,035회 /
신고
관련링크
본문
구분 | 해충 |
분류 | 종 |
과(학명) | Tephritidae |
과(국명) | 과실파리과 |
속(학명) | Rhagoletis |
속(국명) | |
종(학명) | Rhagoletis pomonella (Walsh) |
종(국명) | 사과과실파리 |
검역구분 | 금지병해충 |
일반명 | |
기주 | 사과가 주기주이며 장미과 과수에서 기록이 되어 있다. 사과류 및 몇 종의 Prunus spp. 처럼 유충이 배에서도 발견되나 성충 우화는 일어나지 않는다(Bush, 1966). EPPO 지역에서는 사과가 피해의 위험성이 있는 주기주가 될 것이며 다른 널리 분포하는 야생 또는 관상용 장미과에서 생존 가능성이 있다(CABI/EPPO, 1992). Crataegus pinnatifida Bunge (산사나무, 산사, 아그배), Malus domestica Borkh. (사과나무), Prunus salicina Lindl. (자두나무, 오얏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 (살구, 살구나무), Prunus avium L. (양벚나무, 단버찌, 양앵두, 체리), Prunus persica (L.) Batsch (복숭아나무, 복사나무), Pyrus communis L. (서양배), Prunus (벗나무속), Rosaceae (장미과) |
생태 | 기주의 과실 표피 밑에 알을 낳으며 산란 3-7일 후 부화한다. 유충은 보통 2-5주 내에 발육하나 겨울 사과에서는 수개월 경과한다. 기주밑 흙에서 용화하여 월동하는 것이 정상적이나 일부는 같은 해 여름에 우화하고 극히 일부는 우화 전에 2-4년간 겨울을 경과하기도 한다. 성충 수명은 포장 조건에서 약 40일이다(Christenson과 Foote, 1960; CABI/EPPO, 1992). 캘리포니아에서는 용(길이 약 6㎜)으로 흙에서 월동한다. 일반적으로 연 1세대 발생하나 온화한 해 또는 일부 남쪽 지방에서는 부분 2세대를 경과한다. 성충은 6월 중-7월초에 우화하고 최성기는 7월중 하순이며 8월말이면 우화가 끝난다. 지역에 따라서 용의 일부는 흙에 남아서 다음해까지 우화 하지 않는다. 여름에 우화한 성충은 성적으로 미성숙한 개체이므로 교미 전에 진딧물, 나무이, 깍지 벌레의 감로를 먹어야 한다. 이 시기에는 성충이 감로를 찾기 위해 사과나무 전체뿐만 아니라 주위의 관목에까지 퍼진다. 감로를 7-10일간 섭취해서 성적으로 성숙되면 교미하기 위해 과실에 모인다. 암컷 성충은 과실 표피 밑에 낱개로 산란하고 그 곳에 다른 암컷이 산란하는 것을 막기 위해 페로몬으로 표시한다. 밀도가 높지 않은 한 페로몬 마킹은 다른 암컷의 산란을 막아서 과실 한 개에 한 마리의 유충이 발육하게 된다. 암컷 성충은 30여 일 간에 걸쳐 약 300개의 알을 낳을 수 있다. 알은 온도에 따라 2-10일만에 부화한다. 유충은 사과 속에서 식해하고 3령을 20-30일에 걸쳐 경과한다(UC, 1991). 피해과는 보통 낙과하고 이때 유충은 과실 속에서 나와 2.5-15㎝ 깊이로 흙을 파고 들어가 4령으로 탈피한 즉시 용기로 들어간다. 대부분의 용은 휴면으로 들어가서 다음해 또는 그 다음해에 우화 한다. 일부는 짧은 기간에 우화 하여 부분적인 제 2세대를 생산한다(UC, 1991). 연 1회 발생하며 성충은 6월에서 7월 하순에 걸쳐서 출현한다. 성충의 수명은 50일 정도이고 우화후 8일 전후에 산란을 시작하며 300-400개의 알을 낳는다. 산란 대상 식물을 식별할 때에는 후각보다도 시각이 우선한다고 한다. 알은 1-5일이면 부화한다. 유충 기간은 온도, 기주식물의 종류, 품종에 따라 현저히 다르고, 조생종 사과에서는 2주 정도면 노숙 유충이 되지만, 만생종 사과에서는 4-7주가 된다. 유충은 낙과 속에서 생육하고, 용화하는 것도 있다. 월동태는 번데기로, 보통 다음해에 성충이 되지만 일부의 개체는 2년 이상도 번데기 상태로 있는 것이 있다(USDA, 1986). |
피해 | 기본적으로 사과를 가해하고 북미 지역에서는 Ceratatis capitata의 유입을 제외하면 그 다음으로 가장 피해가 심한 과실파리이다(CABI/EPPO, 1992). 이 속에는 벚찌(양벚)의 세 가지 중요한 해충이 포함되어 있는데 R. cingulata, R. fausta와 R. indifferens 등 3종이며 R. completa를 포함한 5종은 walnut husk에, blueberry 해충인 R. mendax를 포함한 2종이 Vaccinium에 피해를 심하게 준다. 북미 캐나다에서는 사과의 심각한 해충으로 두려워하고 있다. 원래 야생 산사 나무에서 기생하고 있던 것이 분화하여 사과에 적응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1화성의 과실파리, 종래 미국에 있어서 분포는 서경 100o지방에 한하였으나 1979년 이후 서해안에서 발생하고 있어 사과 재배 지대에 침입이 걱정되고 있다(USDA, 198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