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빗자루병 (Apple proliferation)

본문 바로가기
물류뉴스
사이트 내 전체검색


 
 

포워더케이알 로그인

포인트 무료 충전
LOGISTICS TOOL
추천 물류서비스
물류업체 광고보드
물류사전

사과빗자루병 (Apple proliferation)

페이지 정보

신고

본문

기주 *사과가 주기주이다. *품종에 따라 반응은 차이가 나지만 묘목을 포함하여 사과는 감수성이다. 가장 감수성인 품종은 Belle de Boskoop, Gravenstein, Starking, Golden Delicions, Winter Banana 이며 Roja de Benejama 는 감염에 견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배나무에서도 같은 병징이 발견되나, 그것이 본 병원균에 의한 것인지는 입증되지 않고 있다.

Convolvulus arvensis L. (서양메꽃), Corylus avellana L. (개암(유럽계)), Malus domestica Borkh. (사과나무), Vitis vinifera L. (포도나무, 포도(유럽종), 초룡주, 비니페라종)
분포(발생정보 포함) 구소련, 영국(영국분포기록은 Essex지방원산 사과나무 한그루에서의 발생 기록임), 인도 (확인되지 않음), 남아연방(확인되지 않음)*본 병원균은 EPPO 지역에서만 발생하나, 확인이 되지 않은 인도와 남아연방에서의 발생보고도 있다. (Seem?ler, 1990)

그리스, 루마니아, 독일, 스위스, 스페인, 영국, 오스트리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이탈리아, 체코공화국, 폴란드, 프랑스, 헝가리
생태 여름 또는 초가을에 줄기에서 최고밀도에 도달한다(Seemuller, 1984). 프랑스에서는 21∼25℃ 일때는 병징이 발현되면서 나무전체에서 발견되며 29∼32℃ 에서는 병징 발현이 억제되고 뿌리에서만 발견되나, 묘목을 그보다 낮은 온도에 저장하면 줄기에 다시 침입한다 (Ducrocquet 등, 1986).감염눈을 나무에 접종하면 병징이 다음해에 나타나고 대부분 접종가지에서만 나타난다. 대목이 감염되면 접목한 그해의 접수에서 병징이 발현된다. 흡지(吸枝) 와 신초 끝에 야외에서의 전염수단 중 일부는 아직도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뿌리융합으로 전염될 수 있다. 매미충류가 매개충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Seem?er,1990), 다른 여러 실험에 의하면 이를 뒤받침할 만한 증거를 찾지 못하고 있다 (Refatti 등, 1986). 종자 또는 화분(花紛) 전염을 하지 않는다. 사과에는 접목에 의해서 전염된다. 사과에서 배로 접목 전염된다는 보고가 한 건 있었으나 그 후의 실험결과 확증할 수 없었다. 새삼 (Cuscuta sp.)을 통해 Catharanthuus roseus 에 전염되었다는 보고도 있다 (Marwitz, 1974; Heintz, 1986). 접수에 의하여 흔히 전염되지만 전신병징으로는 나타나지 않고 눈이 감염 되더라도 사과나무의 대부분은 건전하여 사과를 생산할 수 있다.MLOs 의 사과나무내 분포는 년중 일정치 않아서 겨울에는 나무의 체관이 퇴화하여 MLOs 의 밀도가 저하한다. 뿌리에 집중 분포하나 4월∼5월에는 줄기로 재침입하고 늦주로 국한하여 발생하며 잎자루, 주맥 및 턱잎의 체관에서 발견된다,감염 나무는 흰가루병 (Podospharea leucotricha)에 극히 민감하다. 본 병과 apple rubbery wood disease (ARWD) 와는 상호관계가 있어 ARWD는 본병의 발생을 조장한다. 자세한 자료는 Bovey(1963 , 1972) , Seidl 과 Komarkvora (1974) 에 의하여 제시되고 있다.

감염되어도 병징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감염식물이 유입될 가능성은 크다. 본 MLOs 는 사과나무, 접수, 대목에 존재할 수 있다. 자연적 전파는 매개충 역할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평가된 바 없다.
피해 사과의 모든 품종에 피해를 주는 가장 중요한 MLOs의 하나이다. 과실 크기를 50%나 작게 하고 무게는 64∼74% 가벼워지며 과실의 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수세를 약화시키고 또한 흰가루병(Podosphera leucotricha)발병을 조장한다.
  • URL 복사
  • Naver Blog로 보내기
  • Naver Band로 보내기
물류사전 목록
번호 글쓴이 제목 날짜 조회 추천
8230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일본 폭설 관련 안전유의 공지 인기글 02-11 1629 0
8229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티 대규모 반정부 시위 발생 관련 안전공지 인기글 02-11 1654 0
8228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이집트 낙타타기 체험 관련 안전공지 인기글 02-11 1537 0
8227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이탈리아 북부지방 스키장 안전사고 관련 유의사항 인기글 02-11 1896 0
8226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고추과실파리 (Zonosemata) 인기글 02-11 3155 0
8225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과실파리과 (Bactrocera) 인기글 02-11 3630 0
8224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과실파리과 (Anastrepha) 인기글 02-11 3719 0
8223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잎말이나방과 (Cydia) 인기글 02-11 1654 0
8222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Candidatus Liberibacter solanacearum 인기글 02-11 2609 0
8221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감자걀쭉병 (Potato spindle tuber viroid) 인기글 02-11 3389 0
8220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포도황화병 (Grapevine flavescence Doree) 인기글 02-11 2299 0
열람중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사과빗자루병 (Apple proliferation) 인기글 02-11 2491 0
8218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포도피어슨병 (Xylella fastidiosa Wells et. al.) 인기글 02-11 5033 0
8217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과수화상병, Erwinia amylovora (Burrill) Winslow et al. 인기글 02-11 2822 0
8216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감귤그린병 (Citrus greening) 인기글 02-11 3024 0
게시물 검색
이용안내
사이트소개
회원안내
업체등록
배너광고
유료게시판
커뮤니티
모임
기타안내
업체정보
포워더
해외파트너
콘솔사
관세사
운송사
해외특송
창고
부대서비스
프로모션
채용정보
채용공고
공고등록
가이드라인
 Q & A 
업무문의
업체문의
견적문의
기타문의
커뮤니티
공지/이벤트
긴급제보
모임
자유게시판
물류안테나
포케TV
물류블로그
선복공유
물류현장
물류자료실
기관협회
프로모션

Membership
개인회원
기업회원
등업안내
포인트안내
포인트충전소
Logistics Tools
CBM 자동계산기
수입통관 조회
화물안전운임 요율 조회
관세청 고시환율 조회
부대비용 계산
국가별 공휴일
화물추적 Cargo Tracing
항구위치
터미널 정보
HS코드
World Freight Forwarder Association
무역보험용어
사이트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제휴문의   |   광고문의 고객센터

상호명: 브랜뉴플래닛(주)  사업자등록번호: 816-88-02513
직업정보제공신고번호: J1204-020-230007 통신판매번호: 제2023-서울강서-0354호
Copyright © 브랜뉴플래닛 All rights reserved.
브랜뉴플래닛(주)는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통관진행 문의는 물류업체에 하시기 바랍니다.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