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이삭미이라병 (Balansia oryzae-sativae Hashioka)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물류사전

벼이삭미이라병 (Balansia oryzae-sativae Hashioka)

페이지 정보

본문

기주 Echinochola, Eragrost, Panicum*Oryzae가 주기주이다.

Cynodon dactylon (L.) Pers. (우산잔디), Eragrostis spp., Leptochloa chinensis Nees (드렁새), Oryza sativa L. (벼,쌀, 나락,도, 도자, 수도, 한도, 나, 갱, 도, 선, 도초간, 미강, 밭벼, 논벼), Pennisetum glaucum (L.) R. Br., Secale cereale L. (호밀), Setaria italica (L.) Beauv. (조), Sorghum bicolor Moench (수수)
분포(발생정보 포함) 미국(캘리포니아, 루이지애나) 중국(남서부, 홍콩), 인도(특히 Orissa주 벵갈만), 서아프리카

인도네시아, 인디아, 일본, 중국, 시에라 리온, 미국(캘리포니아주 포함), 호주, 바누아투, 뉴칼레도니아섬
생태 이 병원균은 인도에서 1914년 Sydow에 의해 처음 기록괸 이래 1948년에는 Tai와 Siang에 의해서 중국 남서부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 인도 봄베이에서는 이삭이 9∼11%가 감염된 바 있으며 중국의 Yunnan에서는 5∼20%가 때로는 30%의 감염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Govindu(1969)은 IR-8품종에서 10%의 감염율을 보고하고 있고, Shivanandappa와 Govindu(1976)는 인도 Bangalore지방에서 이 병원균에 의한 직간접 수량손실은 품종에 따라서 1.75∼3.69%에 이른다고 하였다
피해 Tai와 Siang(1948)은 감염낟알의 포자로 월동이 가능한 것으로 여기고 있으며, Mohanty(1964)의 실험에 의하면 종자내에 전염하여 출수기에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토양전염은 하지 않는다. 파종 1주일 동안 묘판의 토양온도와 수분함량이 높으면 병을 장하나 대기온도는 영향하지 않는다.
  • URL 복사
  • Naver Blog로 보내기
  • Naver Band로 보내기
 
추천 0

물류사전 목록

Total 9,130건 62 페이지
게시물 검색
2025-09-10 21:38:20


사이트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제휴문의
광고문의 고객센터
상호명: 브랜뉴플래닛(주)  
사업자등록번호: 816-88-02513
직업정보제공신고번호: J1204-020-230007
통신판매번호: 제2023-서울강서-0354호
Copyright © 브랜뉴플래닛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