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담배노균병(Peronospora tabacina D.B. Adam)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02-11 11:18
조회 3,065회 /
신고
관련링크
본문
기주 | *주로 Nicotiana속에 발병하며, 재배종인 N. tabacum이 이 병에 가장 약하다. 간혹 이 병원균이 고추, 토마토, 가지 및 잡초류에서 보고되고 있으나 이들 기주에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Capsicum annuum L. (고추), Lycopersicon pimpinellifolium Mill, Nicotiana tabacum L. (담배), Solanum melongena L. (가지, 가, 조채자, 왜과, 까지) |
분포(발생정보 포함) | 구소련 레바논, 미얀마, 시리아, 아랍에미레이트연합, 예멘, 요르단,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대만, 사이프러스, 터키, 그리스, 루마니아, 룩셈부르그, 벨기에, 불가리아, 독일,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알바니아, 영국, 오스트리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이탈리아, 체코공화국,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헝가리,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러시아연방, 우크라이나, 그루지아, 몰도바,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마세도니아, 슬로바키아, 베라루스, 루안다, 리비아, 모로코, 모잠비크, 알제리, 이집트, 잠비아, 튀니지, 멕시코, 미국, 캐나다, 과테말라, 니카라과, 아이티,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자마이카, 쿠바, 푸에르토리코, 베네주엘라,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 호주 |
생태 | 포자가 잎표면에 부착되면 감염은 2-4시간 내에 일어날 수 있다. 증상(황색 병반)이 나타날 때까지의 잠복기는 5-7일이다. 잠복기는 최적 조건하에서 3일 이내가 될 수 있다. 담배의 나이가 많고 이상적인 조건이 보다 불량해지면 이 기간은 길어진다. 일부 포자형성이 1-2℃와 30℃에서 된다 할지라도 최대 포자형성은 15-23℃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하루중 20℃기간사이에 끼워진 높은 온도(30-40)℃에 노출된 기간이 증가하면 잠복기, 병반발육 및 포자형성은 지연되거나 완전히 억제된다. 일일온도가 6시간이상 30℃를 초과하면 그날밤에 포자형성이 억제된다.포자는 병징이 처음 나타나는 날에 형성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그 다음날 형성된다. 포자낭포자(sporangiospore)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상대습도가 3시간동안 95%이상이고 암조건이 최소한 1.5시간지속되어야 한다.포자방출은 온도의 상승과 상대습도의 감소로 일어난다. 이 병원균의 포자낭병은 건조되고 시계반대방향으로 뒤틀림에 의해 건조한 공기와 반응한다. 엉켜졌던 포자낭병의 가지가 풀리므로써 포자는 기계적으로 스프링작용에 의해 방출된다. 복사선(radiation) 또한 포자의 방출에 영향을 미친다.햇빛이 많거나 구름이 적은 날, 공기중의 포자 농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방출로부터 2시간에서 4시간사이에 최대에 달한다. 포자는 보통 8시에서 15시 사이에 방출되며, 10시에서 13시 사이가 최대로 방출된다. 심하게 감염된 담배 100ha포장에서 2시간동안 공기중에서 0.14-1.4×1011의 포자농도가 측정되었다. 청명한 날이 오래동안 구름 낀 날로 번갈아 교체될 때의 포자방출은 햇빛이 있는 기간동안과 일치하는 방출곡선을 보인다. 비가 오기 시작함에 따라 바람이 없이도 초기단계에 포자방출이 일어난다. 몇 시간 동안 계속 비가 오면 초기 발생 피크후 공기는 포자를 씻겨낸다. 비에 의해서 방출된 포자낭포자의 수는 보통 밤보다 낮 동안에 많다.이 병원균 전파의 또 다른 일반적인 방법은 감염된 식물체의 이동이다. 일부 경우에 건전하게 보이는 정식하려는 묘에도 감염되어 있을 수도 있다. 농부들은 주기적으로 정식하려는 묘를 때때로 멀리 떨어진 곳의 재배자로부터 구입하는데 감염된 묘를 구입할 우려가 있다. 또한 포자낭포자는 작업자, 동물, 차량 및 비행기에 의해 물리적으로 전파될 수도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일반적으로 중요하지 않게 여겨지고 있으나 막대한 양의 전염원과 현대적인 수송수단의 신속성을 고려하면 이러한 방법도 전염원있는 곳으로부터 수백km 떨어진 곳에 대발생할 수 있게 한다.세계의 많은 따뜻한 지역에서는 때때로 담배가 겨울동안에 산 체로 남아 봄에 새로운 싹을 낸다. 이 병원균은 종종 이런 식물체내의 균사체로 남아있다. 지상부 식물체부분만을 죽게하는 동결온도(freezing temperature)는 이병원균을 제거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 병원균은 뿌리와 지하부의 휴면아(dormant bud)에서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비록 확인된 것은 아니지만, 난포자가 병원균 전파의 또 다른 방법일 수도 있다. 난포자는 전년도에 정식묘를 생산하기 위해 이용되었던 묘판에 국지적인 1차전염원이 되기도 한다. 종자전염은 호주에서 보고된 바 있으나 그 이외의 지역에서는 확인된 바 없다.어리고 빨리 자라는 즙액이 있는 잎은 오래되고 늦게 자란 성숙된 잎보다 분생포자를 더 많이 만든다. 잎의 성숙을 지연시키는 환경요인의 조합은 포자생산을 증가시킨다. |
피해 | 서독의 일부 담배포장이 폐농된 경우도 있으며, 유럽에서는 이 병이 매년 발생하고 그 해 날씨에 따라 피해정도가 다르다. 1979년에 미국동부와 캐나다 담배재배지역에서 대발생하여 피해를 준바 있는데 그 해는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아 병발생에 호조건이 되어 담배의 엽조직이 파괴되고 전심감염을 일으켜 왜화를 초래하였다. 그 해 두 국가의 손실액을 합하면 2억 4천만 달러이었다. 쿠바에서도 심하게 발생하여 엽연초(cigar)수확량이 약 1/3로 감소되었고, 1980년초에 쿠바에서는 다시 이병이 대발생하여 90%의 엽연초 생산이 줄어 악화일로에 있는 쿠바경제에 심한 타격을 준 바 있다. 이때 쿠바정부는 엽연초 공장의 문을 닫고 26,000여명의 노동자를 일시적으로 해고시킨 일도 있다. 유럽에서는 1960년에 대발생이후 병발생이 소강상태를 이루다가 날씨가 서늘하며 비가 자주 와서 습도가 높았던 1988년은 이 병의 발병 호조건으로 대발생하여 피해가 많았다. sporangiospores가 바람에 실려 먼 거리를 빠르게 효과적으로 확산되므로서 1988년과 같은 발병조건이면 돌발적으로 대발생하기 때문에 방제가 어렵다. 재배품종에서 최초 발생은 1891년 호주의 퀸슬랜드에서 보고되었으며, 몇 년 안되서 전국으로 발생이 확산되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1891년, 미국에서는 1906년, 유럽에서는 1958년에 지중해연안국가에서는 1961년에 처음 보고되었다. 이 병은 아마도 재래종인 Nicotiana spp.가 분포하는 호주, 북미와 남미의 토착병원균일 것이다(Main, 199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