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나무역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9-02-11 11:30
조회 1,901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조회 1,901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관련링크
본문
Phytophthora ramorum Werres, De Cock & Man in't Veld
기주 | Acer macrophyllum Pursh (큰잎 단풍나무), Acer pseudoplatanus L., Adiantum jordanii C. Muel, Adiantum aleuticum (Rupr.) C.A. Paris, Aesculus hippocastanum L. (마로니에, 서양칠엽수, 가시칠엽수), Aesculus californica (Spach) Nutt., Arbutus menziesii Pursh (마드론), Arctostaphylos manzanita C. Parry, Calluna vulgaris (L.) Hull, Camellia spp (동백나무속), Castanea sativa Miler (유럽밤나무), Fagus sylvatica Linne (유럽너도밤나무), Frangula californica (Eschsch.) A.Gray, Frangula purshiana (DC.) J.G. Cooper, Fraxinus excelsior L. (구주물푸레나무), Griselinia littoralis (Raoul.) Raoul., Hamamelis virginiana L., Heteromeles arbutifolia (Lindl.) M. Roem., Kalmia spp., Laurus nobilis L. (월계수), Lithocarpus densiflorus (Hook. & Arn.) Rehder (탠오크), Lonicera hispidula Douglas ex Torr. & A. Gray (분홍인동덩굴), Magnolia doltsopa (Buch.-Ham. ex DC.) Figlar, Maianthemum racemosum (Linnaeus) Link subsp. , Parrotia persica (DC.)C.A.MEY., Photinia fraseri Dress, Pieris spp., Rhododendron spp., Salix caprea for. elongata (Nakai) Kitagawa (좀호랑버들), Sequoia sempervirens (D. Don) Endl. (레드우드), Syringa vulgaris L. (서양수수꽃다리, 라일락. 양정향나무), Taxus baccata L. (유럽주목), Trientalis latifolia Hook., Umbellularia californica (Hook. & Arn.) Nutt., Vaccinium ovatum Pursh, Viburnum spp. |
분포(발생정보 포함) | 미국(캘리포니아주 Marin · Monterey · Napa · San Mateo · Santa Clara · sata Cruz · Sonoma · Alameda · Solano · Mendecino · Humboldt · Contra Costa · Lake · San Francisco카운티, 오레곤주 Curry카운티 및 뉴욕주 Nassau카운티만 해당한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벨기에, 독일,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아일랜드, 영국, 이탈리아, 폴란드, 프랑스, 슬로베니아, 미국(뉴욕주, 캘리포니아주 포함) |
생태 | 포자낭(sporangium)은 이병의 전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포자낭에서 방출된 유주자(zoospore)는 물에서 유영하여 직접 식물체를 감염시킨다. 후막포자(chlamydospore)는 두꺼운 세포벽을 가지고 있으며 수개월동안 생존할 수 있다. 습한 조건에서는 포자낭과 후막포자가 기주식물의 잎에서 동시에 볼 수 있다. 잎 표면에 형성된 포자낭은 빗방울에 의해 분산되어 새로운 기주식물을 감염시킨다. 병원균 생육 최적온도는 15℃∼25℃이며 가장 좋은 온도는 20℃이다. 균사는 30℃이상에서는 성장하지 않는다.본 병은 유주자, 포자낭, 후막포자를 통하여 새로운 식물체를 감염시키므로 이병된 식물체나 오염된 토양을 통하여 전염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병이 발생되는 지역으로부터 수입되는 재식용 식물체, 돌참나무류(Lithocarpus densiflorus)와 참나무류(Quercus spp.) 등 기주식물의 원목에 붙어 있는 나무껍질, 토양 등을 통하여 국내에 유입될 수 있음.이 병의 주요 기주식물인 참나무류, 철쭉나무 등이 국내 산야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기후조건이 이병이 발생되는 지역과 비슷하므로 국내에 유입될 경우 정착될 가능성이 높으며, 정착될 경우 재식용 식물 및 토양을 통하여 급속하게 확산될 가능성이 있음. |
피해 | ㅇ 1995년 미국 Marin county의 돌참나무(tanoak)에서 처음 발견된 후 확산되어 현재에는 캘리포니아 서부 해안선을 따라 약 1,500 평방마일에 발생되고 있음. - 참나무 역병의 확산 방지와 박멸을 위해 미국에서는 수천만$을 사용하였음.ㅇ 우리나라는 동 병의 주요 기주인 참나무류가 전국 산림면적의 26%(1,678천ha)를 차지하는 주요 산림 자원으로 동 병이 국내에 유입 정착되어 확산될 경우 막대한 경제적 피해가 예상됨. |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