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항 물동량 회복세 진입
페이지 정보
조회 1,875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관련링크
본문
울산항 물동량 회복세 진입
- 18년 10월 울산항 물동량 1,878만 톤으로 월간 최대 실적 경신 -
울산항만공사(UPA, 사장 고상환)는 지난 10월 울산항에서 처리한 물동량은 총 1,878만 톤으로 개항 이후 월단위로는 가장 많은 물동량을 처리했다고 밝혔다.
이는 17년 10월(1,594만 톤) 대비 17.8%(284만 톤) 증가한 수치며, 올 10월까지 누계치도 16,797만 톤으로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0.3%(55만 톤) 증가했다. 현 추세대로라면 17년 실적을 경신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일반화물의 경우 미국의 수입상품에 대한 쿼터제와 조선·건설경기의 침체로 철강과 조선, 시멘트 물동량이 큰 폭으로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9월 이후 6부두 자동차 환적물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감소폭을 상쇄하고 지난 해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8년 10월 울산항 항만 물동량>(단위 : 만 톤, %)
구분 | 2017년 | 2018년 | 증감 | 증감률 | ||||
---|---|---|---|---|---|---|---|---|
10월 | 누계 | 10월 | 누계 | 10월 | 누계 | 10월 | 누계 | |
총물동량 | 1,594 | 16,742 | 1,878 | 16,797 | 284 | 55 | 17.8% | 0.3% |
액체화물* | 1,345 | 13,762 | 1,563 | 13,812 | 218 | 50 | 16.2% | 0.4% |
일반화물* | 249 | 2,980 | 315 | 2,985 | 66 | 5 | 26.5% | 0.2% |
* 컨테이너 물동량(톤) 포함 | ||||||||
컨테이너(TEU) | 38,872 | 383,133 | 44,705 | 406,843 | 5,833 | 23,710 | 15.0% | 6.2% |
<'18년 울산항 항만 물동량 추세>(단위 : 만 톤, %)
구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
총물동량 | 1,740 | 1,635 | 1,536 | 1,483 | 1,705 | 1,689 | 1,669 | 1,791 | 1,667 | 1,878 |
액체화물* | 1,482 | 1,373 | 1,238 | 1,178 | 1,386 | 1,349 | 1,388 | 1,480 | 1,372 | 1,563 |
일반화물* | 258 | 262 | 298 | 305 | 319 | 340 | 281 | 311 | 295 | 315 |
* 컨테이너 물동량(톤) 포함 | ||||||||||
컨테이너(TEU) | 39,358 | 35,635 | 40,813 | 43,236 | 37,523 | 43,495 | 40,136 | 40,366 | 41,607 | 44,705 |
○ (액체화물) '18년 10월 액체화물은 1,563만 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16.2%(218만 톤↑) 증가하였고, 전월(1,372만 톤) 대비 13.9%(191만 톤↑) 증가
* 전체 물동량 중 액체화물 비중 83.2%
- 정유사 보수완료와 계절적 요인으로 원유 수입량이 증가하였고, S-Oil 잔사유 고도화 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화학공업 생산품이 증가하여 액체화물 물동량 상승을 견인함
○ (일반화물) '18년 10월 일반화물은 315만 톤을 처리하여 전년 동월 대비 26.5% 증가(66만 톤↑)하였고, 전월(295만 톤) 대비 20만 톤 증가
- (석탄) '18년 8월부터 진행중이던 언로더 레일 공사 완료로 적체되어있던 물량을 10월에 처리하여 전월 대비 226.6% 증가
- (기타) 사료부원료는 소폭 등락을 반복하는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시멘트, 모래 등의 화물처리 실적은 건설경기에 따라 소폭 감소되고 있음
UPA 관계자는 "물동량은 항만의 경쟁력을 나타내고 항만업계의 매출액과 부가가치에 직결되는 만큼 화물종류를 월별로 세밀하게 증감원인을 분석하여 2년 연속 2억 톤을 달성할 수 있도록 대책마련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