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수화상병, Erwinia amylovora (Burrill) Winslow et al.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9-02-11 11:33
조회 2,826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조회 2,826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관련링크
본문
기주 | *장미과의 Pomoideae 아과가 주기주이며 또한 감수성이다.Amelanchier alnifora, A. canadensis, Chaenomeles spp, Cotomeaster spp., Crataegus spp., Pyracantha spp., Pyrus amygdaliformis, Sorbus spp., Stranvaesia davidiana이다. 이중 가장 감수성인 것은 : Crataegus(대부분의 종), Cydonia(대부분), Cotoneaster bullatus, C. dammeri (Eichholz No. 1 품종제외), C. salicifolius, C. watereri, 배품종 Alexandrine Douillard, Durondeau, Passe Crassane, 사과품종 Idared, Red Jade, Van Eseltine 이고, Pyracantha fortuneana CV. Orange Glow, Sorbus aria 그리고 Stranvaesia davidiana이다. 다음 것은 기주로 여겨지지 않는다 : Crataegus arnoldiana, C. phaenopyrum, C. viridis, Sorbus intermedia.미국의 감염 딸기속(Rubus)에서 분리한 균은 교차감염 시험결과 E. amylovora와는 구별되는 f. sp. rubi로(Ries & Otterbacher, 1977) 명명되었으나,이 병원균에 대하여 다른 지역에서의 보고가 전혀 없으므로 아직도 모호한 상태이다. 장미속(Rosa)도 비교적 최근 문헌에 기주로 보고되고 있으나 역시 이를 입증할만한 정보는 충분치 않다. 그 밖에 다른 장미과 식물이 기주로 언급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인공접종에 의한 옛날 기록으로 대단히 의심의 여지가 있다. (Van der Zwet와 Keil, 1979; Bradbury, 1986)*식물방역법 시행규칙 별표1의 금지식물: 배나무아과, 복숭아속식물 및 나무딸기속식물의 묘목, 접수, 삽수 등 재식용 식물(종자는제외한다)과 생과실(복숭아속 식물은 제외한다) Chaenomeles sinensis Koehne (모과나무,대이,화이목, 화류목, 목도, 철각이, 토목과, 산목과, 향목과, 자목, 목과나무),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비파나무, 비파), Malus domestica Borkh. (사과나무), Malus pumila var. dulcissima Koidz. (사과나무), Pyrus pyrifolia var. culta (Makino) Nakai (배나무, 일본배), Pyrus serotina Rehder (배나무) |
분포(발생정보 포함) | 버뮤다*북미원산으로 유럽에는 1950년대부터 1960년대에 걸쳐 침입한 세균이다. 한국에 대한 기록은 자세한 조사연구(Lee, Y. H. et al. 1993. Korean Journal of Plant Pathology 9: 47-51)에 의해 화상병 분포 국가에서 삭제되었으며, 현재까지 사과 및 배나무 재배지역에서 병 발생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조 등, 2005)키프로스(공화국)-수도:니코시아*식물방역법 시행규칙 별표1의 수입 금지 식물, 금지 지역 및 금지 병해충 참고 레바논, 시리아, 요르단, 이란, 이스라엘, 터키, 키르기스, 카자흐,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루마니아, 룩셈부르그, 벨기에, 불가리아, 독일,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알바니아, 아일랜드, 영국, 오스트리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이탈리아, 체코공화국,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러시아연방, 우크라이나, 몰도바, 아르메니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마세도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베라루스, 모로코, 알제리, 이집트, 튀니지, 멕시코, 미국, 캐나다, 과테말라, 뉴질랜드 |
생태 | 병원세균의 발육온도는 최저 3℃, 최적 30℃이고, 사멸온도는 45∼46℃(10분간)이다. 병원세균은 주로 나뭇가지나 나무줄기의 병환부에서 월동하고, 다음해 봄 곤충의 매개에 의하여 제1차전염을 한다. 일기가 습할 때에는 병환부의 표면에 세균점액이 누출하여 이것이 비바람이나 곤충에 의해 꽃에 도달하며, 감염된 꽃에서 열매로, 열매에서 잎으로 감염을 계속한다. 제2차 전염은 진딧물, 파리, 개미, 딱정벌레 등에 의하여 꽃의 병환부 표면에 나타난 세균이 식물체의 다른 부분에 운반될 때에 발생한다. 여름철이 되면 병원세균의 활동력은 현저하게 약화되며, 다음해 봄까지 병원세균은 병환부에서 휴면상태에 들어간다. 병원세균은 지름이 1.5㎝보다 작은 가지에서는 월동하지 않는다(Beer, 1979; 박 등, 1986).국지적으로는 곤충과 비에 의해서만 전파되며 조류가 상당한 거리를 전파하기도 한다. 그러나 주된 장거리 전파수단은 이병식물과 잠복감염된 식물이다. 미국에서 유렵으로 도입된 경위를 보면 생과를 실은 컨테이너에 세균이 누출된 것으로 추정되나 최근의 무역과정에서는 과실에 의해 도입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지중해지방에서의 이 병의 확산양식을 분석해 보면 공기중 수분입자인 aerosol이 병원균의 장거리 이동에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음도 배제하지 못한다 (Psallidas, 1990). |
피해 | 특히 감수성기주에서는 상당한 피해를 유발한다. 피해당년의 수확량에 큰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작물 전체가 크게 위험하다. 개화기에 병발생 호조건이면 수량은 감소하고 심하면 전혀 수확이 없다. 발병 5년째 과수에서는 단과지(短果枝)가 손상을 입어 과실생산에 영향을 준다. 감수성 품종에서는 일단 감염되면 병이 나무 전체에 급속히 확산되어 신속히 치료할 경우라도 나무를 살릴 수 없다. 미국의 몇몇주 과원에서는 이 병 때문에 폐농한 경우도 있다(Vander Zweit와 Keil, 1979). |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