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nastrepha striata Shiner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9-02-13 10:09
조회 3,071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조회 3,071회 / 추천 0 / 반대 0 / 댓글 [ 0 ]
관련링크
본문
구분 | 해충 |
분류 | 종 |
과(학명) | Tephritidae |
과(국명) | 과실파리과 |
속(학명) | Anastrepha |
속(국명) | |
종(학명) | Anastrepha striata Shiner |
종(국명) | Anastrepha striata Shiner |
검역구분 | 금지병해충 |
일반명 | |
기주 | Citrus, Eugenia stipitata, Pouteria viridis, Psidium, Psidium longipes (strawberry guava)Eugenia stipitata, Pouteria viridis, Strawberry guava(Psidium longipes), Strawberry guava(Psidium longipes), Beach almond(Terminalis catappa) (CABI, 2003). Annona muricata Linn, Chrysophyllum cainito L., Citrus sinensis var. brasiliensis Tanaka (네이블오렌지), Diospyros digyna Jacq, Mangifera indica L. (망고), Manihot esculenta Crantz, Manihot palmata Muell. Arg. (카사바), Persea americana Mill. (아보카도나무), Prunus persica (L.) Batsch (복숭아나무, 복사나무), Psidium guineense Swartz, Psidium guajava L. (구아바), Spondias mombin Linn, Spondias purpurea Linn, Syzygium malaccense (L.) Merr. & L.M. Perry, Syzygium jambos Alston, Syzygium malaccensis Merr & Perry, Terminalia catappa Linn |
생태 | 이 과실파리의 생태에 관한 특별한 정보는 없다. Anastrepha속의 과실파리는 기주식물의열매 껍질 밑에 알을 낳는다. 산란 3~일만에 부화하고 부화한 유충은 온도에 따라서 15~0일 혹은 20~5일간 섭식한다. 기주식물 근처의 흙 속에서 번데기가 되어 15~9일 후에 성충으로 우화한다. 성충은 년중 발생한다 (Christenson and Foote, 1960). 암컷은 성숙하는 데 약 15일이 걸린다 (Ramirez-Cruz 등, 1996). 성충의 우화는 주로 아침에 많이 되며 산란은 한 낮에 주로 한다. 본 종의 생태에 관한 특별한 정보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Anastrepha속 과실파리는 일반적으로 기주 식물의 과실 껍질 밑에 알을 낳으며, 산란 3-6일만에 부화한 유충은 온도에 따라서 15-20일 혹은 20-25일간 섭식한다. 기주식물 근처의 흙속에서 번데기가 되어 15-19일 후에 성충으로 우화한다. 성충은 년중 발생한다(Christenson and Foote, 1960). 우화한 암컷이 성적으로 성숙하는데는 약 15일이 걸리며(Ramirez-Cruz 등, 1996). 18℃이하의 저온과 28℃이상의 고온에서 생존율이 크게 영향을 받고, 이 온도 범위가 동 종의 일반적인 활동 적온임(Neilson, 1989) 일부 열대과실에서 파괴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널리 분포하지만 상대적으로 볼 때 경제적으로 중요한 해충으로 여겨지고 있지는 않음(Weems, 1982)으며, 근연종인 A. serpentian, A. ludens, A. fraterculus 보다는 기주범위가 넓지 않으며, 주기주는 구아바이고 학자에 따라 아보카도를 기주로 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음. Miller(1995)에 의하면 이 해충이 아보카도 과실을 가해한다는 기록(Oakley, 1950)은 있으나, 현재 알려진 논문에는 아보카도를 기주로 기록하고 있지 않다(Wasbauer, 1972; Norrbom and Kim, 1988)고 언급한바 있으나, Jiron 등(1988)은 동 종이 코스타리카에서 아보카도등을 기주로 하여 연중 생존한다고 기록한 바도 있음. 멕시코에서는 인공적인 실험조건에서는 동 종을 포함한 Anastrepha속 과실파리가 Hass 품종의 아보카도를 가해하나, 야외조건에서는 가해하지 않는다는 기록이 있으며(Enkerlin 등, 1993), 최근 연구에서는 멕시코산 Hass품종이 Anastrepha 속 과실파리(A. ludens, A. serpentian, A. striata, A. obliqua)의 기주가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Aluja 등, 2004) 본 종이 속한 Anastrepha속의 과실파리 수컷 성충유인제는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으나, 암모니아를 발산하는 트랩과 McPhail트랩이 본 속의 과실파리 포획에 활용되고 있음(White와 Elson-Harris, 1974) |
피해 | 피해받은 열매에는 산란흔이 보이며, 매우 단 열매는 설탕 성분이 많은 삼출물 (exudation)이 나온다. |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