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미과실파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02-13 10:17
조회 2,612회 /
신고
관련링크
본문
구분 | 해충 |
분류 | 종 |
과(학명) | Tephritidae |
과(국명) | 과실파리과 |
속(학명) | Anastrepha |
속(국명) | |
종(학명) | Anastrepha fraterculus (Wiedemann) |
종(국명) | 남미과실파리 |
검역구분 | 금지병해충 |
일반명 | West Indian fruit fly |
기주 | 열대 과일류, 로즈애플망고, 브라질체리, Birnea속, 사우어솝, 수리남체리, 스위트솝, 스윙클, 옐로우스트로베리, 커먼옐로애플, 팻션플라워, 체리오 말라, 스위트 솝, Birnea sp., 사우어 오렌지, 푸멜로, 탱거린, 퀸스, 로콰트, Eeriobotria japonicca, Eugeria coloradoensis, , 스윙글, 일본 자두, 옐로우스트로베리, 퀸스구아바, 포메그란테, 열대 아몬드, 로즈애플, 말레이애플, Otaheita, 캐슈트리, 퍼플몸빈 멕시코형은 구아바와 복숭아를 가해하나, 귤은 가해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남미에서는 귤이 심하게 피해받는다. 실험실에서 시험한 결과는 멕시코형의 기주 선호성에 관한 야외관찰 결과를 재확인해 주었다. 멕시코에서 열대 아몬드, 터미날리아 카타파가 공격받지만 남미에서는 기주로 기록되어 있지 않다. 기주에 관련한 두 생태형의 차이는 자세한 생물학적 연구에 의해 밝혀졌다. Acca sellowiana (Berg) Burret (훼이조아, 파인애플구아바, 페이조아), Achras zapota L. (사포딜라, 추잉껌나무), Ananas comosus (L.) Merrill (파인애플), Annona cherimola Mill. (체리모야), Averrhoa carambola L. (카람볼라), Chaenomeles sinensis Koehne (모과나무,대이,화이목, 화류목, 목도, 철각이, 토목과, 산목과, 향목과, 자목, 목과나무), Citrus sinensis Osbeck (오렌지 나무, 당귤나무), Citrus paradisi Macf. (자몽,그레이프프루트), Citrus unshiu Markov (감귤), Citrus spp. (감귤류), Citrus junos Tanaka (유자나무), Coffea arabica L. (커피나무), Diospyros kaki Thunb. (감나무),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비파나무, 비파), Ficus carica L. (무화과나무, 무화과), Lycopersicon esculentum Miller (토마토), Malus domestica Borkh. (사과나무), Mangifera indica L. (망고), Passiflora edulis Sims (패션프루트), Persea americana Mill. (아보카도나무), Prunus cerasus L. (큰양벚나무, 신버찌, 신양벚, 양앵두나무), Prunus persica (L.) Batsch (복숭아나무, 복사나무), Prunus persica var. nectarina (AIT) Maxim. (천도, 넥타린, 숭도), Prunus amygdalus Batsch. (아몬드), Prunus avium L. (양벚나무, 단버찌, 양앵두, 체리), Prunus salicina Lindl. (자두나무, 오얏나무), Prunus americana Marsh (미국자두나무), Prunus verecunda var. pendula (Nakai) W. Lee (수양벚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 (살구, 살구나무), Psidium guajava L. (구아바), Punica granatum L. (석류나무, 석류목, 석류수, 안석류, 해류), Pyrus pyrifolia var. culta (Makino) Nakai (배나무, 일본배), Ribes grossularia Linne (구스베리(서양까치밥나무)), Vitis labruscana B. (포도(미국종x유럽종)), Yucca gloriosa L. (유카), Prunus (벗나무속), Pyrus (배나무속) |
생태 | 알은 과일의 표피아래에 낳으며, 매우 긴 산란관을 가진 종의 경우 중심부의 씨나 핵에 산란한다. 알은 3~6일 안에 부화하며 유충은 온도에 따라 15~20일에서 20~25일 동안 섭식한다. 용화는 기주 식물 아래 땅속에서 이루어지며 15~19일 후에 우화하며 (저온 조건에서는 더 길어짐), 성충은 연중 발생한다.페루에서는 일반적으로 암컷이 낱개로 총 50개의 알을 하나의 과일에 낳는다. 총 산란 수는 과일의 품종과 숙도에 따라 다르며 산란전 기간도 다양하다. 성충은 1개월 정도 생존하고, 알 기간이 여름에 3일, 겨울에 6일, 유충이 여름에 15~20일, 겨울에 20~25일이다. 특별한 경우 성충은 2, 14, 18개월 후에 용으로부터 우화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년 6~7세대가 발생한다. 암컷은 미숙과 또는, 숙과의 세포조직의 피층을 통해 산란한다. 산란흔은 숙과의 경우 눈에 띄지 않는 경우도 있다. 때때로 분비 즙과 탈색된 점이 있다. 부과유충은 과실을 식해하는데 숙과일 경우 빨리 익게 만든다. 보통 과육을 섭식한다 (USDA/APHIS, 1986).암컷은 미숙 또는 성숙한 과일의 표피 아래에 산란관을 이용하여 총 50개의 알을 낱개로 낳지만, 산란 수는 과일의 품종과 숙도에 따라 다르며 산란전기간(preoviposition period)도 다르다. 성충은 1개월 정도 생존하고, 알 기간은 여름 3일, 겨울 6일, 유충기간은 여름 15∼20일, 겨울 20∼25일이다. 기주 식물 아래의 땅속에서 번데기가 되며, 15∼19일 후에 우화한다(저온에서 더 길어짐). 성충은 매년 6∼7세대 발생한다. |
피해 | 남미지역 여러 과일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Anastrepha 속 과실파리 중 가장 유해한 종이다. 아르헨티나에서는 모든 귤 재배지에서 가장 중요한 해충으로 여겨지고 있다. 거의 모든 품종의 과일이 가해 받으며, 때때로 채소류, 견과류도 가해한다.(USDA/APHIS, 1986).피해과에는 산란구멍의 흔적을 보이나 다른 증상을 피해 초기단계부터 발견하기란 어렵다. 대부분의 피해는 외부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과일의 내부에서 썩음으로 인한 터널의 망조직으로 나타난다. Anstrepha종들은 유입된 Ceratitis capitata를 제외하고는 열대 아메리카에 있어서 가장 심각한 과실파리 해충이다. A. fractercalus는 감귤류, 구아바, Eugenia spp., Prunus spp.와 Syzygium spp.의 중요한 해충으로 보고되었으며 이에 반해 A. ludens 는 Citrus spp. (감귤류)와 망고, 복숭아의 중요한 해충이다 (CABI/EPPO, 199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