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iridium cardinale (W.W. Wagener) B. Sutton & I.A.S. Gibson

본문 바로가기
물류뉴스
사이트 내 전체검색


 
 

포워더케이알 로그인

포인트 무료 충전
LOGISTICS TOOL
추천 물류서비스
물류업체 광고보드
물류사전

Seiridium cardinale (W.W. Wagener) B. Sutton & I.A.S. Gibson

페이지 정보

신고

본문

구분 병균
분류
종(학명) Seiridium cardinale (W.W. Wagener) B. Sutton & I.A.S. Gibson
종(국명)  
검역구분 관리병해충
일반명 cypress canker
기주 ○ Main : Chamaecyparis lawsoniana(금백, Port Orford cedar), Cupressus macrocarpa (율마, Monterey cypress), Cupressus sempervirens(셈페르비렌스양백, Mediterranean cypress), Platycladus orientalis(측백나무, Chinese arborvitae), Thuja occidentalis(서양측백나무, Eastern white cedar)(CABI, 2016) ○ Other : Callitris preissii(camphorwood), Callitris rhomboidea(oyster Bay pine), Calocedrus decurrens(데쿠렌스향백, bastard cedar), Cryptomeria japonica(삼나무, Japanese cedar), Cupressocyparis leylandii(렌일란디측백, Leyland cypress), Cupressocyparis ovensii, Cupressus abramsiana(santa Cruz cypress), Cupressus arizonica(아리조나양백, Arizona cypress), Cupressus cashmeriana(weeping cypress), Cupressus forbesii(tecate cypress), Cupressus goveniana(아브람시아나양백, gowen cypress), Cupressus lusitanica(Mexican cypress), Cupressus macnabiana(마크나비아나양백, mcNab's cypress), Cupressus pygmaea(mendocino cypress), Cupressus sargentii(사르겐티양백, sargent's cypress), Fitzroya cupressoides(쿠프레소이데스피츠로이아, Patagonian cypress), Juniperus chinensis(향나무, Chinese juniper), Juniperus communis(두송, common juniper), Juniperus decurrens, Juniperus occidentalis(western Juniper), Juniperus virginiana(연필향나무, eastern redcedar), Libocedrus chilensis(Chilean cedar), Thuja plicata(플리카타측백, western redcedar), Thuja standishii(japanese arborvitae, 재배), Xanthocyparis nootkatensis(누트카편백, Alaska cedar) (CABI, 2016) * 측백나무과에 속한 다양한 종이 기주로 알려져 있으며 C. macrocarpa이 가장 감수성이 높고 C. sempervirens, Thuja plicata, Cupressocyparis leylandii이 중도의 감수성, Cupressus arizonica, C. lusitanica, C. forbesii, Chamaecyparis lawsoniana, T. orientalis [=Platycladus orientalis]와 다른 몇가지 기주는 저항성을 보이며 Cupressus bakeri, C. torulosa, C. funebris[=Chamaecyparis funebris], C. cashmeriana와 Cupressus속의 아시아계 종들은 저항성 또는 높은 저항성을 나타냄(CABI, 2016)
분포(발생정보 포함) ○ 아시아(조지아, 이스라엘, 일본, 시리아, 터키), 아프리카(알제리아, 케냐, 모로코, 남아공, 투니지아), 아메리카(캐나다, 미국, 코스타리카, 아르헨티나, 칠레), 유럽(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프랑스, 독일, 그리스, 아일랜드, 이탈리아, 몬테네그로, 포르투갈, 세르비아, 스페인, 영국, 유고), 오세아니아(호주, 뉴질랜드)(CABI, 2016) * 20세기 중반경 프랑스, 이탈리아에 유입되어 감수성기주의 넓은 분포, 병원균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 등으로 지중해지역에 널리 확산 정착됨. 1949년 호주에서도 발생한 것으로 기록되었으나 최근의 상황에 대한 정보는 없음(CABI, 2016)
생태 ○ Cupressaceae(측백나무과)에 강한 병원성과 넓은 기주범위를 나타내며 발병력의 안정성, 다량의 무성포자 생성, 다양한 환경에서의 적응성, 매개체(곤충, 새) 및 감염된 번식체 유통에 의한 원거리 이동 등으로 여러대륙에서 넓은 확산과 전지역에 걸쳐 발생하는 양상을 보이며, 북위 30~40°지역과 일부 남위 30~50°지역에 정착 분포함(CABI 2016) ○ 실험적으로 분생포자는 5~6℃부터 35℃ 범위에서 발아가능하고 최적온도는 25℃임. 자연상태에서 감염의 적온은 25℃이고, 최고 30℃에서도 병의 진전이 확인되었으며 실제로 기주조직에서 일년중 가장 더운 몇 개월동안 병원균의 생육은 느려지거나 정지됨. 감염은 거의 포화수준의 상대습도에서 일어나며 80%정도에서 분생포자의 절반정도가 발아되지 않음. 병해의 발병율과 강도는 기후요건과 관계되며 감염시기(가을~봄)동안의 강우와 상대습도, 감염원의 확산시기의 서리와 강풍, 상처유발 정도 등에 의해 좌우됨(Panconesi and Ongaro, 1982). ○ 감염된 종자, 유묘, 화분식재식물 및 묘목, 목재류(수피 제거된 경우 포함)의 국가간 이동에 따라 전파될 수 있으며 곤충과 새에 의해 장거리 전파됨. Phloeosinus aubei와 같은 나무좀류는 병원체의 매개뿐만 아니라 상처를 유발하여 초기 침입을 가능하게 하며 노린재류도 병의 확산에 역할을 하고 일부 Cydia속 나방류에 의해서도 전파됨(CABI 2016) ○ 감염된 수피에서 나타나는 기주세포의 괴사나 붕괴, 조직의 과다생장과 다른 조직학적 기형은 병원체가 생산하는 toxin과 같은 세포외 대사산물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며 병발생의 주요요인으로 작용할 것임(Magro 등, 1982; Sparapano 등, 1995). 병원체가 생산하는 독소는 butenolides(seiridin, iso-seiridin) 등 여러가지가 알려져 있음(CABI, 2016) ○ 줄기, 가지를 포함한 감염된 부위에 형성된 궤양표면 분생포자반(acervular)에서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전염원이 되며, 분생포자는 1년이상 발아력 및 병원성을 유지하며 궤양에 인접한 변재부 외층 또는 방사조직에 형성된 콜로니는 병원성을 잃지 않고 장기간 목질부조직에서 생존할 수 있음. 균사는 잎의 기공 등 자연개구를 통해 칩입하며 어린신초나 잎의 큐티클을 통해서도 침입가능하나 주피와 리그닌화된 경우 직접침입은 일어나지 않음. 강풍, 서리, 곤충, 전정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상처를 통해 감염이 일어나며 침입 후 수피 내부에서 생장하며 변재부까지 퍼져나가며 결과적으로 모든 수피조직이 갈변되며 죽음(CABI, 2016) ○ 종자의 표면에 부착된 분생포자 또는 종자에 형성된 분생포자좌에 의한 종자전염이 일어나며 종자의 발아율을 현저히 떨어뜨림.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9개 종에서 생산된 종자의 0.5~70%가 오염되거나 감염된 것으로 보고됨(Saponaro and Motta, 1984).
피해 ○ 1939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Cupressus macrocarpa와 C. sempervirens의 파괴적인 궤양병 대발생이 Coryneum cardinale에 의한 것으로 최초 보고됨. 기주로 알려진 측백나무과 식물 중에서 감수성이 높은 두기주에서 큰 피해를 가져옴. 같은 해 뉴질랜드, 1944년 유럽에서 보고되었으며, 아시아, 남아메리카, 호주, 일본, 남아공 등으로 전파됨.(CABI, 2016). ○ 줄기 및 가지에 궤양을 나타내며 감수성기주에 있어 국부․전신감염을 모두 나타냄. cypress blight의 초기증상은 가지 또는 줄기의 감염부위 수피 부풀음 또는 발적으로 나타남. 감염부가 살짝 움푹해지며 퇴록현상이 일어나고 세로로 깨지거나 갈라지며 수지삼출이 일어남. 감염된 수피조직의 괴사가 일어난 감염부위 주위의 수피위에 렌즈형 또는 가늘고 긴 궤양이 발달되고 가지나 어린 유묘의 줄기를 둘러쌈. 성목의 trunk와 큰가지에서는 궤양이 조금씩 커지고 감염된 가지와 줄기로 확장되며 궤양의 균열부위에서 육안으로 확인가능한 수지삼출이 지속되며 쇠퇴되고 결국 고사됨. 형성층과 변재부 일부에 갈색 또는 적색으로 다양한 강도의 변색이 일어남. 감수성 수종의 경우 초기에 잔가지, 가지, 정단부 잎이 황화 또는 적화되며 가지마름증상이 시작되며 잎은 말라 낙엽됨. 가지와 나무 정단부의 쇠퇴, 마름, 고사증상이 두드러지는 병징으로 수령, 감수성, 환경에 따라 달라지며 고사까지 비교적 빠른 시간(수개월~1년)안에 결국 나무전체가 고사됨. 저항성을 나타내는 수종의 경우 느린 감염속도, 식물의 방어기작에 의해 궤양증상이 국부적으로 제한됨(CABI, 2016). ○ 기후조건이 병발생에 적합한 지중해지역에서는 발생의 정도와 범위가 매우 심각한 상황으로 생태학적 재앙의 우려가 보고된 바 있으며(Graniti, 1993, 1998) 관상용, 방풍용, 산림조성, 목재생산 등에 있어 막대한 피해가 예상됨(CABI, 2016) ○ 미국 캘리포니아 최초 대발생시 C. macrocarpa와 C. sempervirens 30,000그루의 손실이 보고되었으며(Wagener, 1939, 1948, 1964) 이탈이아 중부에서 1995년 23.3%에서 최근 23~27%의 평균 발생율을 나타내고 심한 지역의 경우 75%에 달함(Panconesi, 1991; Panconesi and Raddi, 1998). 1978년 조사시 플로렌스지역에서 4백만주 중 약720,000주가 죽거나 심한 영향을 받음(Poggesi, 1979). 동일지역에서 1981~1993 12년동안 발병율을 조사한 결과 1981년 31.3%에서 1993년 50.6%로 19.3% 증가하였음(Panconesi and Raddi, 1991b, 1998). 그리스 Kyrgia 70%, Peloponnesus 90%, Karistos 98% 발병율이 보고된 바 있음(Xenopoulos and Diamandis, 1985; Xenopoulos, 1991; Panconesi and Raddi, 1991). ○ S. cardinale에 의한 재배 또는 관상용 cypress에 있어 궤양병의 피해는 심각한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관광을 포함한 사회활동과 자연환경에 악영향을 미침. 이탈리아, 그리스 등지에서 cypress속 식물은 자연경관을 이루는 중요한 수목일 뿐만 아니라 유적지와 역사적 장소에 있어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CABI, 2016).



-작성자:최고관리자
  • URL 복사
  • Naver Blog로 보내기
  • Naver Band로 보내기
물류사전 목록
번호 글쓴이 제목 날짜 조회 추천
9130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물류마켓 라이트 견적서 인기글 09-14 3265 0
9129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인터지스 회사소개서 인기글 07-01 2845 0
9128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채용 견적서 인기글 05-18 2663 0
9127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물류마켓 광고 견적서(일반결제) 인기글 08-29 3443 0
9126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물류마켓 광고 견적서(자동이체) 인기글 08-29 2740 0
9125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물류마켓 베이직 견적서 인기글 08-14 3025 0
9124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센텀물류 회사소개서 인기글 03-03 5570 0
9123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신한카드 상생소비지원금 신청방법 인기글 10-01 3074 0
9122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하나카드 상생소비지원금 안내 인기글 10-01 2359 0
9121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농협카드 소비상생지원금 신청 방법 인기글 10-01 3158 0
9120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KB카드 상생소비지원금 신청 인기글 10-01 2299 0
9119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설민석 사과 인기글 12-23 4382 0
9118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이벤트코리아 진행중인 이벤트 (11-26) 인기글 11-26 2839 0
9117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이벤트코리아 진행중인 이벤트 (11-25) 인기글 11-25 2561 0
9116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현재 이벤트코리아 진행중인 이벤트 인기글 11-24 4392 0
게시물 검색
이용안내
사이트소개
회원안내
업체등록
배너광고
유료게시판
커뮤니티
모임
기타안내
업체정보
포워더
해외파트너
콘솔사
관세사
운송사
해외특송
창고
부대서비스
프로모션
채용정보
채용공고
공고등록
가이드라인
 Q & A 
업무문의
업체문의
견적문의
기타문의
커뮤니티
공지/이벤트
긴급제보
모임
자유게시판
물류안테나
포케TV
물류블로그
선복공유
물류현장
물류자료실
기관협회
프로모션

Membership
개인회원
기업회원
등업안내
포인트안내
포인트충전소
Logistics Tools
CBM 자동계산기
수입통관 조회
화물안전운임 요율 조회
관세청 고시환율 조회
부대비용 계산
국가별 공휴일
화물추적 Cargo Tracing
항구위치
터미널 정보
HS코드
World Freight Forwarder Association
무역보험용어
사이트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제휴문의   |   광고문의 고객센터

상호명: 브랜뉴플래닛(주)  사업자등록번호: 816-88-02513
직업정보제공신고번호: J1204-020-230007 통신판매번호: 제2023-서울강서-0354호
Copyright © 브랜뉴플래닛 All rights reserved.
브랜뉴플래닛(주)는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통관진행 문의는 물류업체에 하시기 바랍니다.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